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포츠 게시판입니다.
Date | 15/05/31 13:17:19 |
Name | Leeka |
Subject | 한화의 압도적인 관중 동원력 |
올해 크보리그 5회 주중 매진. 그중 4번은 대전에서 발생. 5/15(금) 대전에서 넥센 VS 한화는 13000명 입장 5/15(금) 잠실에서 SK VS LG는 12578명 입장으로.. 이제 주중 경기조차 한화가 잠실이나 사직을 일부 이기기 시작 신생팀 KT의 올해 첫 매진은 한화와의 5/23일 경기(2만명) 올해 두번째 매진은 한화와의 5/24일 경기(2만명) 다른 어떤 구단도 못시킨 신생팀 KT의 홈 매진을 한화는 가볍게 달성시킴.. 올시즌 잠실 6경기를 치룬 한화는, 6경기중 2경기 매진. 평균 관중 2만 1890명 기록 (작년에 한화는 잠실에서의 평관중이 전체 좌석의 1/2도 못채웠었음) 한화의 정규시즌 홈 최다는 박찬호 입단+김태균 복귀의 2012년.(51만명) 올해는 현재 추세대로면 26.3%증가한 72만명 예상. 한화의 원정 관중 동원력은 현재 크보 10개구단중 기아와 더불어서 투탑이 된 상태. 한화의 관중 동원력, 시청률 파워가 갈수록 장난이 아닌 수준으로 올라가고 있습니다. 오죽하면 야구가 없는 월요일에 케이블 3사가 전부 '한화 이글스 특집' 을 하고 있고 -.- 지난번에 한화경기만 우천취소 되고 나머지 4개 구장에서 경기를 했는데.. 케이블에서 '한화경기 재방송' VS 나머지 4개 구장 경기 생방송.. 이 붙어서 한화 경기 재방송이 시청률 1위를....... -.- 하는 사건까지 최종 성적이 어떻게 나올진 모르지만.. (사실 NC, 삼성, 두산등.. 강팀들하곤 승차가 얼마 없다고 해도 전력차이는 심하게 나는 상태고) 어떤 결과가 나오던. 한화 입장에서는 말도안되는 관중 동원력과 홍보효과, 시청률, 인기를 통해서 김성근영입은 성공적이였다고 평가할 수 있지 않을까 싶네요...... * Toby님에 의해서 자유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이동되었습니다 (2015-06-01 01:11) * 관리사유 : 야구게시판으로 이동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Leeka님의 최근 게시물
|
제 기준에서 관중 동원력은 \'홈팀의 유료관중객 수\'를 의미하는데, 용어의 정의 차이가 불러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원정에서의 관중 동원력은 측정이 불가능하니 저는 순수하게 홈팀 유료관중객 수로만 비교한것입니다. 실제 인기도와는 괴리가 있겠지만... 그건 복합적으로 판단해야하는 부문이라 말이죠.(인기도 측정을 위해서는 인지도 측정같은것도 해야하니...)
그나마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KBO의 입장수익 배분 기준(홈팀 72 : 원정팀 28)로 입장 관객수를 배분해보니
엘지 : 412,450명 (경기당 8,087... 더 보기
원정에서의 관중 동원력은 측정이 불가능하니 저는 순수하게 홈팀 유료관중객 수로만 비교한것입니다. 실제 인기도와는 괴리가 있겠지만... 그건 복합적으로 판단해야하는 부문이라 말이죠.(인기도 측정을 위해서는 인지도 측정같은것도 해야하니...)
그나마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KBO의 입장수익 배분 기준(홈팀 72 : 원정팀 28)로 입장 관객수를 배분해보니
엘지 : 412,450명 (경기당 8,087... 더 보기
제 기준에서 관중 동원력은 \'홈팀의 유료관중객 수\'를 의미하는데, 용어의 정의 차이가 불러오는 것이 아닐까 합니다.
원정에서의 관중 동원력은 측정이 불가능하니 저는 순수하게 홈팀 유료관중객 수로만 비교한것입니다. 실제 인기도와는 괴리가 있겠지만... 그건 복합적으로 판단해야하는 부문이라 말이죠.(인기도 측정을 위해서는 인지도 측정같은것도 해야하니...)
그나마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KBO의 입장수익 배분 기준(홈팀 72 : 원정팀 28)로 입장 관객수를 배분해보니
엘지 : 412,450명 (경기당 8,087명)
두산 : 363,311명 (경기당 7,898명)
롯데 : 326,316명 (경기당 6,398명)
기아 : 302,082명 (경기당 6,165명)
한화 : 280,899명 (경기당 5,618명)
가 되네요. 오히려 두산보다 엘지가 관중수입은 가장 많다고 봐야겠군요.
원정에서의 관중 동원력은 측정이 불가능하니 저는 순수하게 홈팀 유료관중객 수로만 비교한것입니다. 실제 인기도와는 괴리가 있겠지만... 그건 복합적으로 판단해야하는 부문이라 말이죠.(인기도 측정을 위해서는 인지도 측정같은것도 해야하니...)
그나마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KBO의 입장수익 배분 기준(홈팀 72 : 원정팀 28)로 입장 관객수를 배분해보니
엘지 : 412,450명 (경기당 8,087명)
두산 : 363,311명 (경기당 7,898명)
롯데 : 326,316명 (경기당 6,398명)
기아 : 302,082명 (경기당 6,165명)
한화 : 280,899명 (경기당 5,618명)
가 되네요. 오히려 두산보다 엘지가 관중수입은 가장 많다고 봐야겠군요.
재밌어요. 홈/방문시 매진 여부 관중동원을 교차비교할 필요가있습니다.
한밭구장이 13,000석이라 매진해도 2만여명을 수용할 수있는 대형구장에 비해 불리하고, 원정시 매진시키고 홈팀급 동원력 보여주는데 홈팀 몰빵한 자료로는 동원력을 증명하는게 한계가 있죠.
각 구단 방문팀일 경우 관중수 (150529 기준)
http://m.dcinside.com/view.php?id=hanwhaeagles&no=6399308
한밭구장이 13,000석이라 매진해도 2만여명을 수용할 수있는 대형구장에 비해 불리하고, 원정시 매진시키고 홈팀급 동원력 보여주는데 홈팀 몰빵한 자료로는 동원력을 증명하는게 한계가 있죠.
각 구단 방문팀일 경우 관중수 (150529 기준)
http://m.dcinside.com/view.php?id=hanwhaeagles&no=6399308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