-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5/17 19:04:33
Name   April_fool
Subject   [불판] 국방부 曰 "공중보건의도 없애겠다"
기사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1605171745001

국방부 : 어제는 전문연을 없애버렸다! 오늘은 공보의를 없애버릴테다!!

마침 이곳은 의료넷(…)이고 하니, 이 사안에 대한 불판이 필요할 것 같아 여기에 깔아 둡니다.



0


    세계구조
    그럼 산간오지는 누가 가는거에요?
    April_fool
    군인들은 여전히 있을 겁니다. 아마도.
    Beer Inside
    헬기나 119가 가서 환자를 데리고 오면 됩니다.

    시골 리단위의 보건지소에서 공보의 혼자서 응급상황을 해결할 수 있는 일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됩니다.
    regentag
    헬기나 구급차가 갈 정도는 아니어도 의사가 필요한 상황은 많지 않나요?
    Beer Inside
    뭐든 있으면 좋지만, 그 정도의 응급상황이 아니면 요즘 리단위에는 대부분 의원이 있습니다.

    면단위에는 종합병원은 없어도 요양병원이나 입원가능한 병원은 있구요.

    그리고 공보의도 24시간 진료를 하지는 않습니다. 여사님들이 퇴근을 하니까요....

    그렇다고, 보건소도 아닌 보건지소에 좋은 의료장비가 있는 것도 아니고....
    리 단위에 의원이 다 있지 않아요... 면 단위에 의원 하나 밖에 없는 곳도 있어요. 무려 경기도에요-_-a
    Beer Inside
    이유가 있을 겁니다

    환자가 없다든지

    서울 경기에 의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고 있는데 말이지요
    인구가 적으니 환자가 작아서 병원이 없다는건 맞는말일껍니다.
    그리고 인구가 적은 면리가 많고, 그러다보니 리마다 의원이 있기도 힘들어요.
    Beer Inside
    그런데 실제로 가보면 리에도 있는 경우가 많더군요.

    어차피 의사는 계속 늘어나니.... 손익분기가 나오는 지점까지는 계속 생길겁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진정 평등을 위한다면 상향 평준화를 위해 가야지 어째 하향 평준화를 하나요.
    Beer Inside
    하루 이틀 나온 이야기도 아니고, 국방감축 이야기만 나오면 하는 이야기라서... 그리...

    솔직히 공보의 없애도 됩니다.

    요즘 면소재지에 병원이나 의원이 없는 곳도 없고, 농촌은 노인들이 많아서 노인들이 입원하는 요양병원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산부인과, 소아과는 농촌에서 애가 태어나질 않는데 산부인과 소아과가 거기에 있을 이유가....

    오히려 119같은 응급환자이송에 더 예산을 써야하고, 지역 거점 응급체계에 투자를 해야합니다만.....

    119는 국가직이 아닌 지방직이고... 응... 더 보기
    하루 이틀 나온 이야기도 아니고, 국방감축 이야기만 나오면 하는 이야기라서... 그리...

    솔직히 공보의 없애도 됩니다.

    요즘 면소재지에 병원이나 의원이 없는 곳도 없고, 농촌은 노인들이 많아서 노인들이 입원하는 요양병원도 엄청나게 많습니다.

    언론에서 이야기하는 산부인과, 소아과는 농촌에서 애가 태어나질 않는데 산부인과 소아과가 거기에 있을 이유가....

    오히려 119같은 응급환자이송에 더 예산을 써야하고, 지역 거점 응급체계에 투자를 해야합니다만.....

    119는 국가직이 아닌 지방직이고... 응급체계에 대한 투자는 뭐 그렇습니다.
    ORIFixation
    공보의가 없어지면 각 지방의료원들 페이 구하기가 지난하겠다는 생각은 드네요
    Beer Inside
    지방의료원 자체야 성남시 처럼 돈이 남아도는 지자체를 제외하고는 없애는 분위기이고,

    사람 구하는 것은 지금 양산되는 전문의 수자를 생각하면....

    그리고, 지역 거점 대학병원들로 부터 파견을 받는 방법도 있기는 합니다. 쿨럭....
    ORIFixation
    대학병원 파견..이있었군요ㅡ가끔씩 공보의가 없으면 지방 응급실들은 문닫는 다는 이야기가 있어서ㅎㅎ
    Beer Inside
    다.. 옛날 이야기 입니다.

    면허번호를 적을 수 있는 사람을 세워야 응급의료센터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공보의를 응급실에 세워 놓는것은 응급의료센터를 하지 않고 병원 당직을 하겠다는 것이지요.

    요즘 다들 힘들어서 당직은 원장들이 알아서 합니다.
    ORIFixation
    응급의학과가 상종가인 이유일까요ㅎ
    Beer Inside
    예... 응급의료센터를 하려면 머릿수를 채워야 합니다.

    그래서 요즘 응급실을 폐쇄하고 야간진료실을 둡니다.
    ORIFixation
    야간진료.. 힘들어지네요
    Beer Inside
    힘들어 질 것 까지야...

    과거에 비해서 자동차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어 들었고, 자동차보험수가도 삭감당하지 않으면 다행인 수준이라서...

    과거처럼 목숨걸고 밤에 응급실을 유지할 이유가 줄어들었지요.

    어차피 중증 외상은 알아서 큰 병원으로 이송해버리니....
    곧내려갈게요
    자동차 사고가 획기적으로 줄었다는 말씀이 인상적이내요. 아무래도 암주운전이 줄었다 라는 말과 같은 의미로 봐도 될까요?
    Beer Inside
    음주운전도 있고, 자동차의 안전도도 높아져서 과거같은 중증외상이 줄었습니다.

    거기에 과거에 비해서 도로도 많이 좋아졌지요.
    못 갈 겁니다
    2018년부터 ***모든 과***의 전공의 정원을 30% 의무적으로 줄여야 하는 판국에
    여유롭게 시골에 파견 보낼 수 있는 레지던트가 남아도는 병원이 과연 얼마나 있을지...
    Beer Inside
    펠로우가 갑니다. ㅋㅋㅋ...

    수당만 충분히 주면 교수가 가기도 합니다.

    그리고 전공의 감축은 2018까지 입니다.
    ORIFixation
    펠노예는 정말 할수있는 잡이 다양합니다!
    음 가능성은 충분히 있겠습니다만, 일단 그 때부터는 신규 전문의 절대 n수가 줄어드는데 과연 펠로 수도 여유로울까요..
    교수 입장에서도 옆에 두고 부려먹는게 나을 거라서 몇 달씩 보내는게 고작일텐데 그 정도 여유가 있으려면 의국 전체에 펠로 한 둘 가지고는 어림도 없으니까요.
    또 요즘 펠로 하려는 선생님들은 예전과 다르게 꼭 교수로 남으려고 하기보다는 강호에 나가기 전에 뭐 좀 배워보려고 잠깐 오는 분들이 대다수인데
    의무적으로 시골 가야한다고 하면 안 가도 되는 병원으로 몰리겠죠... 지금도 솔직히 지방 거점병원보다는 ... 더 보기
    음 가능성은 충분히 있겠습니다만, 일단 그 때부터는 신규 전문의 절대 n수가 줄어드는데 과연 펠로 수도 여유로울까요..
    교수 입장에서도 옆에 두고 부려먹는게 나을 거라서 몇 달씩 보내는게 고작일텐데 그 정도 여유가 있으려면 의국 전체에 펠로 한 둘 가지고는 어림도 없으니까요.
    또 요즘 펠로 하려는 선생님들은 예전과 다르게 꼭 교수로 남으려고 하기보다는 강호에 나가기 전에 뭐 좀 배워보려고 잠깐 오는 분들이 대다수인데
    의무적으로 시골 가야한다고 하면 안 가도 되는 병원으로 몰리겠죠... 지금도 솔직히 지방 거점병원보다는 서울쪽 빅4 가서 많이들 하지 않나요?

    아 교수들... 하긴 정년퇴임 직전 레벨의 교수들이 가는 건 종종 봤습니다. 뭐 그럴 가능성도 있긴 하네요
    전공의 감축은 과마다 다른데요, 2018년까지 유예를 받은 과도 있고 그 전까지 줄여야 하는 과도 있습니다. 저는 평균 삼아서 2018년이라고 그냥 쓴거라...
    Beer Inside
    그래서 3 + 2 제도로 변경을

    그리고 펠로우는 어차피 빈익빈 부익부
    네 그래서 말씀하신 지방 거점병원들은 빈익빈쪽이라... 보내고 싶어도 못 보낼 것 같다는게 제 의견이었습니다
    3 + 2로의 변경은 이거랑 큰 연관이 있는지는 모르겠네요
    Beer Inside
    3+2 의 숨은 뜻이 펠로우는 필수라는 것이니까요
    damianhwang
    저 아프간 있을 때도, 운영을 위탁받은 병원에서 보낸 인력은 펠노예였죠;;;;;;
    처음에 언플 한참 할 때는 교수중에 보내더니. 언플 단물 빠지니까..바로....
    펠로우가 간다!!! ㅇㄱㄹㅇ
    ORIFixation
    공중보건의을 없애고 나라에서 직접 의사를 고용하여 공공병원 확충을 하는 방향이라면 좋겠지만 그 정도 예산도 계획도 없이 진행되는 기분이라 어찌될지 모르겠습니다
    damianhwang
    여긴 대한민국입니다;; 그럴리가 없죠.
    이건 지금 밀어붙이고 있는 원격진료 활성화입니다 ;-)
    빠독이
    깊게 생각하고 하는 일이 아닌 것 같은데...
    Beer Inside
    아마도 서류상으로의 대책은 마련되어 있을 겁니다만 실현가능성은........
    레지엔
    없애는게 의료 시스템 건전화에도 좋고 의사 입장에서도 의료 산업 입장에서도 좋습니다. 지금 공보의 체제에서 이익이 돌아가는 건 의료 비용 지출 의사가 없거나 지출할 여지가 없는 시골 거주자이고, 과거에는 의료 기관이 없는 오지라는 정당화도 했는데 지금은 옆에 의원이 들어서도 보건지소 가는 판이라... 차라리 저소득층에게 의료비 보조 혜택을 확대하더라도 없애는게 맞긴 맞죠. 물론 국방부가 그런 거 생각하고 말했을리 없다에 한 표고...
    그리고 원격진료와 전문의약품 택배는 이렇게 급물살을 타겠군요. 진짜 급물살 탔다면 이건 누가 설계했다에 한 표.
    하늘밑푸른초원
    음? 이건 없애는 게 괜찮다는 말씀들이 많군요. 호오..
    레지엔
    일단 뭐... 여기 리플 다는 사람들은 사실 공보의 감축이 남 얘기고요(..) 공보의가 있어서 좋다는 건 그냥 군대 문제를 일반병이 아니라 다른 걸로 해결한다의 장점인건데, 이건 병역 해결되고 나면 별 관심이 없죠. 반면에 공보의가 존재해서 더 높은 값으로 진료를 볼 수 있는데 더 낮은 값으로 진료를 보게 되는 측면이 강하다는 점에서 공보의 제도는 경쟁자 그 자체기도 하고... 그리고 의대생을 대충 따져봐도, 제가 의대 다닐 때 일반병 복무 기간 18개월 얘기 나왔는데 그 때 남자들 중론이 일반병 24개월 vs 공보의 38개월이면 공보의로 쏠리겠지만 18 vs 38이면 걍 예과 끝나기 전에 갔다오고 만다... 였습니다.
    Beer Inside
    과거에도 6개월 방위는 당연히 가고, 18개월 방위는 고민했었는데.... 요즘은... 뭐...
    레지엔
    저희때도 상근뜨면 현역가는 케이스 있긴 있었습니다. 상근 뜨는 케이스 자체가 적어서 그렇지 뭐... 생각보다 그렇게 공보의/군의관이 엄청나게 매력적인 복무 방식이 아니죠 뭐.
    하늘밑푸른초원
    감사합니다. 또 배우고 가네요.
    Beer Inside
    얼마전 의료봉사간 '리'지역에도 보건지소와 의원이 모두 있더군요.
    레지엔
    제 후배가 가있는 곳은 보건지소 앞에 가정의학과, 100미터 이내에 내과가 있는데 내과나 가정의학과 가서 진료받고 보건지소 와서 처방전 떼고 와서 '넌 의사도 아니다'라고 개소리하는 진상들이 널려있기도 합니다. 그런 거 듣고 있으면 걍 보건지소 없애는게 속편합니다 진짜.
    DoubleYellowDot
    군이 의료시스템의 건전성을 위해 없애는건 아닐테니 어제 오늘은 그저 땡깡으로 밖에 안보입니다..맘대로 해봐라 그래..
    레지엔
    의무병이 해도 되는 것/안되는 것에 대한 태도를 보면 사실 군이야말로 한국 의료시스템 기형화의 한 3등공신쯤 되죠. 그런 놈들이 정상화 운운하면 진짜 국방부 앞에 가서 개소리를 자제하라 피켓들 생각도 있습니다.
    공보닷컴이 문을 닫겠군요 ㅋ
    이러면 공익법무관도 무사하지 못할 분위기인데요
    하니남편
    의사들 군의관 안가고 전부 현역가버리면 안되나요.?
    갓 면허 딴 남자 미필 의사들은, 인턴 지원 전에 의무사관후보생 신청서를 작성해서 제출합니다
    그래서 만약 인턴 지원시 신청서를 한 번 제출하게 되면 그 때부터는 나중에 제2국민역을 받았으면 받았지 병이나 공익으로는 갈 수 없습니다
    무조건 군의관이나 공보의, 징병의사 등으로 가야 합니다
    말씀대로 전부 현역 병으로 가려면 졸업하고 면허 취득 후 수련 전에 바로 가는 방법이 있긴 합니다
    하니남편
    국가 전문자격증을 날로부려먹을려는 민족의 반역자 놈들이군요.
    난커피가더좋아
    어떤의도인지 모르겠지만, 이공계 병역특례 없애는 것과 같은 취지라면....."이 xx 들아. 그냥 육군 부대를 줄여. 그 돈으로 전폭기를 사라구~!!!!. 춘추전국시대여? 쪽수로 전쟁하냐?"라고 말하고 싶지만....어차피 그들도 알면서도 별자리 수와 육군 파워 유지를 위해 이러고 있는 것이기에...별 기대는 안합니다.
    없애는게 맞아요.
    뒷짐진강아지
    원격진료 활성화를 위한 빅피쳐
    꽤나 뻘짓으로 보이네요. 현재 군의관이 부족하지만 그건 의전이 생겨서 그렇고 의전이 폐지되니 몇 년 후면 군의관은 예전만큼 공급될 겁니다. 근데 징병되는 인원은 예전보다 줄은데 비해 군의관의 수는 예전보다 오히려 늘기 때문에 군의관이 남아돌거 같은데요... 지금 군대에 의사가 아니라 시설과 시스템이 부족한 걸텐데 말이죠.

    그건 그거고 공중보건의가 굳이 필요한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전문연구요원의 경우 이런저런 필요가 있다고 하는데, 공중보건의는 지자체에서 공짜 자원이라 좋아하는 정도니까요. 요즘에 진짜 병원 없는 지역은 드... 더 보기
    꽤나 뻘짓으로 보이네요. 현재 군의관이 부족하지만 그건 의전이 생겨서 그렇고 의전이 폐지되니 몇 년 후면 군의관은 예전만큼 공급될 겁니다. 근데 징병되는 인원은 예전보다 줄은데 비해 군의관의 수는 예전보다 오히려 늘기 때문에 군의관이 남아돌거 같은데요... 지금 군대에 의사가 아니라 시설과 시스템이 부족한 걸텐데 말이죠.

    그건 그거고 공중보건의가 굳이 필요한지 의문이기는 합니다. 전문연구요원의 경우 이런저런 필요가 있다고 하는데, 공중보건의는 지자체에서 공짜 자원이라 좋아하는 정도니까요. 요즘에 진짜 병원 없는 지역은 드물고 대다수의 경우 더 싼 병원으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환자가 그렇게 많은 것도 아니라 지자체에서도 인건비+시설운영비를 직접 병원 진료보는데 보조금으로 주는게 세금 잘쓰는 법일 거에요. 이미 있는 보건의료 공무원들 때문에라도 유지해야 할런지는 모르겠네요. 아얘 섬 같은 곳은 그냥 지자체에서 돈을 더 써서 무기계약직 공무원을 뽑아야겠죠.
    헬리제의우울
    고심끝에 병특해체
    엄마곰도 귀엽다
    첨 들었을땐 공보의 월급 더 주고 뽑으려나? 그랬는데...
    원격진료가 있었군요 ㅋㅋ
    수박이두통에게보린
    '군대도 없애겠다.' 곧 나오겠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26 7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kaestro 25/04/16 33 0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4 흑마법사 25/04/15 377 8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401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78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449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739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3 치킨마요 25/04/11 834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001 8
    15377 일상/생각와이프가 독감에걸린것 같은데 ㅎㅎ 2 큐리스 25/04/10 532 11
    15376 일상/생각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3 셀레네 25/04/10 800 5
    15375 일상/생각우리 강아지 와이프^^;; 6 큐리스 25/04/09 748 5
    15374 기타[설문요청] 소모임 활성화를 위한 교육과정에 대해 도움을 요청드립니다. 21 오른쪽의지배자 25/04/09 583 4
    15373 과학/기술챗가놈 이녀석 좀 변한거 같지 않나요? 2 알료사 25/04/09 627 1
    15372 과학/기술전자오락과 전자제품, 그리고 미중관계? 6 열한시육분 25/04/09 460 3
    15371 꿀팁/강좌3.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감정 36 흑마법사 25/04/08 788 18
    15370 기타만우절 이벤트 회고 - #3. AI와 함께 개발하다 7 토비 25/04/08 422 12
    15369 정치깨끗시티 깜찍이 이야기 3 명동의밤 25/04/08 408 0
    15368 일상/생각우연히 폭싹 속았수다를 보다가.. 8 큐리스 25/04/08 682 0
    15367 영화지쿠악스 내용 다 있는 감상평. 2 활활태워라 25/04/08 394 1
    15366 경제[의료법인 법무실] 병원관리회사(MSO) 설립, 운영 유의사항 - 사무장 병원 판단기준 1 김비버 25/04/08 461 1
    15365 정치역적을 파면했다 - 순한 맛 버전 5 The xian 25/04/07 821 13
    15364 정치날림으로 만들어 본 탄핵 아리랑.mp4 joel 25/04/06 452 7
    15363 경제[일상을 지키는 법]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보증금 반환' 방법 2 김비버 25/04/06 571 5
    15362 일상/생각조조와 광해군: 명분조차 실리의 하나인 세상에서 4 meson 25/04/05 443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