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6/10/24 20:39:05
Name   tannenbaum
Subject   외국인 범죄에 대한 진실과 오해
본 게시물은 이민정책연구원에서 2015년 12월 발표한 '체류외국인 범죄의 오해와 진실'를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

http://www.iom-mrtc.org/business/business02_5.php?admin_mode=read&no=295#

링크에서 PDF파일로 전체 내용을 다운 받으실 수 있습니다.



사람 사는데는 다 똑같다 차별을 두어서는 안된다 믿고 그리 행동하려 노력합니다. 그러나 간혹 인적 드문 길에서 단체로 담배피우는 술 취한 조선족이나 중국인 무리를 만나면 흠짓하곤 합니다. 하지만, 그런 두려움의 원인은 그들이 조선족이거나 중국인이어서가 아니라 외진 길이었기 때문이고 위험해보이는 술취한 건장한 남자들 무리를 혼자 만났기 때문이지요. 그 무리에 사투리 심하게 쓰는 깍두기 포스 형님들이나 침 찍찍 뱉는 고딩들을 가져다 놔도 저처럼 쫄보에 소심한 사람은 겁나긴 매한가지인 것처럼요.

미디어에서 강력범죄를 저지르는 외국인 - 특히 조선족이 압도적이겠지요 - 을 자주 접합니다. 오원춘같은 케이스는 그 임팩트가 매우 강렬했습니다. 그런 경험들이 누적되다보면 어느새 외국인 = 위험한 사람이란 생각을 갖기도 합니다. 특히나, 백인들보다는 조선족, 중국인, 동남아인에 대한 차별적인 시선과 결합해 그 거부감은 더 강화되기도 합니다. 현실에서도 물론이고 넷상에서도 포지션을 가리지 않고 제노포비아가 나타납니다. 나름 진보적인 평을 듣는 커뮤니티에서도 그런 시선은 심심치 않게 발견됩니다. 외노자 = 불체자 = 범죄자 = 전부나쁜놈 요렇게요.

그런 시선은 주로 외노자로 불리우는 조선족, 중국인, 동남아, 이슬람에게 집중되는 편입니다. 외국인은 범죄자들이 많다. 그런 외국인들이 한국을 잠식하고 있는데도 정부는 다문화정책이란 이유로 도리어 그들을 활개치고 다니게 놔둔다. 그들로 인해 피해 받는 자국민을 외면하는것은 노동력 확보를 위한 자본가와 권력층의 음모다... 등등. 낙인에 가까운 시선을 받는 외국인과 그 범죄에 대한 인식이 어느정도 사실일까 평소에도 궁금하던 차 관련 자료를 보게 되었습니다.



1. 외국인 범죄(율)은 증가하고 있다.

*우상단 10만명당 범죄율에서 Y축 기준은 1만단위가 아닌 1천단위이고 빨간색 범죄건수는 아래 1000근처로 이동해야 합니다. 아마도 차트를 만들면서 오류가 있었던 듯 합니다.
*아래쪽은 왼쪽이 10만명당 강력범죄(살인, 강간, 강도)율이고 오른쪽이 총범죄건수입니다.

1998년~2008년까지는 도박과 교통범죄가 제외된 수치이므로 2008년까지는 범죄건수와 10만명당 범죄율이 과소평가 된 점을 고려하고 보셔야 합니다. 외국인이 증가한만큼 범죄건수는 증가하였으나 범죄율은 정체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습니다.


2. 외국인 범죄율은 한국인(내국인)보다 높다.



2009년부터 2013년까지 결과를 보면 10만명당 범죄율은 내국인의 절반 이하입니다. 하지만, 범죄유형별로 살피면 살인, 살인미수, 폭행, 마약은 내국인보다 적게는 30퍼센트 많게는 세배가 넘는 범죄율을 보이고 있습니다. 10만명당 범죄율은 외국인이 더 낮으나 강력범죄는 외국인들이 더 많이 저지르고 있습니다.

3. 불체자가 늘어날수록 범죄를 더 늘어난다.


이 차트도 오류가 있습니다. B/내국인범죄율 => 합법외국인체류자범죄율/내국인범죄율, C/내국인범죄율 => 불법외국인체류자범죄율/내국인범죄율의 오기입니다.

합법적으로 국내에 체류하는 외국인들이 전체/유형별 모두에서 불체자들보다 범죄율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막연한 불체자에 대한 이미지는 어느정도 편견이 섞이지 않안나 싶습니다.

4. 중국인(조선족)의 범죄율이 높은가.


외국인 범죄하면 열에 아홉은 중국인이나 조선족을 떠올릴 것입니다. 총 범죄건수로는 국내 체류중인 중국인의 수가 압도적이기 때문에 중국인이 1위입니다. 하지만 범죄율은 몽골로 내국인의 1.5배로 가장 높은 범죄율을 보이고 있으며 몽골을 제외한 나머지 국가의 범죄율은 내국인보다 낮습니다. 각 범죄유형별로 범죄율은 표에서 보듯 중국인은 단 한 항목에서도 가장 높은 범죄율을 보이고 있지 않습니다.



예상했던 결과와 맞는 부분도 있고 다른 부분도 있습니다만, 이렇게 정리된 자료를 살피는 건 좋은 경험이었습니다. 통계라는 것은 동일한 수치를 놓고도 해석하는 이에 따라서 달라지기도 합니다. 정치권에서 흔히 보는거지요?

누군가는 '이것봐라 외국인들이 문제다. 살인, 상도, 폭력 같은 강력범죄를 내국인보다 더 저지르지 않나?', 또 다른이는 ' 아니다 이것은 사건발생수가 내국인보다 월등히 적은데다 외국인들끼리 일어나는 사건도 반영해야 한다. 단순히 강력범죄율이 높다는 것 만으론 정당치 않다' 라고 주장할 수 있습니다. 두 주장 다 틀린건 아닙니다. 아니 두 주장 다 옳다고 해야겠네요.

이 자료를 통해서 어떤 주장이 절대적으로 옳다고 판단할 수는 없겠지만, 관련된 주장을 할때 최소한의 근거를 찾아보는 것도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6-11-07 09:43)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6
  • 논문급 자료정리에는 추천
  • 자료분석 감사합니다
  • 팩트는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5 과학외계 행성을 (진지하게) 발견하는 방법 11 곰곰이 17/02/24 7564 12
290 정치/사회외국인 범죄에 대한 진실과 오해 6 tannenbaum 16/10/24 7562 6
17 과학음, 그러니까 이게 특수 상대성 이론이라 말이지?... 12 neandertal 15/06/10 7561 0
532 일상/생각울진 않을거 같습니다. 14 aqua 17/10/21 7552 57
181 기타왜 아이들은 학교에 가지 않으면 안 되는가 22 Moira 16/04/08 7544 6
318 기타아직도 이불킥하는 중2병 썰, 20 마투잘렘 16/12/06 7543 16
446 일상/생각어떤 변호사의 이혼소송에 관한 글을 보고. 11 사악군 17/06/05 7538 26
684 여행관심 못 받는 유럽의 변방 아닌 변방 - 에스토니아 6 호타루 18/08/15 7536 16
569 의료/건강타 커뮤에서 상처받은 이들이 홍차넷 탐라를 찾는 이유 31 소맥술사 18/01/03 7533 16
1065 정치/사회수준이하 언론에 지친 분들을 위해 추천하는 대안언론들 19 샨르우르파 21/03/03 7530 24
292 의료/건강너무 착한 병 17 눈부심 16/10/25 7521 13
414 체육/스포츠Elo rating으로 보는 주요 클럽들의 피크 포인트 25 구밀복검 17/04/19 7512 7
653 철학/종교칸트 전집 번역 논쟁은 왜때문에 생겼나. 76 기아트윈스 18/06/28 7503 16
660 문학왜 일본 만화 속 학교엔 특활부 이야기만 가득한가 - 토마스 라마르 31 기아트윈스 18/07/09 7489 30
361 꿀팁/강좌사진찍으러 갈까요? 22 사슴도치 17/02/07 7487 25
920 일상/생각아들놈이 대학병원에서 ADHD 판정을 받았습니다 70 아나키 20/02/06 7480 146
99 일상/생각삐딱하게 사는 것, 사실은 세상이 내게 원한 것 41 난커피가더좋아 15/10/25 7473 11
719 체육/스포츠펩빡빡 펩빡빡 마빡 깨지는 소리 : 과르디올라는 왜 UCL에서 물을 먹는가 34 구밀복검 18/10/30 7459 14
85 과학불멸의 세포 17 모모스 15/10/09 7452 10
335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51 기아트윈스 16/12/30 7435 11
445 음악세상은 이런 색을 하고 있었던 걸까 5 틸트 17/06/05 7431 7
634 의료/건강술을 마시면 문제를 더 창의적으로 풀 수 있다?!!!! 61 소맥술사 18/05/15 7428 23
519 경제외감법 개정과 감사인 지정제는 왜 해야하는가 75 CathedralWolf 17/09/26 7421 9
201 과학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7421 5
738 여행온천, 온천을 가보자 38 Raute 18/11/30 7419 2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