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9/06/29 19:11:23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학사 출신 임상심리사입니다.
궁금한 것 많이 물어봐주세요.

순전히 운빨로 취뽀해서 일 하고 있는 학사 출신 임상심리사입니다.

주로 소아 청소년을 대상으로 검사 및 평가를 진행합니다.

알고 있는 수준에서 성심껏 답변해드립니다 :)



0


사나남편
육아와 가사로 맨탈이 출타하는경우가 많읍니다. 어떻게 하면 저도 제 인생을 살수있을까요?
2
[글쓴이]
매우 짧지만 심오한, 근본적인 질문을 달아주셨네요..오히려 제 짧고 얕은 답변으로 되려 기분이 상하실까 걱정이 됩니다..

제 주된 고객(?)들은 아동, 청소년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부모 상담과 필요하다면 검사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짧지만 1년여 동안 일을 하면서 깨닫게 된 사실은 부모님들은 잘못된 양육 방식을 캐내거나 고쳐주기를 원해서 오시지만 결국엔 온전히 내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짐에 많은 위로를 받고 가시는 것 같았어요.

육아와 가사로 밀려난 '나 자신'을 알아봐주고, 그 동안 잘 해왔다 토닥... 더 보기
매우 짧지만 심오한, 근본적인 질문을 달아주셨네요..오히려 제 짧고 얕은 답변으로 되려 기분이 상하실까 걱정이 됩니다..

제 주된 고객(?)들은 아동, 청소년이긴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부모 상담과 필요하다면 검사도 같이 진행하게 됩니다.
짧지만 1년여 동안 일을 하면서 깨닫게 된 사실은 부모님들은 잘못된 양육 방식을 캐내거나 고쳐주기를 원해서 오시지만 결국엔 온전히 내 문제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이 주어짐에 많은 위로를 받고 가시는 것 같았어요.

육아와 가사로 밀려난 '나 자신'을 알아봐주고, 그 동안 잘 해왔다 토닥여주는 것부터 시작해보시는건 어떨까 합니다.
현실적으로는 어려움이 있겠지만, 꼭 물리적으로 분리된 공간에서만 자신을 돌아볼 수 있는건 아니니
하루에 5분, 10분 만이라도 온전히 '나'를 생각해주는 시간을 가져보시는 방법도 있을 것 같습니다.
사나남편
감사합니다.
구르릉
안녕하세요. 가족 간의 절연, 어떻게 보시나요?
1
[글쓴이]
물론 매우 고통스럽고 힘든 과정이긴 하지만, 삶에서 일어날 수 있는 일 중에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세상에서 가장 먼저 만나는 사람들이고, 그들로부터 세상을 배워나가기 때문에 매우 특별한 의미를 갖게 되는 집단이지만
그게 나를 이루는 전부는 아니니까요.
생애 초기에 필연적으로 만나게 되는 혈연관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도 존재할 수 있구요.
다만 대부분의 경우, 자기 방어를 위해 어쩔 수 없이 하는 아픈 선택이기 때문에 안타까운 마음이 많이 듭니다.
증오가 섞이긴 했지만 여전히 가족이란 존재 자체에 대한 애착은 쉽게 포기할 수 없는 것이니까요.
1
[글쓴이]
짧게 덧붙이자면
직장에서 상담사끼리 가장 많이 하는 소리가 '가족이 제일 어려운 인간관계다' 입니다.
1
세무회계연습
1. 업계 평균이 석사이고 박사는 옵션(?)인데, 석사 가실 의향이 있으신지요?
2. TCI 검사에서 4가지 기질 중 RD와 P척도가 낮다면, 유의미한 수준까지 올릴 수 있나요? 기질은 타고난 것이라서 바꾸기 불가능하단 말을 말을 들었는데 맞나요?
1
[글쓴이]
1. 석사는 준비 중이나 임상 전공은 상근직을 유지하면서 병행하기엔 불가능할 것 같아서.. 상담 분야도 포함하여 넓게 바라보고 있습니다. 흑흑.
2. TCI는 잘 다루지 않아 정확한 답변은 드리기 어려우나.. 말씀하신 대로 기질은 유전자와 같이 생물학적인 근원에서 발현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변화시키기 어렵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기질 역시 성격과 마찬가지로 인격를 구성하는 요소이기 때문에 환경의 변화속에서 이를 어떻게 발현 혹은 통제할 것인가는 선택(?)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1
세무회계연습
답변 감사합니다. 기질도 발현, 통제함을 선택할 수 있지 않을까 말씀하시니 아주 희망은 없는 게 아니군요.

그리고 석사 가시면, 좋은 논문 주제 만나 훌륭한 논문 작성 하시길 빕니다.
1
떡라면
임상심리사는 주로 어떤 일을 하시나요?
1
본래 임상심리는 심리 평가 및 치료 전반을 아우르지만, 한국에서는 세력 다툼에 밀려(?) 심리 검사 및 평가로 제한되어 있는 경우가 허다합니다ㅠ 저 역시 검사와 그를 통한 평가를 주로 하며 치료는 상담사, 혹은 정신과 의사가 실시합니다.
구박이
채소 조아하시나요?
1
[글쓴이]
피망 다.이.스.키★
파나 양파, 고수와 같이 향이 강한 계열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좋아합니다
[글쓴이]
다들 밤이 되니 슬슬 등장하시는군요!
환영합니다, 올빼미족 여러분 :D
1
구르릉
심리학도 분들도 귀신 보나요?
3
[글쓴이]
심리학도들은 잘 시간에 논문을 번역해가야 하기 때문에 잘 보지 못합니다.. 흑흑..
여름에가입함수정됨
안녕하세요 선천적으로 인내심이 약할 수 있나요? 좋은 말을 듣고 다음에 나쁜 말을 들었을 때 좋은 것만 담아두기 어려워요. 좋은 것을 구분하고 싶은데 스트레스 받으면 머리가 자꾸 끊길 때가 있습니다. 왼쪽 편두통이 자주 있고 오른쪽 다리가 아픈데 심리 상담보다, 병원에 가 봐야겠죠?; 긴 질문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1
[글쓴이]
자극에 예민하고 스트레스에 취약한 기질은 존재합니다. 물론 심리적인 이유도 있겠지만요.
편두통과 다리 통증 같은 경우는 실제로 신체적인 질병으로 인해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으나, 축적된 스트레스로 인한 신체화 증상일 가능성 또한 존재합니다. 이 경우에는 약물치료를 통한 신체적 증상 완화와 더불어 정서적 영역에 대한 접근 또한 필요하기 때문에, 상담 및 약물 모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물론 각각의 장단점이 있으니 잘 살펴보시고 좋은 선택 하시길 바랍니다 :)
여름에가입함수정됨
정확히 제 어디가 어떤지 모호한데 짧은 글에서 읽고, 방향도 찾아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덕분에 더 기분이 나아졌습니다.
어떤 경로(?)로 임상심리사의 길을 선택하시게 되셨나요? 직업에 만족하시나요?
1
[글쓴이]
임상심리의 기운(?)이 강한 심리학과를 졸업해서.. 상담보다는 임상이 친숙하게 느껴진 것 같습니다.
무엇보다 상담은 매우 레드오션이기 때문에ㅠㅠ 하고 싶어도 괜찮은 자리에 취직은 힘들겠다는 생각도 있었구요.
내용적으로는 눈에 보이는 데이터를 가지고 논리적인 연산(?)을 하는 임상심리사가 제 적성에 더 맞았습니다.
상담은 수치화 되서 표현될 수도 없고, 눈에 보이지 않는 역동을 이끌어내고 하는 부분이 너무 힘들더라구요..

현재 직업은 소아 청소년을 주로 만나다보니 그 자체로 힐링이 되기도 하고, 수퍼비전이나 연수에 대한 지원도 조금이나마 있어서 다른 곳처럼 눈치보면서 공부하지 않아도 되서.. 그 부분은 매우 만족하고 있습니다 :)
1
소아 청소년이 어른보다 때가 덜 타서(?) 힐링이 되시는 건가요??
1
[글쓴이]
일단 앳되고 귀여운 얼굴이 넘 좋구요...ㅋㅋㅋ 선생님~하면서 따르는것도 넘모 귀여워요..
그리고 상담에 있어서도 성인보다 문제에 대한 직면이나 받아들임(?)도 조금 더 유연 한 것 같더라구요.
물론 케바케이긴 하지만 성인상담과는 다른 역동이랄까요..
1
헉... 타 전공 대학원생인데도 그러신건가요?
대상이 학부생으로 한정되어 있는 경우는 많이 봤지만, 그런 이유로 상담을 거부하는 곳은 처음이네요;;
그렇게 따지면 노인 상담은 없어져야하는 분야일텐데;;
상담자의 응대가 매우 아쉽네요. 윤리적인 측면에서 문제가 되는 발언인데..

성격이란게 물려받거나 타고난 기질과 더불어 후천적으로 배우거나 경험한 것들이 결합되어 나타나는 결과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성인의 경우엔 이미 나름대로의 적응 방식이 굳어져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아요.
여러 실패와 성공 경험을 통해 세상에 대한 자신만의 방어기제가 구축되어 있고, 시간이 지나면서 안정화, 고착화 되기 마련이니까요.
2
유연성에 대해선 사실 저도 매번 고민하는 부분이긴 하지만..
흔히 말하는 지능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을 뜻하는 만큼, 계속해서 새로운 환경을 접하고 받아들이려는 태도가 중요하지 않을까 싶어요. 당장은 A를 B라고 생각할 순 없어도 B라는 관점을 받아들일 수 있다면, 언젠간 B를 넘아 C까지 생각이 확산 될 수 있으니까요.
우선 저부터도 노오력을 해야하긴 하지만..ㅎㅎ 미약하지만 답변이 되었으면 합니다.
1
월화수목김사왈아
오징어심리학과라는게 있다고 들었읍니다. 사실입니까?
1
[글쓴이]
사실 모든 심리학과가 (오징어)심리학과 라는 소문이 있는,,읍읍,,,!
심리학을 하시는 분들 중 분석 대상을 풀어야 되는 문제로 생각하거나 분석 대상에 대해 다 아는것처럼 하는 분들이 종종 있는데요, 이런 걸로 문제가 된 에피소드같은 건 없으신가요?
1
사실 여러 기법이나 이론들과 더불어서 제일 강조되는 부분이 말씀해주신 전문가로서의 태도, 윤리 문제입니다.
아무리 평등한 관계라고 시작 할지라도, 상담이라는 장면의 특성상 미묘한 권력이 만들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계속적으로 슈퍼비전 혹은 연수 등을 통해 상담사 자신을 점검하고 경계(?)하도록 하고 있구요.

하지만 사무실 분위기 자체가 마치 상담과 같이 흘러가는 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현재 일하고 있는 곳은... 일을 하다 보면 사적인 이야기도 나올 수 있는거지만.. 그걸 너무 개인적인 부분과 연결... 더 보기
사실 여러 기법이나 이론들과 더불어서 제일 강조되는 부분이 말씀해주신 전문가로서의 태도, 윤리 문제입니다.
아무리 평등한 관계라고 시작 할지라도, 상담이라는 장면의 특성상 미묘한 권력이 만들어지기 쉽기 때문입니다.
이런 문제 때문에 계속적으로 슈퍼비전 혹은 연수 등을 통해 상담사 자신을 점검하고 경계(?)하도록 하고 있구요.

하지만 사무실 분위기 자체가 마치 상담과 같이 흘러가는 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현재 일하고 있는 곳은... 일을 하다 보면 사적인 이야기도 나올 수 있는거지만.. 그걸 너무 개인적인 부분과 연결시켜 판단을 내리시려는 부분이 있습니다ㅠ
예를 들어 단순히 '결혼할 생각이 없다'라는 말에도, '그건 당신이 화목하진 못한 가정에서 커왔을 가능성이 크고, 지금 남자친구에게 가부장적인 아버지의 모습을 투영시켜서 그런거다' 와 같은 요상하고 기분 나쁜 대화로 흘러가더라구요.
이럴 때마다 기분 나쁜건 둘째 치고 나도 어디선간 저러고 있지 않을까 하는 걱정에 정신이 번쩍 들기도 합니다ㅋㅋ
2
조심스러운 부분인데 흔쾌히 대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Velma Kelly
직업 관련: 탐라에도 써봤지만 연애 못한다고 상담 받으면 오바인가요?

관련 X: 제일 좋아하는 라면 종류가 궁금합니다
1
아뇨 전혀요~ 실제로 이성관계는 청년기의 주요한 과제입니다. 인간관계의 하나로써 삶에 있어서 빠지지 않는 이슈이기도 하구요ㅎㅎ 무엇보다, 자신이 그것 때문에 힘들고 불편감이 느껴진다면 주저하지 않으셔도 됩니당ㅎㅎ 너무 거창하게 생각할 것 없이, 하나의 서비스를 이용하러 가신다고 생각하세요!

라면은 진라면 매운맛이 최고입니다.. ㅇㄱㄹㅇ ㅂㅂㅂㄱ
현재 계시는곳에 오시는 소아 청소년들의 사회적 경제적 배경이 궁금합니다. 주로 개인적으로, 광고,혹은 지인소개로 오는가요? 아니면 단체 기관에서 소개받고 오는지, 레퍼럴과정이 궁금하고요.

두번째는 경제적으로 여유가 있는분이 주요한가요? 아니면 정부혹은 단체 에서 지원하기때문에 개인부담은 없는지 조금 매크로적인 질문이지만 궁금해요.

세번째는 심리테스트중에 가장 빈번하게 사용도가 높은 테스트는 어떤 테스트를 쓰시는지, 궁금한점이 많았는데...ama 감사합니다.
1
[글쓴이]
궁금한 점이 많으시다니 제가 다 반갑네요! 사실 임상심리사라고 하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언제쯤 사람들 뇌리에 박히는(?) 분야가 될까 했는데 말이죠ㅎㅎ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1. 제가 일하고 있는 곳은 정부기관 소속입니다. 여러 배경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교사나 학부모 등 보호자에 의해 의뢰되는 경우가 7할, 학생 자신이 문제를 호소하면서 오는 경우가 2할, 법적인 조치나 처벌의 형태로 오는 경우가 나머지 1할 정도가 되는 것 같습니다.
2. 정부기관 소속이기때문에 모든 서비스는 무료입니다. 제가 있는 곳은 지... 더 보기
궁금한 점이 많으시다니 제가 다 반갑네요! 사실 임상심리사라고 하면 잘 모르시는 분들이 많으셔서.. 언제쯤 사람들 뇌리에 박히는(?) 분야가 될까 했는데 말이죠ㅎㅎ
질문에 답변을 드리자면,
1. 제가 일하고 있는 곳은 정부기관 소속입니다. 여러 배경이 있겠지만, 아무래도 교사나 학부모 등 보호자에 의해 의뢰되는 경우가 7할, 학생 자신이 문제를 호소하면서 오는 경우가 2할, 법적인 조치나 처벌의 형태로 오는 경우가 나머지 1할 정도가 되는 것 같습니다.
2. 정부기관 소속이기때문에 모든 서비스는 무료입니다. 제가 있는 곳은 지역 특성상 사설 기관이 매우 적어서 경제적 배경과 관계 없이 본 센터로 내원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정밀 검사나 약물 치료 등 추가적인 개입이 필요한 경우 또한 일정 한도 내에서 치료비 지원이 가능하기 때문에 많은 서비스를 거의 무료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무료가 좋은 점만 있는건 아니지만요...ㅎㅎ
3.검사 도구 중 가장 유용하게 사용하는 도구는 인지검사로는 웩슬러 지능검사, 정서 검사로는 MMPI 입니다. 물론 여러 훌륭한 투사 검사도 있고 잘 사용하고도 있지만, 역시 핵심적으로 이용하는건 이 두개 인것 같습니다.

답변이 되셨길 바랍니다^^
MBTI는 업계에서 그다지 존중받지 못한다고 들었는데 맞나요? 심리학계에서 어떤 이론/심리검사가 주로 인정받고 있다..는건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요즘 주류는 어떤 흐름인지 궁금해서요ㅎㅎ
학사출신으로 취뽀하는게 쉬운 일은 아니셨을것 같은데..운빨이라고는 하셨지만 학사시절에도 임상심리쪽에 관심이 많으셨나요?


AMA 감사합니다!!
1
[글쓴이]
MBTI 검사 자체가 존중받지 못한다기보다는, 그 배경이 되는 성격 유형론 자체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자연스럽게 학계에서 도태(?)되었습니다. 다면적이고 복합적인 성격을 몇 가지의 유형으로 나눌 수 있는가..에 대한 논의가 나오면서 현재는 통계적 분석을 통해 성격을 구성하는 대표적인 요인들을 추리는 BIG5 이론이 주류가 된 상태입니다. 보통 NEO성격검사 혹은 MMPI를 사용하게 됩니다. 다만 MBTI가 이미 시장을 독식(?)한 상태여서 검사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나 축적된 표본의 양이 어마무시하기 때문에 쉽사리 사그러들지 않는 거구요. 역시 고객의 니즈란 중요하니까요..ㅎㅎ
[글쓴이]
학사 때도 임상에 관심이 많았습니다ㅎㅎ 사실 현 직장도 들어오기 전까지 일반대학원 준비를 하다 온거라서 미련도 많이 남구요..ㅎㅎ 하지만 학사, 석사, 수련에 거의 10년을 쏟아부어도 연봉 4천이 힘든 직종이니ㅠㅠ.. 어쩔수 없다 하면서도 아쉬움이 많이 남습니다.
지나가던선비
남에게 해주기 좋은 심리테스트 찾고 있습니다 나무 사람 집 그리는 거랑 비슷한건데 다른것 혹시 괜찮은거 있을까요
1
[글쓴이]
심리검사는 전문가에게 받으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사실 재미로 하는것도 좋긴 하지만, 창문은 인간관계를 말하고 문은 세상과의 상호작용을 말한다~~와 같이 인터넷으로 보고 잊어버렸던 것들이 나중에 실제로 검사를 하실 때 무의식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애써 돈주고 필요할 때 받으려고 하면 이미 오염되서 의미가 없어지는거죠ㅠㅠ
특히 그림검사와 같이 무의식적 영역을 탐색하는 투사적 검사는 지양해주시길...ㅠㅠ
지나가던선비
좀더 그 부작용에 대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나요?
[글쓴이]
음.. 일단 제일 중요한건.. 검사의 맥락이 없이 그저 재미로만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주호소 문제와 개인력과 가족력과 같은 배경정보, 검사 세팅이 어떤지, 검사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보였는지, 검사자와의 상호작용은 어땠는지, 다른 검사들과의 연관성은 어떻게 되는지 등 검사만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종합하여 검사 및 '평가'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에 의한 단일 검사는 매우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두번째로는 똑같은 그림검사라도 채점 방법이나 해석 방법 등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이를 전문적인 교육과 수련을... 더 보기
음.. 일단 제일 중요한건.. 검사의 맥락이 없이 그저 재미로만 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주호소 문제와 개인력과 가족력과 같은 배경정보, 검사 세팅이 어떤지, 검사 상황에서 어떤 행동을 보였는지, 검사자와의 상호작용은 어땠는지, 다른 검사들과의 연관성은 어떻게 되는지 등 검사만 실행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를 종합하여 검사 및 '평가'를 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비전문가에 의한 단일 검사는 매우 추천드리지 않습니다.
두번째로는 똑같은 그림검사라도 채점 방법이나 해석 방법 등 여러 이론이 존재하며 이를 전문적인 교육과 수련을 통해 숙지해야합니다. 정확하지 않은 결과를 전달하는 것 만큼 내담자에게 악영향을 끼치는 것도 없으니까요ㅠ
세번째로는 말씀 드린 것 처럼 결국 나한테 손해가 돌아옵니다. 실제로 인간이 의식할 수 없이 매우 짧은 시간동안 제시한 자극들도 지각체계에 영향을 미친다고 하지요ㅎㅎ 하물며 인터넷에서 보는, 정확하지 않은 정보가 들어가면 어떨까용ㅠㅠ 그래서 차라리 MBTI와 같이 객관적인 자기보고식 검사는 추천드리지만, HTP와 같은 투사검사는 추천드리지 않습니당ㅠㅠㅠ
지나가던선비
답변감사합니다. 저도 애초에 이건 심심풀이다 라고 미리 선을 그어놨었는데 조심해야겠네요
그런데 이렇게 생각하면 타로카드같은것도 비슷한 건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차이점이 있어서 상관없나요?
[글쓴이]
타로카드와는 전혀 다른 분야입니다만..
타로카드는 잘 모르겠지만.. 점성술(?)에 가까운걸로 알고 있고.. 심리검사는 성격, 태도와 같은 심리적 구성개념을 측정하기 위한 것이며, 통계적인 절차를 통해 표준화된 도구입니다. 물론 비표준화된 검사도 있으나 신뢰도와 타당도가 떨어지기 때문에 다른 표준화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대부분 한 가지 이상의 검사와 행동관찰, 면담 등을 종합적으로 실시하게 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621 최근 미국 박사과정 때려 치우고 돌아왔습니다. 33 [익명] 17/06/06 20724 0
19 20살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4 [익명] 15/10/21 7304 0
667 조아라 노블레스 일간 탑10안에 들었습니다. 28 [익명] 17/07/09 9608 1
227 천사같은 와이프랑 삽니다. 질문받습니다. 41 [익명] 16/05/29 7217 0
229 오버워치 레벨 30 찍었습니다. 14 [익명] 16/05/31 6787 0
67 현직 손해보험사 직원입니다. 20 [익명] 15/10/26 10247 0
71 . 32 [익명] 15/10/26 6738 0
1079 성인 ADHD 진단 받았습니다. 16 [익명] 18/09/12 6889 0
1270 이별했습니다.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32 [익명] 19/02/19 5627 0
1355 학교 행정실에서 꿀빠는 사회복무요원입니다. 21 [익명] 19/06/28 5285 0
1356 학사 출신 임상심리사입니다. 44 [익명] 19/06/29 5579 0
319 브라질리언 올누드+다리 전체 왁싱 받았습니다. 40 [익명] 16/10/05 11454 0
320 소개팅 20번째 차였습니다. 51 [익명] 16/10/06 13449 0
92 현직 사진쟁이.. 아니 IT 프로젝트 PM입니다. 19 [익명] 15/10/30 6438 0
122 익명기능 업데이트 기념으로 올려봅니다. 6 [익명] 15/12/01 5527 1
124 포경수술을 결혼 후에 했습니다. 10 [익명] 15/12/01 12829 0
125 나는 받습니다 질문을 치질수술 5일차 42 [익명] 15/12/02 8552 2
127 은둔형 게이입니다 36 [익명] 15/12/02 21857 0
128 8살 연하와 연애 2년차입니다 21 [익명] 15/12/03 9157 0
141 병동 간호사입니다 28 [익명] 15/12/19 8891 0
129 04학번 CC로 12년차 커플입니다. 질문받습니다. 27 [익명] 15/12/03 6428 0
130 연봉 3억입니당 52 [익명] 15/12/03 29876 1
132 보험대리점(GA채널)에서 총무일 하고 있습니다. 10 [익명] 15/12/04 7070 0
133 국가기관의 장을 맡고 있습니다. 32 [익명] 15/12/10 8368 0
134 10여년간 손해보험사에 근무하다가 온라인 홍보사로 이직했습니다. 11 [익명] 15/12/10 5779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