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7/13 20:41:57
Name   마르코폴로
Subject   서울에도 없는 서울한정식


지방은 물론이거니와 서울의 한정식집을 찾아다니다보면 한가지 의문점이 들게 마련입니다. 남도한정식, 개성한정식은 심심찮게 찾아볼 수 있는 반면에 서울한정식은 어디에서도 볼 수가 없습니다. 호남지방이나 개성, 서울 모두 넓은 평야를 끼고 있고 해산물을 손쉽게 구할 수 있다는 지리적 공통점을 지니고 있음에도 서울의 음식만 유독 발전하지 못했습니다. 고려 500년 동안 발달한 개성음식 문화는 조선을 거치면서도 살아남았는데, 조선 500년 도읍지였던 서울의 음식은 몇가지 서민음식과 궁중음식을 빼면 사라져버렸습니다. 서울의 음식이 번듯한 한정식으로 자리 잡지 못한 것에는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 위 식당들은 각각 남도식과 개성식 한정식을 표방하고 있습니다.


첫번째로 지배계층이 향유하던 문화의 차이입니다. 고려의 지방호족들이 왕이 부럽지 않을 정도로 호의호식한 반면에 조선의 사대부들은 유교의 영향으로 사치스러운 생활을 밖으로 드러낼 수 가 없었죠. 뒤에서야 이것 저것 다 해봤겠지만 적어도 표면적으로는 백성이 우선이고 근검절약을 좌우명으로 삼아야했습니다. 흉년이 들면 금주령을 내려서 겉으로나마 술도 마실 수 없었으니 고려시대에 비해 음식에 대한 제약이 심했습니다.(물론 고기가 너무 먹고싶은 나머지 농사짓던 소를 때려잡은 왕도 있지만 이건 예외로 합시다.)

두번째로 아래 계급으로의 음식문화 전이가 실패했기 때문입니다. 어느사회나 상류 계층의 문화는 그보다 아래 계급으로 자연스럽게 펴져나가기 마련이죠. 유럽이나 중국같은 경우에서 볼 수 있듯이 귀족의 문화가 부유한 평민에게로, 그리고 일반 대중에게로 순차적으로 퍼지는 것은 어느 문화권에서나 쉽게 볼 수 있는 현상입니다. 고려시대의 호족은 대부분 지방의 근거지와 별개로 수도에 묵을 집을 두었습니다. 연회에 참석하거나 진상품을 하사하는 등의 정치 행위는 일상이었고, 이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호사스러운 음식들이 생겨났습니다. 이런 호족들의 행태는 여유가 있는 아래 계층 사람들의 상차림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며,  앞에서 언급한 일련의 과정들을 거쳐 개성음식이라는 특징이 만들어졌을 겁니다.

조선시대의 사대부들도 지방에 거점을 두고 수도에서 관직생활을 하는 행태에는 크게 변화가 없었지만 고려시대 호족들이 누리던 물질적 풍요를 추구 할 수는 없었습니다. 궁궐에서 임금의 평소 식단조차  십일첩반상을 넘기지 않았으니 요즘의 한정식 상보다 오히려 못 해 보일 지경이었습니다. 그러다 보니 조선의 상류 계층들이 일상적으로 먹던 음식들은 아래 계층으로 퍼질 만한 것도 없었던 것이죠. 물론 연회나 특별한 행사에 사용되던 궁중음식들이 있었습니다. 그리고 이런 화려한 음식들은 왕실과 사대부의 혼인을 통해 반가로 퍼져나가고 다양한 형태로 발달됩니다. 그런데 이렇게 퍼진 궁중음식들의 밑바탕이 개성음식이었습니다. 결국 서울의 음식이란 것은 그보다 먼저 발달한 개성음식에 가려지고 말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서울에서도 서울식한정식을 찾을 수가 없게 된 것이죠.



0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00 역사사도세자의 아들 - 홍씨와 김씨 (1) 6 눈시 15/11/08 9683 8
    1461 역사지헬슈니트 (낫질) 작전 - 1940년 독일-프랑스 전투 9 모모스 15/11/04 18402 2
    1419 역사[언어] 가카의 기원 20 기아트윈스 15/11/01 9845 4
    1275 역사사도 - 역적이되 역적이 아닌 8 눈시 15/10/16 9371 8
    1250 역사사도 - 그 때 그 날, 임오화변 16 눈시 15/10/14 8820 8
    1213 역사사도 - 지옥으로 가는 길 5 눈시 15/10/09 8608 4
    1199 역사사도 - 사랑치 않으시니 서럽고, 꾸중하시니 무서워서... 7 눈시 15/10/08 8415 6
    1191 역사천연두 바이러스 6 모모스 15/10/07 13139 5
    1181 역사사도 - 우리 세자가 달라졌어요 11 눈시 15/10/06 7720 2
    1129 역사두 형제 이야기 - 황형의 유산 9 눈시 15/09/30 7414 4
    1084 역사술잔과 작위 16 마르코폴로 15/09/23 8225 0
    1045 역사두 형제 이야기 - 삼수의 옥, 무수리의 아들 8 눈시 15/09/20 7773 0
    1034 역사보스턴홍차사건 (Boston Tea Party) 10 모모스 15/09/19 10165 2
    1031 역사두 형제 이야기 - 신축옥사, 장희빈의 아들 10 눈시 15/09/19 7589 2
    955 역사두 형제 이야기 - 아버지가 남긴 것 12 눈시 15/09/09 4893 8
    930 역사이 한 장의 사진... 9 Neandertal 15/09/06 4805 1
    680 역사당신 그림의 가격은 우리 와인 4박스요.- 샤또 무통 로칠드 14 마르코폴로 15/07/29 9235 0
    671 역사은나라 주왕은 정말 폭군이었는가 8 개평3냥 15/07/28 13198 0
    654 역사주왕은 왜 폭군이 되었을까? 15 마르코폴로 15/07/25 8212 0
    647 역사중국의 4대 미인과 요리 21 마르코폴로 15/07/24 9041 0
    646 역사일본 쇼토쿠 태자의 패기(?)... 17 Neandertal 15/07/24 15694 0
    632 역사한일관계보다 더 심각한 중국과 몽골의 관계 10 마르코폴로 15/07/22 12497 1
    583 역사서울에도 없는 서울한정식 30 마르코폴로 15/07/13 8373 0
    562 역사피맛골, 사라진 골목에 대한 아쉬움 18 마르코폴로 15/07/10 11089 0
    398 역사강화도가 무너지던 날 14 눈시 15/06/22 849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