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5/12/10 22:33:34
Name   [익명]
Subject   게임회사와 검색포털에서 일했습니다.
3N사중 한 곳에서 일본에 mmorpg 서비스 기획을 했으며(컨텐츠, 유료화 과금-가챠 기획 등)

검색포털에서는 실검쪽 그리고 정책적인 부분등 다양한 분야를 담당했었습니다.

게임쪽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건 테이블 설정 미스로 모든 맵에서 pk가 가능하도록 옵션이 풀린 적이 있었는데, 유저들이 긴급점검 전까지 악용하지 않고 질서를 지켜 서로 배려했던게 아직도 기억에 남는 사건이네요.(물론 일본)
실수로 공격했을 때는 스미마셍을 날리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0


3N이 어디인가요? 넥슨 엔씨 넷마블 정도가 생각나네요.
[글쓴이]
예전엔 넥슨 엔씨 네오위즈였다면
요즘은 넥슨 엔씨 넷마블인거 같습니다.

요즘이래봤자 모바일이 막 뜨기 시작할 때 게임업계를 탈주해서 최근에도 3N이라는 용어를 쓰는지 모르겠네요~
게임 기획과 포털사 실검/정책 기획 쪽에서 일하셨다면 두 분야 사이에 갭이 있을 것 같은데, 어떤 계기로 지금 계신 곳으로 옮기셨나요?
[글쓴이]
면접때 받았던 질문이네요. 면접관님과 말투까지 같아서 그때 추억에 잠시 잠겼네요.

일한만큼의 적절한 급여보상이 없었고, 프로젝트 접히면 사람들이 위로보상금 받고 권고사직 당하는거에 미래가 보이지 않아 게임업계를 떠났었습니다.

포털쪽으로는 (월간 UV상)수천만명 이상의 사용자들로우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고 있는지 궁금하고 이를 활용해보기 위해서 구인공고 올라온거보고 직접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게임쪽은 서비스 하나 넣으면 유저 피드백이 빠르고 다양하고 많아서 굉장히 보람찼는데, 포털쪽은 그런게 없어서 공허하네요...
의도치않게 노스탤지어를 흐흐

그렇다면 지금 자리에도 완전히 만족하진 못하신 것 같은데,

1) 이직이나 전배를 원하실 정도이신가요?
2) 그 정도는 아니더라도 or 변화를 원하신다면 어떤 걸 하고싶으신가요? 특히 \'수천만명 이상의 데이터를 처리/활용\'해보셨을 것 같은데, 그런 경험을 하신 입장에서 이젠 어떤 것이 당기실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1) 그정도는 아닙니다. 다만 현재는 인사발령으로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2) 빅데이터를 활용한 개인화/자동화 부분이 당깁니다. 예를들면 오후 4시쯤이면 주부님들께서 저녁메뉴 관련 검색을 많이하시는데, 이를 미리 예측하고 해당 패턴을 지속 유지한 사용자가 4시쯤 서비스에 접근하면 오늘은 어떤 메뉴를 먹을 것인지 레시피를 추천해주는 방식 등이지요.
이미 머신러닝이 대세인지라 타 업체에서도, 내부 타 부서에서도 많이 하는 부분이겠지만 제가 직접 해보진않아서 더 당기는 부분이 있네요.
게임회사에서 가챠 기획을 할 때 게임 내 경제/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서 충분히 합리적이고 체계적으로 만드나요? 그리고 거기에 수학적, 경제적 이론도 동원되는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수학적, 경제적 이론은 동원되지 않습니다. 큰 팀의 경우 관련 전공자들을 채용해서 기획하는걸로 얼핏들었지만요.

가챠 기획시에는 가챠 내 아이템들이 풀릴 수치를 예상하고 아이템 확률을 넣었고(po엑셀wer), 이 예상치는 과거 몇년간의 판매패턴을 토대로 노하우를 쌓았기에 대부분 맞아떨어집니다. 유니크템을 막 풀기에도 어려운게 그 가치가 계속 유지되어야 다음번 가챠 판매율에도 영향이 미치지 않으니까요.

다만 너무 얻기힘들경우 판매 리텐션이 저하되니 이 부분은 다른 파츠의 유니크아이템을 새롭게 만들던가(1년에 한번정도..) 다... 더 보기
수학적, 경제적 이론은 동원되지 않습니다. 큰 팀의 경우 관련 전공자들을 채용해서 기획하는걸로 얼핏들었지만요.

가챠 기획시에는 가챠 내 아이템들이 풀릴 수치를 예상하고 아이템 확률을 넣었고(po엑셀wer), 이 예상치는 과거 몇년간의 판매패턴을 토대로 노하우를 쌓았기에 대부분 맞아떨어집니다. 유니크템을 막 풀기에도 어려운게 그 가치가 계속 유지되어야 다음번 가챠 판매율에도 영향이 미치지 않으니까요.

다만 너무 얻기힘들경우 판매 리텐션이 저하되니 이 부분은 다른 파츠의 유니크아이템을 새롭게 만들던가(1년에 한번정도..) 다른 매혹적인 레어아이템을 배치하는 편입니다.
가챠 판매중과 판매종료 후에도 커뮤니티에서의 유저 반응과 게임 내 아이템 시세를 지속 관찰하고 있으며.... 게임머니나 아이템 수량도 계속 로그를 보며 관리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다음 번 대규모 패치 때 더욱 강한 던전을 넣어 레어급 아이템이 일반급으로 가치가 떨어지면 다시 가챠에 업그레이드된 레어아이템을 넣어 가챠가 순환이 되도록 했습니다.

사소한 가챠는 기획자가 파트장 그리고 운영팀과 논의하여 넣고
유니크급 아이템을 신규로 넣을 경우엔 반드시 팀내 그리고 마케팅 QA 등등 모든 부서가 회의에 참여해서 의견을 냈었고요.

꽝의 개념으로는 소모성아이템을 넣고... 소모성 아이템도 초보자들이 팔면 돈이 꽤 나오는 것들이기에 조금씩 바꿔가며 시세를 유지시켰습니다.

일반급 아이템은 .. 시세 관리가 안돼서... 못한 부분도 있고 유저들도 그렇게 신경을 안써서 오히려 꽝보다도 시세가 낮아졌었던 기억이 나네요 ㅠ

다른회사 얘기 들어보면 투자자의 압박으로 윗선에서 매출을 달성해라 라는 지시가 내려온다면 이런 프로세스를 무너뜨릴 수 있겠지만... 이미지 먹칠하며 욕먹는것보단 안정적으로 게임이 유지되는게 목표였기에...

한국같은 경우엔 게임 내 치명적인 유료아이템을 넣을 시 법무팀에 의견을 묻는 프로세스가 있었숩니다. (어떤 부분 때문에 법무팀 의견을 물었는진 잘 기억이 안나네요)

데이터를 보고 검증하고 뭘 어떻게하든 다 좋은데, 너무 데이터에만 맹신하면 놓치는 부분이 분명 있을 수 있어(레어급 템인데 일반급 확률에 넣을 수도 있으니) 게임에 목숨걸 정도로 시스템을 잘 이해하고 있는 팀원이 유료화 기획을 맡는 경우가 있습니다.

일반 아이템 가챠말고도 의상류 가챠도 있었는데 이건 밸런스에 영향가는 부분이 없으니 부담이 덜했단 기억이 나네요.
우와 큰 도움이 됐습니다. 친절한 설명 감사합니다.
이사무
1. 일본 시장에서 한국 mmorpg는 과거 어떤 것들이 인기가 있었나요?
제가 알기론 라그나로크는 큰 인기를 끌었던 거로 알고, 테라 역시 어느 정도 이슈화 됐던 걸로 알고요.
그 이상 과거로 가면 어느 것들이 있었을 까요?

2. 일본은 갈라파고스화가 여러 분야에서 보이는 편인데, 게임 역시 전세계 인기순위(매출)와도 차이가 많이 나자나요.
근래 모바일 게임 순위들을 봐도 그렇던데, 최근 한국이나 중국에선 모바일게임으로 mmorpg 가 가능한 것들이 큰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MU 나 미르의전설 IP ) 로 만든 게임들이 그 예고요. 특히 뮤 오리진 같은 건 전형적인 한국 + 중국식 mmorpg 인데 일본시장에서 먹힐만 할까요?
[글쓴이]
지식이 짧은편이고 귀엽고 모에한 게임만 맡았기에 이 부분에 대해 편견에 사로잡힌 답변이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라그나로크 이전엔 잘 모르겠습니다. 라그나로크 이전에 한국 mmorpg가 일본 시장에 활성화 되어있었나 라는 생각도 문득 들고요.
라그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넥슨 일본법인(지금의 넥슨 본사)의 일랜시아, 어둠의전설 이후 아스가르드, 테일즈위버, 마비노기 정도만 떠오르네요.

추가)자료를 다시 찾아봤습니다.
2000년 ~2001년 : 바람의나라, 일랜시아, 어둠의전설
2002년 8월 : 라그나로크... 더 보기
지식이 짧은편이고 귀엽고 모에한 게임만 맡았기에 이 부분에 대해 편견에 사로잡힌 답변이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1. 라그나로크 이전엔 잘 모르겠습니다. 라그나로크 이전에 한국 mmorpg가 일본 시장에 활성화 되어있었나 라는 생각도 문득 들고요.
라그와 비슷한 시기에 출시된 넥슨 일본법인(지금의 넥슨 본사)의 일랜시아, 어둠의전설 이후 아스가르드, 테일즈위버, 마비노기 정도만 떠오르네요.

추가)자료를 다시 찾아봤습니다.
2000년 ~2001년 : 바람의나라, 일랜시아, 어둠의전설
2002년 8월 : 라그나로크

2. 확답을 드리긴 어렵지만 그런 스타일 자체가 일본에서 먹힐 것 같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다.
만약 한국+중국 mmorpg vs TOS 둘 중에 제 돈내고 투자하라고 하면 TOS에 몰빵하겠습니다.
이사무
답변 감사드립니다. 역시나 동아시아 3국 중 일본이 가장 취향이 다른 거 같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 장애인 가족의 일원입니다. 12 [익명] 15/12/10 6471 0
137 게임회사와 검색포털에서 일했습니다. 12 [익명] 15/12/10 5877 0
138 14개월 차 취업준비생입니다. 11 [익명] 15/12/10 6687 0
142 세무서 직원입니다 31 [익명] 15/12/20 17217 1
143 기초수급자 가정입니다. 17 [익명] 15/12/24 7230 0
140 일로 요리를 하고 있습니다 39 [익명] 15/12/11 7827 0
144 가라 기초수급자 가정입니다. 13 [익명] 15/12/30 7169 1
148 남고,공대 트리, 못생긴 편이지만 꾸준히 연애 중입니다. 10 [익명] 16/01/03 9201 0
145 띠동갑과 연애중입니다. 46 [익명] 15/12/30 13712 0
147 교육공무직(구 학교비정규직, 학교회계직)입니다. 8 [익명] 15/12/31 8163 0
149 조중동 중 한 곳에서 기자질하고 있습니다. 56 [익명] 16/01/11 7391 1
150 잡지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8 [익명] 16/01/11 6827 0
151 초등 교사입니다. 44 [익명] 16/01/12 8662 1
154 조중동 아닌 한 곳에서 기자질하고 있습니다. 14 [익명] 16/01/12 5869 0
155 요새 나름 핫한 알뜰폰 업계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10 [익명] 16/01/12 6183 0
158 현직 교정직공무원입니다. 14 [익명] 16/01/17 26844 0
160 야동 3TB 보유중입니다 36 [익명] 16/01/19 10786 0
162 신교대 군의관입니다 40 [익명] 16/01/19 10942 0
163 갤럭시 S2 실사용중입니다 19 [익명] 16/01/19 5599 0
164 야동 10TB 보유중입니다. 9 [익명] 16/01/19 8718 0
166 탈모약 복용 6년차입니당~ 20 [익명] 16/01/19 7626 0
168 7수만에 대학교 입학합니다. 40 [익명] 16/01/20 7529 0
169 야동이 하나도 없는 외장하드 15TB 보유중입니다~ 57 [익명] 16/01/21 10814 0
170 작심삼일 마스터, 은따(?) 입니다. 9 [익명] 16/01/21 5346 0
171 속옷 70E~G 컵 입는 여자입니다. 59 [익명] 16/01/22 4094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