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16/01/12 09:02:12
Name   [익명]
Subject   초등 교사입니다.
경력 10년을 바라보고 있는 공립 초등 교사입니다.
알고 있는 선에서 최대한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재밌고 알찬 질문 부탁드립니다.



1


Beer Inside
예뻐요?
April_fool
미중년이라 카더라…
Beer Inside
ㅋㅋㅋㅋ
[글쓴이]
알차고 재밌는 질문이군요? ㅠㅠ
젊었을 적에는 예뻤습니다...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요새 초등학생들이 많이 개념이 없다고 하는데 어떤 편인가요? 그리고 부모님 치맛바람이 예전에 비해서 상당히 거세다고 하는데, 그런게 체감이 되시나요?
[글쓴이]
개념이라는 것이 기본 예절과 규칙이 체화되어 있으며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점토판에서도 \'요즘 젊은 것은 예의가 없어 쯧\'이라고 한다지요.
저희 때나 지금 애들이나 개념 면에서는 도긴개긴입니다. 하지만 다른 점은 분명 있는데 공동체의 약화-또는 타인과의 관계가 눈에 띄게 희미해진다는 점입니다. 경쟁과 비교에 더 능숙하고, 교묘하고, 익숙해진 것은 맞습니다. 매우 안타깝고 속상하게 여깁니다. 가정에서부터 너무 익숙해... 더 보기
개념이라는 것이 기본 예절과 규칙이 체화되어 있으며 사회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의무와 책임을 다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보면,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메소포타미아에서 발견된 점토판에서도 \'요즘 젊은 것은 예의가 없어 쯧\'이라고 한다지요.
저희 때나 지금 애들이나 개념 면에서는 도긴개긴입니다. 하지만 다른 점은 분명 있는데 공동체의 약화-또는 타인과의 관계가 눈에 띄게 희미해진다는 점입니다. 경쟁과 비교에 더 능숙하고, 교묘하고, 익숙해진 것은 맞습니다. 매우 안타깝고 속상하게 여깁니다. 가정에서부터 너무 익숙해진 비교에 물든 아이들 볼 때마다 매우 속상합니다.
부모님들의 치맛바람은 시대에 따르기보다 지역과 학교 등의 구성원의 성향에 따라 매우 다릅니다. ㄸㄹㅇ 보존의 법칙은 여기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물론 조용히 응원해주시는 분들도 많이 계십니다.
휴먼급식체 몇학년부터 쓰나요?
[글쓴이]
제가 모르는 폰트 이름인가 해서 검색해봤습니다. (http://wiki.dcinside.com/wiki/휴먼급식체)
롤을 시작하게 되는 4학년 말, 5학년 초부터나 카톡을 본격적으로 시작하는 때부터 슬슬 기미가 보이기는 합니다. 6학년에서도 위 링크의 예시로 나오는 정도로 까지는 본 적이 없습니다.
링크의 급식충이라는 말이 우울하네요. 급식이 얼마나 맛있는데...
에밀리
선생님 ㅠㅠ 급식충이라는 표현 저도 우울합니다. 요즘 애들 쓰는 말로 틀딱충이라는 것도 있어요. 앞으로 더 심화될 세대 갈등을 상징하는 단어들 같아서 씁쓸합니다.
[글쓴이]
파편화된 관계가 언어 생활에서 적나라하게 드러납니다. 학교폭력 사안이나 상담할 때마다 보게 되는 거친 카톡 창 보는 것은 너무 마음이 아파요.
하늘밑푸른초원
어느 지역에서 가르치세요? 강남과 변두리는 엄마들과 아이들의 사고방식 자체가 엄청 다르다고 들었어요. 여기에 대해서 간략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평소에 교육, 학습에 관심이 많아서.
[글쓴이]
변두리에서 가르치고 있습니다. 강남도 학교 따라 분위기가 많이 다르지요. 변두리도 마찬가지입니다. 아이들의 사고 방식이 달라지는 가장 큰 부분은 가정에서의 관심과 안타깝지만 경제력이라고 저는 보고 있습니다. 강남 중의 일부 지역은 이 두 가지 여건이 충족된 집이 많을 것이고, 따라서 그 구성원들의 비율이 높은 학교에서도 타 지역과 대비되는 성격을 가지게 되지 않을까요.
구체적으로 궁금하신 \'사고방식\'이 무엇인지 알려주시면 추가로 답해 드릴 수 있을 듯합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정치관이라든지~보수,진보

교육,사교육에 대한 생각이라든지~영어몰입교육과 같은 영어교육, 유학, 특목고진학 등

끼리끼리 문화라든지~\"저 아파트 애랑 놀지 마\"

직업 선택 문제라든지~어떤 직업을 선호하는가?

스펙 쌓기 문제라든지


지금은 이 정도 생각나네요.
너무 많이 질문드리는 거 같아 죄송합니다;;
[글쓴이]
1. 정치관: 가정에서의 선호를 따라갑니다. 자신의 주관대로 정치 성향을 가지는 경우는 아주 극소수의 고학년들 몇 뿐입니다.
2. 사교육: 어딜가나 이제는 기본입니다. 다만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엄마의 시간 여유, 주변인들의 경험담 등이 바탕이 된 집과 아닌 곳의 차이는 큽니다. 한 반에 이렇게 인생 계획을 짠 친구들의 비율의 차이가 있겠지요.
3. 끼리끼리 문화와 또래 집단 형성의 문제는 칼로 나누는 것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단, 아파트촌고ㅏ 같이 균질적인 집단일수록 또래 집단의 부정적인 면이 더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4... 더 보기
1. 정치관: 가정에서의 선호를 따라갑니다. 자신의 주관대로 정치 성향을 가지는 경우는 아주 극소수의 고학년들 몇 뿐입니다.
2. 사교육: 어딜가나 이제는 기본입니다. 다만 경제력을 바탕으로 한 엄마의 시간 여유, 주변인들의 경험담 등이 바탕이 된 집과 아닌 곳의 차이는 큽니다. 한 반에 이렇게 인생 계획을 짠 친구들의 비율의 차이가 있겠지요.
3. 끼리끼리 문화와 또래 집단 형성의 문제는 칼로 나누는 것처럼 쉽지는 않습니다. 단, 아파트촌고ㅏ 같이 균질적인 집단일수록 또래 집단의 부정적인 면이 더 보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4. 공부 잘 하면 의사, 판사인 경우가 많습니다. 아버지 직업 따라가는 경우도 많고요. 하지만 꿈이 없다고 이야기하는 아이들의 수가 늘고 있습니다.
5. 스펙 문제는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
질문 중 제가 답 할 수 있는 것만 달아 보았습니다. 저는 강남에서 소싯적 과외만 해보고 근무환경 등은 친구들 통해서 듣는 정도입니다. 다만 강남 아이들이라고 해서 흔히 상상하는 공부벌레 샌님이나 욕심과 질투가 특별히 많은 것은 아닙니다. 오히려 아이들이 바르고 인성이 좋은 편이라는 의견도 있으니 작게나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하늘밑푸른초원
정말 답변 감사합니다! 많은 시간 내주셔서 감사합니다. 앞으로도 좋은 교직생활 되세요~
J_Square
교과서 외에 (교보재 아닌 자료 형태의) 다른 학습 교재를 사용하시는 것이 있으신지요? 어느 과목에서 어떤 교수 의도로 사용하시는지도 여쭤봐도 될런지..
[글쓴이]
교과서 외의 학습 교재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공교육에서 특정 회사의 교재(검인정교과서 제외)를 사용하면 문제가 되지 않을까요.
Vinnydaddy
가장 빡칠(...) 때가 언제인지요?
[글쓴이]
열심히 한다고 했지만 아무도 안 알아주거나 욕할 때가 되겠지요... 학생이 욕할 때보다 학생 말만 듣고 저에게 욕하시는 부모님이 제일 힘들었습니다. 쓰다보니 떠오르는 기억이 몇 있는데 눈물이 ... ㅠㅠ 여기까지 하겠습니다.
오렌지플래닛
어느 직업이라고 안그러겠습니까만, 예전에 비해서 초등학교 교사 업무량이 많이 늘었다고 하는데 정말인가요? 아님 제 지인들의 투정인가요?

그래도 합법적으로 방학기간 동안 쉬어서 부럽습니다...이것도 지인들의 말에 따르면 방학 기간도 온전히 못 쉰다고 하던데 연차별로 업무량이 다른지 궁금하네요.
[글쓴이]
업무량은 해가 갈 수록 느는 것이 맞습니다. 교육감 직선제 이후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하는 까닭도 있고, 정권이 바뀌면서(특히 강 좋아하는 분...) 이후로 교육 기조의 수정이 대대적으로 일어나는 바람에 행정적 업무가 대폭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정작 이런 업무 때문에 더 중요한 교재 연구나 아동 상담등이 뒤로 밀린다는 것입니다. 전자는 안 하면 티가 나고 위에서 쪼이는데 후자는 안 해도 사고만 안 나면 되거든요.
방학은 말씀하신대로 이 직업의 가장 큰 장점이지요. 하지만 상대적으로 박봉인 점과 하루 종일 계속 되는 감정 노동을 ... 더 보기
업무량은 해가 갈 수록 느는 것이 맞습니다. 교육감 직선제 이후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하는 까닭도 있고, 정권이 바뀌면서(특히 강 좋아하는 분...) 이후로 교육 기조의 수정이 대대적으로 일어나는 바람에 행정적 업무가 대폭 증가했습니다. 문제는 정작 이런 업무 때문에 더 중요한 교재 연구나 아동 상담등이 뒤로 밀린다는 것입니다. 전자는 안 하면 티가 나고 위에서 쪼이는데 후자는 안 해도 사고만 안 나면 되거든요.
방학은 말씀하신대로 이 직업의 가장 큰 장점이지요. 하지만 상대적으로 박봉인 점과 하루 종일 계속 되는 감정 노동을 생각하면 방학 있어야 합니다. 없으면 정신과 문 미어터질거에요. 사실 교사든 방학이라고 하기 보다 자기 연찬의 시간이라고 해야 맞습니다. 실제로도 배우고 익혀서 다음 학기 아이들에게 더 알려줘야 하는 거지요.
한편 방학 기간에 잘 못 쉬는, 그래서 더 억울한 사람들도 많은데 1. 교장, 교감 등의 관리자 2. 부장급 교사 3. 만만한 젊은 교사 등이 있습니다. 교장들도 기관장이기 때문에 보이는 성과를 내야 하는데, 이것이 교장 평가에 영향을 미칩니다. 교장으로 있을 수 있는 햇수는 최대 8년이거든요. 그렇다면 교장을 8년 이상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은 다른 학교로 초빙을 가야만 합니다. 아니면 교육청으로 들어가던가요. 어쨌든 이 때 필요한 것은 학생 또는 학부모가 얼마나 참가했는지, 교육부 또는 교육청의 기조에 맞춘 프로그램을 잘 이끌었는지 등입니다. 그렇다면 이론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부장급 아래 실제로 운영하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
교사 조직의 문제점 중 하나는 수직 계열의 급간이 너무나 단순하다는 것입니다. 교장-교감-부장-평교사가 끝이에요. 그렇다면 평교사들은 연차로 대우를 하기 마련이고, 직위는 같더라도 예우 차원에서 젊은 사람들이 더 일을 하기 마련이지요. 20대는 단순 인력으로, 30대는 전문 인력으로 갈려대는 경향이 있습니다.
관리자, 부장급 교사, 만만한 젊은 교사... 전부다란 얘기잖아요. ㅠㅠ
[글쓴이]
전부 다는 아닙니다. 어딜가나 구멍은 있고 무임승차자도 있지요 ㅎㅎㅎ
바코드
공립이면 아마 전근을 많이 가실텐데 불편하진 않으신가요?
그리고 (만약 근무하셨다면) 시골학교에서 근무하셨을 때 어떠셨나요?
[글쓴이]
전근은 저보다 힘드신 분들도 많으실거라 생각합니다. 저는 다행히 많이 힘들지는 않았습니다. 어쨌든 관내를 돌게 되는 거니까요. 시골 학교는 경험이 없습니다만 큰 학교에 비해 너무 정말 진짜 힘들다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아이유
아직도 촌지 주는 학부모나 요구하는 교사 있나요?
[글쓴이]
얼마 전 강남 모 초등에서 발생한 촌지 사건을 보고 경악했습니다. 아무리 사립이라도 저게 뭔가요.
저는 커피도 안 받는다고 할머님께 혼난 적도 있습니다. ㅜㅜ 제발 교사 여러분 받지 마시고 부모님들 촌지 주시지 마시고 그냥 신고하세요.
누와라엘리야
큰 학교와 작은 학교 중에 어디를 선호하시나요?
[글쓴이]
적당히 큰 학교가 저는 좋습니다. 이것도 개인차가 있겠지만요. 너무 작으면 지역 특유의 작은 사회 문제와 업무 과다 문제가 있고, 너무 크면 공동체의 틀을 유지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에밀리
촌지 같은 게 아직도 있나요?
[글쓴이]
신고하세요! 꼭이요!
왕따 문제가 자주 발생하나요? 발생하면 잘 해결되는 편인가요?
[글쓴이]
자주 발생한다는 것은 어찌보면 어른들이 심각성을 잘 인지하고 사건화 시킨다는 것으로도 볼 수 있습니다. 수가 적은 경우 정말로 문제가 안 되는 것일 수도 있지만 은폐하려는 것일 수도 있고요.
예전에 비하면 심각성은 교육계 전체에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학교폭력위원회와 같은 기구를 통해서도 처리를 할 수도 있고요. 하지만 사람 사이의 문제이기 때문에 법 또는 법 비슷한 것으로 결론이 나도 마음에는 상처가 있기 마련입니다. 예전에 비해 공론화 된다는 점에서는 해결 노력이 전보다 높아졌다고 할 수는 있겠습니다.
주변 교사들이 본인을 힘들게 하시는 편인가요? 초등 교사에 대한 몇몇 안좋은 편견들이 돌아다니곤 하는데 현장에 있으신 분이 같은 직종으로써 어떻게 느끼는지 궁금합니다.
[글쓴이]
여교사가 시집을 잘 간다, 남교사는 좀생이다, 하는 일 없이 일찍 퇴근한다, 꼬장꼬장하고 집에서도 가르치려 든다, 옷을 못 입는다 , 촌지를 받는다 등이 먼저 생각이 나네요.
저 개인적으로는 공개적으로 교사라고 먼저 이야기를 꺼내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편견과 더불어 교사이기에 들이미는 잣대가 만만치 않거든요. 숨기지는 않습니다만 교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 그 때부터 붙는 \'교사가 그러면 안 되지~\'라는 농담조 말도 불편하든요. 경제 불황에 따른 공무원 선호가 높아지면서 주변 시선도 더 곱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이러... 더 보기
여교사가 시집을 잘 간다, 남교사는 좀생이다, 하는 일 없이 일찍 퇴근한다, 꼬장꼬장하고 집에서도 가르치려 든다, 옷을 못 입는다 , 촌지를 받는다 등이 먼저 생각이 나네요.
저 개인적으로는 공개적으로 교사라고 먼저 이야기를 꺼내지 않습니다. 말씀하신 편견과 더불어 교사이기에 들이미는 잣대가 만만치 않거든요. 숨기지는 않습니다만 교사라는 사실이 밝혀(?)지면 그 때부터 붙는 \'교사가 그러면 안 되지~\'라는 농담조 말도 불편하든요. 경제 불황에 따른 공무원 선호가 높아지면서 주변 시선도 더 곱지 않은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아이러니하게도 자제분은 교대로 보내고 싶어하시면서 교사 흉을 교사인 저에게 보시는 분들이 꽤 계셨습니다. 교사라는 직업이 밝혀지는 것이 피곤하고 힘든 굴레라는 생각이 먼저 듭니다만 윗대부터 지금의 저까지 짊어져야할 업보라고 여기기로 했습니다.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절름발이이리
아이엠스쿨 쓰는 학교인가요
[글쓴이]
모바일 알림장 앱 말씀이시군요. 학교 전체에서 사용하는 것은 없습니다. 서울시의
경우 자체 지원 앱이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저희 반은 다른 앱을 쓰고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법의 알림장만 쓰는 반이 제 주변에는 더 많습니다.
절름발이이리
아이엠스쿨 쓰세요 적극 추천 우리의 인연을 생각해주세요
엄마곰도 귀엽다
이리님 여기서 홍보하시면
[글쓴이]
... 포유류 안 좋ㅇ....
내년 학년도에 적극 사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엄마곰도 귀엽다
일 안하고 출근도 불시에 안하고
( 출근안해서 전화하면 아프다고 ㅡ.,ㅡ)
덕분에 작년에는 최소수업만 받았다는데 그래도 맨날 이지경..
몸이 안좋다고 하면서 해외에서 하는 연수는 신청해서 다녀오는 ... 선생님이 있는데

이 선생님을 제재하거나 할 방법이 전혀 없나요?

제 주변에 교사가 많아서 이 분 얘기를 많이 듣는데
저러고도 안짤리는게 참 신기해서요
[글쓴이]
저런 분들 때문에 그 유명한 \'일부\'드립이 나오는 것 아니겠습니까. 제도를 악용하는 사례인데 올려주신 것만 보면 주변 사람들에게는 욕 무지 먹어도 잘리거나 인사상 불이익을 받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제 개인적인 경험입니다만 저런 분들 치고 관리자랑 사이 안 좋은 경우를 못 봤어요.
정말로 정말로 털고 싶으시다면 교육지원청 등에 모 교사 관련으로 민원을 넣으시거나 복무감사 요청하시면 되겠습니다.
참고로 교원평가로 저런 분들 잘리는 거 아니냐고 하시는 분들 많아서 덧붙이자면, 오히려 열심히 하는 사람들도 애매하게 낮은 점수 받기 쉽고 못하는(이상한) 사람도 높은 점수 받기 쉬운게 교원평가 되겠습니다. 왜 잘려야 하는 사람은 안 잘리는지 저도 잘 모르겠어요.
아이들은 순수하기에 오히려 장애인, 동물 같은 약자에게 한없이 잔인해진다고 생각하는데요, 선생님께서도 아이들의 그런 모습을 목격하거나 느낀 바가 있으신가요?
[글쓴이]
\'순수악\'하면 제일 먼저 생각나는게 잠자리 잡아다가 날개 뜯는 것이더군요. 제가 했다는 얘기는 아니고...
순수악이라보다 힘의 논리가 우선 되는 모습이 성인보다 더 적나라하게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나쁜 아이라서 나쁜 짓을 하기 보다 여태껏 그렇게 살아 왔고 살아가는 줄만 아는 아이들이 더 많았어요. 약한 아이를 괴롭히기는 쉽고 지키기는 어려운데 또래보다 성숙한 아이들이 후자의 경우를 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안타깝게도 아이들에게 왜 힘의 논리가 안 되는지 설명할 때 \'집에서 그렇게 하랬어요\',\'어른들도 그러잖아요\'라는 말 또한 많이 듣게 됩니다. 슬퍼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8 14개월 차 취업준비생입니다. 11 [익명] 15/12/10 6671 0
140 일로 요리를 하고 있습니다 39 [익명] 15/12/11 7814 0
141 병동 간호사입니다 28 [익명] 15/12/19 8901 0
142 세무서 직원입니다 31 [익명] 15/12/20 17192 1
143 기초수급자 가정입니다. 17 [익명] 15/12/24 7213 0
144 가라 기초수급자 가정입니다. 13 [익명] 15/12/30 7147 1
145 띠동갑과 연애중입니다. 46 [익명] 15/12/30 13690 0
147 교육공무직(구 학교비정규직, 학교회계직)입니다. 8 [익명] 15/12/31 8147 0
148 남고,공대 트리, 못생긴 편이지만 꾸준히 연애 중입니다. 10 [익명] 16/01/03 9185 0
149 조중동 중 한 곳에서 기자질하고 있습니다. 56 [익명] 16/01/11 7367 1
150 잡지 기자로 일하고 있습니다 18 [익명] 16/01/11 6804 0
151 초등 교사입니다. 44 [익명] 16/01/12 8646 1
152 익명의 틈을 째고 나온다! 출근대기 중인 직장인입니다. 5 J_Square 16/01/12 6467 0
153 서울에서 대구로 이직했습니다. 질문받습니다. 18 쉬군 16/01/12 7306 0
154 조중동 아닌 한 곳에서 기자질하고 있습니다. 14 [익명] 16/01/12 5856 0
155 요새 나름 핫한 알뜰폰 업계에서 일하고 있습니다. 10 [익명] 16/01/12 6167 0
156 독일 유학생입니다.. 38 표절작곡가 16/01/13 8818 0
158 현직 교정직공무원입니다. 14 [익명] 16/01/17 26820 0
159 홍차넷 운영진입니다. 52 Toby 16/01/18 9618 0
160 야동 3TB 보유중입니다 36 [익명] 16/01/19 10758 0
161 2015년 5급공채 합격생입니다 질문받습니다 32 유스티스 16/01/19 12435 0
162 신교대 군의관입니다 40 [익명] 16/01/19 10921 0
163 갤럭시 S2 실사용중입니다 19 [익명] 16/01/19 5584 0
164 야동 10TB 보유중입니다. 9 [익명] 16/01/19 8703 0
166 탈모약 복용 6년차입니당~ 20 [익명] 16/01/19 7607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