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성자가 질문을 받을 수 있는 게시판입니다.
- AMA는 Ask me anything (무엇이든 물어보세요)라는 뜻입니다.
Date | 21/02/16 11:26:25 |
Name | SCV |
Subject | 바이오 산업에 대한 질문 받습니다. |
요새 핫해서.. 이제는 떠나온 업계이긴 한데 그래도 그럭저럭 답변은 해드릴 수 있을거 같습니다.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제가 있었던 회사 자체에 대한 답변은 해드리기가 애매합니다. 아시는 분들께서는 되도록이면 그냥 C모사 라고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참고로 용어 몇개 적어보자면 그린 바이오 - 식품첨가제(MSG, IMP, GMP, 아미노산) 및 사료첨가제 (아미노산 기타등등)을 만듦 화이트바이오 - 바이오플라스틱 원료 생산 레드바이오 - 바이오시밀러등 제약 원료 생산 발효 - 미생물에 탄소원(포도당, 과당, 원당, 아세트산, 당밀 등등등)을 먹여서 만들고자 하는 산물을 만드는 것 바이오 산업의 기본 라이프사이클은 균주(세포주) 개발 → 대량 배양(발효) 기술 개발 → 정제 기술 개발 → 최종 제품 으로 이뤄집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SCV님의 최근 게시물
|
혁신적인 기술인건 맞습니다. 이 전 세대 유전자 가위들 보다는 확실히 좋아요.
다만 혁신적인 기술인 것과 그 혁신적인 기술을 경제적인 가치로 환산시키는 것은 다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식품/사료/의약품 모두 ‘허가/등록’ 이라는 허들이 있고, 의약품은 그중에서도 허들이 제일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크리스퍼를 적용해서 제품/서비스가 시장에서 완전히 러닝해서 경제적인 가치를 쭉쭉 뽑아내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수도 있고
혹은 그 기술이 혁신적인건 맞지만 아직 ROI 가 안나와서 단가가 더 낮아지기까지 좀 더 기다리는 걸 수도 있고요.
다만 혁신적인 기술인 것과 그 혁신적인 기술을 경제적인 가치로 환산시키는 것은 다른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특히 식품/사료/의약품 모두 ‘허가/등록’ 이라는 허들이 있고, 의약품은 그중에서도 허들이 제일 높은 편입니다.
따라서 크리스퍼를 적용해서 제품/서비스가 시장에서 완전히 러닝해서 경제적인 가치를 쭉쭉 뽑아내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할 수도 있고
혹은 그 기술이 혁신적인건 맞지만 아직 ROI 가 안나와서 단가가 더 낮아지기까지 좀 더 기다리는 걸 수도 있고요.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0 → 100 이죠.
물론 통과된 약이 어느 적응증에 어떻게 쓰이느냐, 그 약의 시장 규모가 얼마고 그중에서 얼만큼의 마켓 쉐어를 먹을 수 있느냐,
얼마나 처방이 나가느냐 등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적어도 3상 전에는 0이었던게 통과 후에는 100 이되고, 거기서 나머지 요건들에 따라서 150이 될 수도 있고 1000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같은 항암제라도 처방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매출 규모가 넘사벽일거에요. 그러니 3상 통과하는건 일단 기본이고, 통과 후에 얼마나 밸류업을 할지는 차후의 일이라고 ... 더 보기
물론 통과된 약이 어느 적응증에 어떻게 쓰이느냐, 그 약의 시장 규모가 얼마고 그중에서 얼만큼의 마켓 쉐어를 먹을 수 있느냐,
얼마나 처방이 나가느냐 등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적어도 3상 전에는 0이었던게 통과 후에는 100 이되고, 거기서 나머지 요건들에 따라서 150이 될 수도 있고 1000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같은 항암제라도 처방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매출 규모가 넘사벽일거에요. 그러니 3상 통과하는건 일단 기본이고, 통과 후에 얼마나 밸류업을 할지는 차후의 일이라고 ... 더 보기
극단적으로 생각하면 0 → 100 이죠.
물론 통과된 약이 어느 적응증에 어떻게 쓰이느냐, 그 약의 시장 규모가 얼마고 그중에서 얼만큼의 마켓 쉐어를 먹을 수 있느냐,
얼마나 처방이 나가느냐 등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적어도 3상 전에는 0이었던게 통과 후에는 100 이되고, 거기서 나머지 요건들에 따라서 150이 될 수도 있고 1000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같은 항암제라도 처방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매출 규모가 넘사벽일거에요. 그러니 3상 통과하는건 일단 기본이고, 통과 후에 얼마나 밸류업을 할지는 차후의 일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오스코텍에서 연구하는 약들의 기원 (누가/어느 회사가 발굴했고, 거기에 대해서 전임상이 어떻게, 누가 진행했고 등등등) 을 알 수는 없지만 그 부분을 살펴 보면 (업계 사람이라면) 대략적인 성공률은 어느 정도 예측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만, 레퍼토리를 보았을 때는 고개를 갸우뚱 하게 되긴 합니다.
물론 통과된 약이 어느 적응증에 어떻게 쓰이느냐, 그 약의 시장 규모가 얼마고 그중에서 얼만큼의 마켓 쉐어를 먹을 수 있느냐,
얼마나 처방이 나가느냐 등등에 따라서 다르지만, 적어도 3상 전에는 0이었던게 통과 후에는 100 이되고, 거기서 나머지 요건들에 따라서 150이 될 수도 있고 1000이 될 수도 있다고 봅니다.
같은 항암제라도 처방 가능한 범위에 따라서 매출 규모가 넘사벽일거에요. 그러니 3상 통과하는건 일단 기본이고, 통과 후에 얼마나 밸류업을 할지는 차후의 일이라고 봅니다.
그런데 개인적으로는 오스코텍에서 연구하는 약들의 기원 (누가/어느 회사가 발굴했고, 거기에 대해서 전임상이 어떻게, 누가 진행했고 등등등) 을 알 수는 없지만 그 부분을 살펴 보면 (업계 사람이라면) 대략적인 성공률은 어느 정도 예측해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만, 레퍼토리를 보았을 때는 고개를 갸우뚱 하게 되긴 합니다.
요즘 대기업들 연구직 커리어패스 추세는 투트랙으로 굳어져 가는거 같습니다.
연구 하다가 리더십이 있고 매니지먼트 역량이 있는 경우 팀장(매니저) 트랙으로 → 이후 사업적인 쪽도 잘 하면 사업 관련된 자리로 가고요 (사업부장이나 해외 현지 공장장 등등)
만약 연구의 장인이기는 하는데 리더십/매니지먼트랑은 별 무관한 경우는 마스터 트랙으로 가서 연구만 하는거 같습니다.
만약 매니저/마스터 어느 쪽도 트랙을 못 타면 희망퇴직 대상자가 되기 쉽기는 한데 그래도 수명은 아주 짧은 편은 아니지 싶습니다. 여태까지는 50대 중반? 넘기... 더 보기
연구 하다가 리더십이 있고 매니지먼트 역량이 있는 경우 팀장(매니저) 트랙으로 → 이후 사업적인 쪽도 잘 하면 사업 관련된 자리로 가고요 (사업부장이나 해외 현지 공장장 등등)
만약 연구의 장인이기는 하는데 리더십/매니지먼트랑은 별 무관한 경우는 마스터 트랙으로 가서 연구만 하는거 같습니다.
만약 매니저/마스터 어느 쪽도 트랙을 못 타면 희망퇴직 대상자가 되기 쉽기는 한데 그래도 수명은 아주 짧은 편은 아니지 싶습니다. 여태까지는 50대 중반? 넘기... 더 보기
요즘 대기업들 연구직 커리어패스 추세는 투트랙으로 굳어져 가는거 같습니다.
연구 하다가 리더십이 있고 매니지먼트 역량이 있는 경우 팀장(매니저) 트랙으로 → 이후 사업적인 쪽도 잘 하면 사업 관련된 자리로 가고요 (사업부장이나 해외 현지 공장장 등등)
만약 연구의 장인이기는 하는데 리더십/매니지먼트랑은 별 무관한 경우는 마스터 트랙으로 가서 연구만 하는거 같습니다.
만약 매니저/마스터 어느 쪽도 트랙을 못 타면 희망퇴직 대상자가 되기 쉽기는 한데 그래도 수명은 아주 짧은 편은 아니지 싶습니다. 여태까지는 50대 중반? 넘기는 경우를 많이 못 봤는데 앞으로는 더 늘어날 수도 있을거 같네요.
매니저/마스터 트랙을 타면 회사에서 지정한 정년까지 버틸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다만 매니저트랙은 임원 승진 못하면 역시나 희망퇴직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데 50대 중반까지는 무난히 버틸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연구 하다가 리더십이 있고 매니지먼트 역량이 있는 경우 팀장(매니저) 트랙으로 → 이후 사업적인 쪽도 잘 하면 사업 관련된 자리로 가고요 (사업부장이나 해외 현지 공장장 등등)
만약 연구의 장인이기는 하는데 리더십/매니지먼트랑은 별 무관한 경우는 마스터 트랙으로 가서 연구만 하는거 같습니다.
만약 매니저/마스터 어느 쪽도 트랙을 못 타면 희망퇴직 대상자가 되기 쉽기는 한데 그래도 수명은 아주 짧은 편은 아니지 싶습니다. 여태까지는 50대 중반? 넘기는 경우를 많이 못 봤는데 앞으로는 더 늘어날 수도 있을거 같네요.
매니저/마스터 트랙을 타면 회사에서 지정한 정년까지 버틸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다만 매니저트랙은 임원 승진 못하면 역시나 희망퇴직 대상자가 될 가능성이 있는데 50대 중반까지는 무난히 버틸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네. 있기는 합니다. Genomatica 라는 회사가 자신들의 균주개발 플랫폼을 소개하고 JV 같은걸 많이 유도 했고요 (자동차로 비유하면 설계 전문 회사가 생산 할 수 있는 다른 회사와 JV 하는 느낌입니다)
그밖에 여러 회사들이 생산 자체에 대한 역량이 없어도 설계라던지 플랫폼이 되는 균주/세포주 자체를 판매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든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장치산업이고, 균주/세포주가 아무리 좋아도 실제 대량 생산 현장에 투입되어서 순이익이 남을 정도로 발효수율/정제수율이 나오는건 다른 문제... 더 보기
그밖에 여러 회사들이 생산 자체에 대한 역량이 없어도 설계라던지 플랫폼이 되는 균주/세포주 자체를 판매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든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장치산업이고, 균주/세포주가 아무리 좋아도 실제 대량 생산 현장에 투입되어서 순이익이 남을 정도로 발효수율/정제수율이 나오는건 다른 문제... 더 보기
네. 있기는 합니다. Genomatica 라는 회사가 자신들의 균주개발 플랫폼을 소개하고 JV 같은걸 많이 유도 했고요 (자동차로 비유하면 설계 전문 회사가 생산 할 수 있는 다른 회사와 JV 하는 느낌입니다)
그밖에 여러 회사들이 생산 자체에 대한 역량이 없어도 설계라던지 플랫폼이 되는 균주/세포주 자체를 판매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든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장치산업이고, 균주/세포주가 아무리 좋아도 실제 대량 생산 현장에 투입되어서 순이익이 남을 정도로 발효수율/정제수율이 나오는건 다른 문제다 보니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균주/세포주 자체를 개발하는 역량에 몰빵을 찍고 기존에 생산역량을 갖춘 회사와 손을 잡는 형국입니다.
그리고 플랫폼 자체를 팔진 않고 (보통 그러면 기술력을 다 빨립니다...) 플랫폼을 가지고 JV를 많이 하거나 플랫폼에서 생산된 플랫폼 균주(대충 옵션 안달린 깡통 자동차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다른 회사에서 이거 사다가 옵션 달아서 자동차를 만드는 걸로 이해하시면 될거 같아요) 를 팔거나 합니다.
그밖에 여러 회사들이 생산 자체에 대한 역량이 없어도 설계라던지 플랫폼이 되는 균주/세포주 자체를 판매하는 회사도 있습니다.
위에서 말씀드렸든 바이오산업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게 장치산업이고, 균주/세포주가 아무리 좋아도 실제 대량 생산 현장에 투입되어서 순이익이 남을 정도로 발효수율/정제수율이 나오는건 다른 문제다 보니 스타트업들은 대부분 균주/세포주 자체를 개발하는 역량에 몰빵을 찍고 기존에 생산역량을 갖춘 회사와 손을 잡는 형국입니다.
그리고 플랫폼 자체를 팔진 않고 (보통 그러면 기술력을 다 빨립니다...) 플랫폼을 가지고 JV를 많이 하거나 플랫폼에서 생산된 플랫폼 균주(대충 옵션 안달린 깡통 자동차 정도로 생각하시면 될거같습니다. 다른 회사에서 이거 사다가 옵션 달아서 자동차를 만드는 걸로 이해하시면 될거 같아요) 를 팔거나 합니다.
자세한 사항은 기밀에 가까운 내용이라 말씀드리기 어렵지만 몇몇 기업에 대해서는 그 말은 완전히 틀린 말이라고 생각합니다.
모 회사는 이미 연구인력 중 단순 작업이 들어가는 부분은 머신러닝과 로봇으로 대체가 들어가고 있고
생산은 전부 자동화로 돌아가고 있으며, 균주/세포주 개발에 빅데이터를 쓰는건 이미 5-6년 전 부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는 제가 하는 세계 탑티어급의 대기업 산업용 바이오/바이오 시밀러 업체(S사, C사 등) 이야기이고, 중소 제약 바이오 회사는 해당사항이 없고 위에서 말씀하신 그 내용이 맞을겁니다.
모 회사는 이미 연구인력 중 단순 작업이 들어가는 부분은 머신러닝과 로봇으로 대체가 들어가고 있고
생산은 전부 자동화로 돌아가고 있으며, 균주/세포주 개발에 빅데이터를 쓰는건 이미 5-6년 전 부터 시작했습니다.
물론 이는 제가 하는 세계 탑티어급의 대기업 산업용 바이오/바이오 시밀러 업체(S사, C사 등) 이야기이고, 중소 제약 바이오 회사는 해당사항이 없고 위에서 말씀하신 그 내용이 맞을겁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