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3/05/31 10:45:50 |
Name | sarammy |
Subject | 100인 미만 사업체의 애플 엔터프라이즈 개발자 갱신 거절 관련 문의 |
안녕하세요, 사내 메신저를 관리하는 직원입니다. 사내 메신저는 PC/App 양방향으로 사용중이며, 근로자수 100인 미만인 외부 솔루션 업체를 통해 개발 및 유지보수를 진행중입니다. 패치가 있을 때마다 운영중인 서버에 별도 페이지를 생성해 앱스토어 심사를 받은 .ipa와 .plist 파일을 배포하여 사용자가 별도 권한승인 조치 없이 앱 내에서 업데이트를 할 수 있도록 작업 중인데(iOS기준), 이번 iOS 패치파일을 배포하려고 하니 솔루션 업체 측에서 근로자수 100인 미만의 사업체라는 이유로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 갱신을 거절당해 .ipa와 .plist파일 아카이빙 및 앱스토어 심사를 요청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제가 갤럭시만 쓰다보니 도대체 정책을 이해할 수가 없어서.. 좀 더 찾아보니, 앱을 아카이빙하고 심사를 받으려면 1) apple developer program 또는 apple developer enterpirse program 중 하나를 등록하고, 2-1) apple developoer program으로 등록한 경우 앱스토어 공개를 전제로(실제로는 공개하지 아니하고 사내 배포용) 우회적으로 승인을 받거나, 2-2)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로 등록한 경우 비공개 앱 배포를 하는 사유를 포함하여 심사 승인을 받아야하는 것으로 이해를 했습니다.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의 등록 및 갱신 정책이 강화된 것은 작년 초반이고, 1년(또는 3년)마다 갱신을 한다면, 그 사이에 지금 저희가 겪고 있는 사례와 비슷한 사례가 있었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애플 개발자 포럼 등을 검색해보니 마땅한 해결책이 보이진 않습니다. 그래서... 1. 100인 미만 사업체가 용역을 받아 솔루션을 제공하는 경우 위와 같이 enterprise program 갱신이 거절된 경우 어떻게 앱을 배포하고 있는지가 궁금합니다. 2. 용역사가 아닌 요청업체에서 apple developer enterprise program을 등록한다고 하면 애플 이중인증을 우회할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용역사가 개발한 앱을 요청업체에서 심사받는 절차까지 수행하는 건... 들어본 적도 없고, 그렇게까지 하고싶지 않습니다 --; 주변에 앱 개발자들이 있으면 좀 물어보고 할텐데, 마땅히 그런 인맥도 없다보니 물어볼 곳이 홍차넷 밖에 없네요 ^^; 답변 주시는 모든 분들께 미리 감사의 인사를 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arammy님의 최근 게시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