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15/12/10 15:09:00 |
Name | [익명] |
Subject | 10여년간 손해보험사에 근무하다가 온라인 홍보사로 이직했습니다. |
보험회사에서는 주로 기업보험 상품개발 -> 언더라이팅 -> 신사업기획(with IT) -> 기업영업 위주로 근무했고요 회사가 갑자기 미쳐서 직원들을 짜르는 통해 방황하다가 우연한 기회에 온라인 홍보회사 (Non - Incentive CPI 쪽으로 1위 회사입니다.)로 이직했습니다. 굵직굵직한 모바일 게임 App 홍보는 거의 다 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보험회사 이야기, 구조조정 이야기, 이직이야기, 홍보이야기, 게임광고 이야기 아무거나 다 받습니다. 0
|
Non-Incentive CPI 쪽 홍보의 범주가 되게 궁금하네요...
예를 들어보면 1) 신규 이용자에게 카톡 이모티콘 스티커를 준다 / 2) 복귀 및 신규유저 아이템을 지급한다. / 3) 친구 10명 초대하면 초대한 본인에게만 아이템을 준다.
이 경우(1,2,3 각각) 범주가 어디까지 되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Non-Incentive CPI에 대해 잘못 이해할 수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들긴하지만...
모바일 게임이 Non-Incentive CPI 방법 구사하면서 잘 되고 있는게 뭐가 있죠? 전 사실 모바일 게임을 일절 안하는 사람이라... 유명한 게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이런방식의 홍보로 유입이 많이 있나요? 어떤 방식이 있는지 예를 들어주시면 ㅠㅠ 감사하겠습니다
예를 들어보면 1) 신규 이용자에게 카톡 이모티콘 스티커를 준다 / 2) 복귀 및 신규유저 아이템을 지급한다. / 3) 친구 10명 초대하면 초대한 본인에게만 아이템을 준다.
이 경우(1,2,3 각각) 범주가 어디까지 되는지 궁금하네요... 제가 Non-Incentive CPI에 대해 잘못 이해할 수 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들긴하지만...
모바일 게임이 Non-Incentive CPI 방법 구사하면서 잘 되고 있는게 뭐가 있죠? 전 사실 모바일 게임을 일절 안하는 사람이라... 유명한 게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이런방식의 홍보로 유입이 많이 있나요? 어떤 방식이 있는지 예를 들어주시면 ㅠㅠ 감사하겠습니다
일단, CPI 는 인스톨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게임 앱 하나를 설치할때 마다 광고비가 책정/지불되는 것이고요.
기존 방식이 \"설치만 하면 문화상품권을 쏜다!\' 와 같은 인센티브 CPI방식이었는데,
Non-Incentive는 그런거 없이 순수 홍보/광고로만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인스톨을 유도하는 것이에요.
당연히 고객의 충성도가 높고 허수가 적죠. 대신 실제 설치율은 떨어지죠. 하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오히려 충성사용자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어요.
그래서 대형 게임사 같은 경우는 처음에 인센티브 방식으... 더 보기
기존 방식이 \"설치만 하면 문화상품권을 쏜다!\' 와 같은 인센티브 CPI방식이었는데,
Non-Incentive는 그런거 없이 순수 홍보/광고로만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인스톨을 유도하는 것이에요.
당연히 고객의 충성도가 높고 허수가 적죠. 대신 실제 설치율은 떨어지죠. 하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오히려 충성사용자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어요.
그래서 대형 게임사 같은 경우는 처음에 인센티브 방식으... 더 보기
일단, CPI 는 인스톨을 의미합니다. 새로운 게임 앱 하나를 설치할때 마다 광고비가 책정/지불되는 것이고요.
기존 방식이 \"설치만 하면 문화상품권을 쏜다!\' 와 같은 인센티브 CPI방식이었는데,
Non-Incentive는 그런거 없이 순수 홍보/광고로만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인스톨을 유도하는 것이에요.
당연히 고객의 충성도가 높고 허수가 적죠. 대신 실제 설치율은 떨어지죠. 하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오히려 충성사용자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어요.
그래서 대형 게임사 같은 경우는 처음에 인센티브 방식으로 확 풀어서 앱스토어내 순위를 올리고, 이후 논인센티브 방식으로 진행을 하기도 해요. (돈 많은 회사에 한정해서...)
요새 많이 달리고 있는 게임은 아무래도 \"주사위의 신\"입니다.
기존 방식이 \"설치만 하면 문화상품권을 쏜다!\' 와 같은 인센티브 CPI방식이었는데,
Non-Incentive는 그런거 없이 순수 홍보/광고로만 일반 사용자로 하여금 인스톨을 유도하는 것이에요.
당연히 고객의 충성도가 높고 허수가 적죠. 대신 실제 설치율은 떨어지죠. 하지만 광고주 입장에서는 오히려 충성사용자 확보 측면에서 장점이 있어요.
그래서 대형 게임사 같은 경우는 처음에 인센티브 방식으로 확 풀어서 앱스토어내 순위를 올리고, 이후 논인센티브 방식으로 진행을 하기도 해요. (돈 많은 회사에 한정해서...)
요새 많이 달리고 있는 게임은 아무래도 \"주사위의 신\"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