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17/01/30 20:32:18 |
Name | April_fool |
Subject | 나무위키의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 |
설 연휴 기간 동안 나무위키가 또 시끄럽다는 말이 들려서, 잠시 관련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이 사건에 대해 서술된 관련 링크들 :
(사건의 내용이 내용이다보니 페미니즘 쪽에 치우친 링크가 많네요.) 사건의 내용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무위키에는 2016년 8월 초 개설된 [젠더 이퀄리즘]이라는 항목이 있었는데, 이게 사실은 해당 항목 개설자가 지어낸 것으로 추정되는 허구의 사상이었다는 것이죠. 몇몇 비슷한 사상을 짜깁기한 실체가 없는 허상이나 다름 없었는데, 이것이 나무위키 내부 항목들에 영향을 미친 것은 물론(나무위키 내부의 표현으로 “문헌오염”에 해당합니다.) 나무위키의 전파력을 타고 한국의 인터넷 공간 여기저기로 퍼져서 마치 진짜 서양에 이런 특정한 사조가 존재하는 것처럼 여기는 사람들이 늘어났습니다. 저 또한 마찬가지였고요. 이것이 밝혀지게 된 계기는 페미니즘 계열 위키위키인 아름드리 위키와 페미위키에서 각각 나무위키의 해당 문서의 근거가 없다는 점을 지적하면서였습니다. 이게 작년 말의 일인데, 이에 대해 나무위키에서 토론 스레드가 열린 것은 딱 오늘로부터 일주일 전의 일이라고 하네요. 이에 대해 이 토론 스레드를 연 것은 페미위키 측 기여자라는 주장이 페미위키 측에 있습니다. 이후 기나긴 토론이 이어진 끝에, 나무위키에서 해당 항목의 제목은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으로 바뀌었습니다. 해당 문서의 토론 페이지를 가 보니, 지금도 토론이 이어지고 있네요. 물론 이번 사건의 내용은 이를 지적했던 페미니즘 계열 위키위키에도 박제되었습니다. 여러 가지를 생각하게 만드는 사건입니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선동과 날조, 그리고 그에 대한 자정 시도가 한 자리에 모인 듯한 사건이네요. 그것과는 별개로, 원래 해당 문서가 다루고 있던 내용 때문에 페미니즘과 안티 페미니즘에 대해서도 생각하게 됩니다. 2
이 게시판에 등록된 April_fool님의 최근 게시물
|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딘가에서 국지적으로 일어난 사건을 가지고 호들 갑떠는 것 처럼 느껴지거든요.
제가 그런 인식차이를 크게 느꼈던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요.
대략 15년전 일이라 아시는 분들이 별로 없을 것 같은데. 연꽃소녀라는 이미지 테러가 유행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사람과 연꽃을 합성해서 징그러운 느낌을 주는 사진이었는데, 낚시성 제목으로 올려놓아서 보기 싫은 이미지를 보게 만드는 테러였지요.
이게 하루 이틀 ... 더 보기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게는 어딘가에서 국지적으로 일어난 사건을 가지고 호들 갑떠는 것 처럼 느껴지거든요.
제가 그런 인식차이를 크게 느꼈던 사건이 하나 있었는데요.
대략 15년전 일이라 아시는 분들이 별로 없을 것 같은데. 연꽃소녀라는 이미지 테러가 유행했던 적이 있었습니다.
사람과 연꽃을 합성해서 징그러운 느낌을 주는 사진이었는데, 낚시성 제목으로 올려놓아서 보기 싫은 이미지를 보게 만드는 테러였지요.
이게 하루 이틀 사이에 너무 크게 유행이되고 핫한 이슈가 되어서 제가 가는 커뮤니티들마다 난리였는데.
그래서 제가 지인들이 드나드는 카페에 '이런이런 제목의 글은 클릭하지 마세요'라고 글을 올렸습니다.
그런데 그 카페에서는 아무도 그 글을 본 사람이 없고 '오히려 네가 글을 쓰니까 몰라도 될걸 알게 되잖니'라는 핀잔을 들었지요.
저에게는 짧은 시간에 정말 광범위하게 일어난 테러로 보였지만 사실은 전혀 그렇지 않았던거죠.
저와 그 분들은 같은 시간에 인터넷을 하고 있었지만 완전히 다른 세상에 살고 있었으니까요.
저는 이 논쟁이 그런 케이스로 보여요.
예를 들면, 예전에 썼던 [시력의 정의](http://redtea.kr/pb/pb.php?id=free&no=3856) 글을 쓸 때 실은 ISO의 해당 규격(ISO 8596:1994)을 직접 보고 쓴 게 아니었어요. ISO 규격을 번역한 KS 규격(KS P ISO8596)을 나중에야 확인했었는데, 지금 이 댓글을 보니 그게 생각나네요. 지금이라도 수정해야 할지 말아야 할지 고민중…
이 책 강추 드립니다. 송호근 교수 아시죠? 엄청 짧은 책인데 말씀하신 내용의 반박이나 더 많은 내용들이 있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