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2/07/03 17:12:46수정됨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안전운임제와 시민 안전의 관계
안전운임제와 시민 안전의 관계
https://www.sisa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47814

안전운임제 이후 가장 달라진 것은 화주가 운수사에 주는 운임, 운수사가 화물차주에게 주는 운임의 최저선이 구간별로 정해져 있다는 점이다. 예컨대 40피트(길이 12m) 컨테이너를 싣고 부산신항에서 서울까지 400㎞ 거리를 왕복한 화물차주는 운수사로부터 최소 87만6200원을 받아야 한다. 화주는 운수사에 최소 98만8900원을 줘야 한다.

안전과 운임의 연관성을 입증한 국내외 연구는 다수 존재한다. 경제학자 마이클 벨저 등이 2002년 미국에서 두 번째로 큰 화물운송 업체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거리당 운임이 10% 증가할 때마다 월별 사고 확률이 34% 감소했다는 연구가 대표적이다. 국내 화물운송 시장 실태조사 자료를 분석해보니, 회당 운임이 하락할 때 사고 위험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연구도 있다(이광훈·김태승 ‘한국 화물운송 노동자의 노동환경이 교통사고에 미치는 영향 분석’ 2017).

설령 안전과 운임이 상관이 있더라도, 특정 금액 이상을 주도록 ‘강제’하는 것은 문제라는 시각도 있다. “정부가 이거 얼마 줘라, 그거 안 지키면 처벌받는다는 게 이건 뭐 사회주의 국가입니까(함진규 당시 자유한국당 의원)?”

그러나 안전운임제는 정부가 일방적으로 특정 운임을 강제하는 것이 아니다. 화주·운수사·화물차주 등이 참여하는 안전운임위원회에서 심의해 결정한다

화주와 대형 운수사들이 사적 이익을 위해 떠넘긴 부담은, 결국 도로 위 시민들의 위험이라는 비용으로 돌아온다. 시장 실패다. 안전운임제는 바로 이런 시장 실패를 교정하기 위해 관련 주체들이 합의할 수 있는 장을 만든 것으로 봐야 한다. “도로운송 산업은 다른 산업들과 달리 고정된 작업장에서 노동 과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일반 도로 사용자들과 ‘작업장’을 공유하고 있다. 따라서 화물차 안전문제는 공공의 안전과 직결된다. 사회적 조절과 규제의 필요성이 높다(백두주 ‘한국 안전운임제 시행효과 분석 및 지속가능한 제도시행을 위한 정책과제’ 2022).”

=============================

시사인의 기사는 참 좋은게 많은데
유료구독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2주가 지나야 내용을 공개하는? 그런 룰이 있어서
읽었다가 잊어버리고 소개 못할때가 꽤 되는데
이건 기억이 났습니다? ㅋㅋ

지난 화물차 파업때 이슈가 되었던 안전운임제란 무엇인가, 어떻게 산정되는가,
왜 일몰제를 갖고 도입 되었는가? 효과는 있는가? 그런걸 애초에 왜 만들어야하는가?
같은 질문들에 답이 되는 부분들을 대략적으로 복붙해서 소개드리고 싶었습니다.
읽어보면 유익한 기사라고 생각해요



9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388 사회'휠꾸'하며 알게 됐다, 휠체어가 사실 멋진 물건이라는걸 늘쩡 22/07/15 1857 9
30159 사회안전운임제와 시민 안전의 관계 2 매뉴물있뉴 22/07/03 2207 9
29499 정치한동훈 법무부장관 취임식서 "오늘 즉시 증권범죄합수단 출범" 17 매뉴물있뉴 22/05/17 2330 9
29077 정치척추협착 탓에 ‘현역’ 빠졌는데…수강·연구에 자원봉사까지? 33 Ye 22/04/15 3420 9
29039 정치인수위, 시민단체 기부금 내역 국민에 공개한다 5 empier 22/04/13 2124 9
28991 문화/예술아프리카 최빈국 원주민이 건축계 노벨상 '프리츠커' 받은 이유 3 늘쩡 22/04/09 2687 9
28976 사회윤석열의 '52시간제' 비판, 일본은 정말 두 시간씩 줄였나 7 dolmusa 22/04/07 2927 9
28811 댓글잠금 사회이준석 “볼모”에 놀란 김예지 국힘 의원, ‘이동권 시위’ 참여한다 50 늘쩡 22/03/29 3992 9
28801 문화/예술세상의 모든 음식은 안주가 된다 7 이건마치 22/03/28 2177 9
28784 기타[김지수의 인터스텔라] “꽃보다 故人... 죽은 자가 웃는 장례 치르라” 임종 감독 송길원 2 아재 22/03/26 2662 9
28660 사회서울교통공사 "장애인 단체는 싸울 상대"...'언론 플레이' 정황까지 17 자공진 22/03/17 2792 9
28508 정치尹 "150만원 받고 일하겠다는 사람은 일 못해야 하나" 53 노바로마 22/03/07 3467 9
27044 사회한국 영화에서 조선족은 왜 늘 악당이죠? 12 늘쩡 21/12/18 2804 9
26281 사회EBS '위대한 수업' 석학 이렇게 섭외했다 7 곰곰이 21/10/25 2722 9
25928 정치‘천화동인’ 멤버들, 대장동 개발前 땅 32% 사뒀다 11 Profit 21/09/28 2715 9
25681 문화/예술양영희 감독 “왜 이런 집의 딸일까…부정하고 싶은 정체성, 정면으로 마주쳐야 했다” 6 기아트윈스 21/09/09 2338 9
25507 외신"이것이 감사 표하는 법" 외신기자들이 본 韓의 아프간인 구출 17 Regenbogen 21/08/26 4334 9
25342 의료/건강건보 재정 파탄내면서 '병원비 걱정없는 나라' 자화자찬 11 맥주만땅 21/08/14 2640 9
25311 정치'박원순 태양광' 업체들, 보조금 120억 챙기고 폐업했다 12 Profit 21/08/12 2665 9
24913 사회보호아동 종료 시기 18살→24살로 연장..'등 떠민 자립' 늦춘다 7 매뉴물있뉴 21/07/13 2500 9
24911 사회청소년성문화센터장, 청소년n번방 접속 설문조작 14 주식하는 제로스 21/07/13 3941 9
24412 정치[영상] 이준석 "5·18 민주화운동, 민주화 역사 속 가장 처절했던 저항" 4 Regenbogen 21/05/30 3544 9
24208 정치추미애가 없앤 증권범죄합수단 부활추진 9 주식하는 제로스 21/05/12 3197 9
24112 사회LG트윈타워 청소노동자들 136일 만에 농성 마무리 자공진 21/05/01 2928 9
23987 사회“여직원은 운동화 안 돼”라던 백화점…이제서야 허용 4 다군 21/04/19 3259 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