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머가 아닌 펌글, 영상 등 가볍게 볼 수 있는 글들도 게시가 가능합니다.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5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특정인 비방성 자료는 삼가주십시오.
Date 20/10/28 13:27:32수정됨
Name   알료사
Subject   흙수저를 위한 나라는 없다
https://gall.dcinside.com/board/view/?id=hit&no=16067&_rk=eYK&page=1




댓글로 대기업 간 기만자가 돈 잘버는거 자랑하냐고 오지게 욕처먹는데


저는 만화에서 하는 이야기에 공감합니다.


벌써 10년 정도 지난거 같은데 어떤 커뮤니티에 '세상 사는데 돈은 중요하지 않다'라는 장문의 글이 올라왔었고


글쓴이는 미국 유학중인 금수저였어서 당연히 반응은 '너는 돈 많으니까 돈 안중요하겠지' 였습니다ㅋ


저는 글쓴이가 하는 말에 너무너무 동의하는 바였으므로 실드를 치기 위해서 똑같은 제목으로 글을 올렸습니다.


웃긴게 온갖 궁상스러움으로 가득찬 저의 학창시절,20대를 알고 있는 커뮤니티 구성원들은 결론적으로 같은 주장을 하는 저의 의견에 열렬한 성원과 지지를 보냈습니다ㅋ


하지만 그 글을 쓰던 시기의 저도 이미 거지같은 직장이지만 아무튼 밥벌이는 하고 과거와 같은 의식주 걱정에서는 벗어난 상태였죠.


'돈이 있으니까 돈이 안 중요하겠지' 라는 비판에서 똑같이 벗어날 수 없는 상태였다는 거..


이 모순은 뭘까? 돈은 중요한거야 안중요한거야?


10년이 지난 지금에 와서 다시 생각해 보면..


돈은 중요하다. 그래서 인생에 한번쯤은(어쩌면 평생) 돈에 영혼을 팔아야 하는 시기가 있고, 그렇게 영혼없는 일정 구간을 버티게 해주는게 '돈은 중요하지 않다'라는 환상이다..  그 환상으로 영혼 판 시기를 버텨내면 그때부터는 환상이 환상이 아니게 된다.. 아니 뭐래는거야..


다시 만화로 돌아가서, 저는 만화에서 주인공이 아주 최악의 흙수저는 아니었다고 생각하는게, 그래도 미약하나마 부모님의 '사랑'이 불씨로나마 느껴지는 정도는 있었다는거. 친구들 중에 더 막장인 애들도 있어서 상대적으로 성장기의 박탈감은 덜했다는거.


음.. 그리고 이건 제가 독붕이라서 하는 말일지도 모르겠는데..  만화 주인공이 책을 <유일한 어머니의 유산>이라고 표현하고 있는게 재미있었어요.


책의 효용은 무엇이냐.. 지식? 교양? 감동? 물론 저는 책은 효용으로 읽는게 아니라는 주의이지만 세상에는 아득바득 책의 효용을 찾는 무리들이 있잖습니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책의 가장 큰 효용은 그놈이 아주 강력한 <환상 제조기>라는 겁니다..  ㅋ 정신승리에 이만큼 도움되는 놈이 없어요ㅋ


환상은 뭐다? 돈에 영혼 팔아야 할때 그 영혼 대신 나를 지탱해 줄 수 있는 기둥이다.. ㅋ


이문열은 자전적 소설에서 항상 앵무새처럼 '나는 성장기에 <소공녀 의식>을 가지고 있었다'라는 말을 하고 있어요.

"내가 공주라면 나는 누더기와 넝마를 입고 있어도 공주다. 마리 앙투아네트는 감옥에 갇히고 목이 잘려도 왕비다"

이러한 생각이 한때 지주가문이었던 아버지가 재산 탈탈 털어 인민을 위한 세상을 만들겠다고 월북해버리고 자신은 어머니와 동생들과 남한에서 이루 말할 수 없는 고초를 겪어야 했던 ㅈ같은 상황을 견디게 해주었다는 거죠..


현실이 시궁창이어도 나는 고귀해.. 아무튼 고귀해..


인간에게는 누구나 고귀한 인권이 있다 이런 사상과는 전혀 다른 개념입니다. 인간은 누구나 고귀하다는게 아니라 시발 내가 존나 독보적으로 고귀하다는거.. ㅋ


저는 '소공녀 의식'이라는 말을 20대 중반 이후 처음 접했는데 딱 보자마자 아 내가 가지고 있던게 소공녀 의식이구나 하고 알았습니다. 나를 바위처럼 짓누르는 현실의 중압감 속에서, 내가 바위 밑에서 온 몸과 정신이 으깨어졌는지 어쨌는지 구분도 못하겠는 상황 속에서, 아아 나는 비련의 주인공이라서 넘모 아름다운 것♡ (영혼 탈출) 이런 염병을 떨면서 그럭저럭 세월은 흘러가고 나 자신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어느순간 바위가 가벼워진것을 느끼고 그것을 옆으로 밀쳐내고  일어설 수 있었던거 아닌가..



아웅 뭔가 하고싶은 말을 다 못한 느낌인데 뭔 말을 하려고 했었는지를 까먹음..  아무튼 우리 흙수저들 화이팅입니다.

















13


좀 다른 이야기지만, 링크 글/그림을 보고 나니, 요즘 젊은이들은 인터넷, 스마트폰, 소셜미디어로 과거 지리적 구분에 간접 경험이 많이 막혀 있던 때에 비해 정말 박탈감을 많이 느낄 것 같다는 생각이 다시 들었고.

한편으로, 제가 금수저 가정사들을 깊숙이는 아니라도, 많이 본 편인 것 같은데, 돈은 많아도 화목하지 않은 가정, 아이들도 많은 것 같았습니다. 편견이겠지만, 그래도 경제적으로 위태위태한 경우보다는 화목한 경우가 많은 것 같았습니다만.

잘 봤습니다.
3
거소님을 스타로만든 편의점 글과 맥락이 잇닿아 있네요. 그럼 결국 다시 돈이 중요하게 되는데. 돈이 중요하지 않기 위해서 돈이 중요해지는군요.
3
사이시옷
돈은 충분조건이 아닌가 싶습니다.
좋은 만화, 글 잘 보았습니다.
카르바할
만화 그리신 분이 겸손하시면서도 피해의식과 자기연민에 찌들어 있지 않은 거 같아서 존경스럽네요. 나라면 절대 못 저랬음. ㅋㅋㅋㅋ
바라스비다히
있어보고 나니까 음 별 차이 없는거같은데 하는것과 한번도 있어보지 못한 인생에게 별 차이 없으니까 가지려 하지 마 하는건 너무나 다르죠. 이정도만 해도 행복이라고 자기 최면이라는 마약을 곱씹으며 살아가는 인생. 어디 일부분이 거세된 채로 결여된, 실제로도 그런 인생들은 후천적으로 비물리적 거세된 인생들을 택하고 있죠. 슬픕니다.
매스틱검
장가를 잘갔네요
저는 오히려 아내분이 사람보는 안목이 있었구나 싶습니다
생각해보니 같은말 같긴 한데
오쇼 라즈니쉬
힐빌리의 노래도 생각나고 그러네요. 잘 봤습니다.
사람은 항상 이미 가진 것보다는 못가진 것에 대한 큰 욕망을 가지죠.
그리고 막상 해보면 별 거 아니네.. 그러는 거구요.
한강뷰 아파트도 막상 거기 들어가 살아도 한 1년쯤 지나면 그냥 집이겠죠.
명품이 부러운 건 그것 자체가 부러운 게 아니라 그렇게 소비하면서 살아도 되는 경제적 자유가 부러운 거죠.. ㅎㅎ
구밀복검

아마 저기서 대기업 어쩌고 하는 친구들 치고 브라질에서 연봉 3000달러 ≒ 400만 원보다 적게 버는 친구 없을 겁니다. '않이 브라질은 브라질이고 한국은 한국이지 그걸 어떻게 등가적으로 비교하냐'라고 할 수 있는데 브라질 사람들이 들으면 황당해 할 소리일 뿐만 아니라 글쓴이도 똑같이 할 수 있는 말예요. 너는 너고 나는 나니까. 행복이 재산순 지위순이면 삼성가 막내딸이나 종현 설리 구하라 같은 사람들이 자살할 리도 없죠. 이러면 또 왜 자살하는지 이해가 안 간다 헛바람 들어서 그런 거 같다고 생각할 사람도 있겠지만 결국 그래봐야 본인은 자살 안 했고 자신의 목숨을 판돈으로 걸어본 적 없으니 죽은 사람을 조롱할 자격을 가지기엔 이미 생을 너무 사랑하는 거고.
3
브라질 듣기만해서는 고담시티 느낌인데 생각보다 행복하군요.
행복과 치안은 딱히 비례관계가 아닌가...
구밀복검
강력범죄 사망자는 모르겠는데 브라질의 연간 조사망자(1000명당 사망자)가 6.45고 한국은 5.7입니다. 물론 이게 작은 차이는 아니고 한국으로 치면 1년에 29만 명이 죽느냐 36만 명이 죽느냐 차이니까 꽤 큰 거긴 하지만 어쨌든 죽음이란 사건이 기본적으로는 소수에게 벌어지는 일이며 '당장의 나에게는 안 일어날 거야'라고 생각하는 데에는 양국의 차이가 별로 없겠죠. 뭐 물론 살인만 따질 건 아니고 강도 절도 폭행 이런 것도 따져야겠지만 여하간..
쌈바국은 열외아닙니까? 진정한 흥의 민족...
알료사
한국이 브라질만큼 축구 잘했으면 행복도 꽤 올라갔을지도..
1
알료사
https://comic.naver.com/challenge/detail.nhn?titleId=756288&no=5


오 이거 연재물이었네요 다음화 기대됩니다 ㄷㄷㄷ
1
티비의 관찰예능이 너무 어렸을때부터 나만 가난한거 같은 비관을 안겨주죠... 어렸을때만해도 다 비슷한 집들이 몰려사니 다 그렇게 사는줄 알았었는데 말입니다..
1
화이트카페모카
돈돈 거리고 무슨 수저수저 거리는 사람들은
사람냄새가 안나서 아예 거리를 둡니다.
자기가 좋아하는거에 낭만을 쫒고, 가시밭길 이여서
다칠수도 있어도 자기 신념 관철하는 그런 사람들
한테서 매력을 느낍니다.

돈 없이 정신까지 고픈 자들은 돈만 있으면 만사해결이라는 논리를 대인관계에까지 개입시키는 정신이
피폐한 사람들이 많은 요즘의 사회이네요.
은하노트텐플러스
개인적으로는
그런 사람들의 심정을 백번 이해하고 공감하는 부분도 분명 많이 있습니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옆에 같이 있으면 저까지 미쳐버릴 것 같은 느낌이 들어서
피하게 되더군요.

내 인생도 그렇게까진 행복하지 않은데
옆에서 듣고 있기에 힘들어요...
화이트카페모카
죽마고우였던 친구가 저랑 만나거나
친구들과 모여서 매번 돈이나 사회적 계급 타령을
항상 하는데 얘 사정은 잘 알지만은 가까이 하면
악영향을 받는지라 저도 피하고 있습니다 ㅎㅎ...
Schweigen
쫄딱 망해 길거리 나앉아 삼일 굶어 수돗물 배채우고 남이 피다버린 담배 꽁초 주워 피우면서도 그놈의 자존심이 뭔지 도와달라는 소리가 목 밖으로 안나오더군요. 근데요... 어찌어찌 도움을 받고 숨통이 틔니까 도리어 그 자존심 염치 체면은 10리 밖으로 도망가더군요. 돈에 환장한 인간이 되지 모에요. 누가 사겠다면 몸이라도 팔 수 있었어요. 얼마든지.
디씨 댓글창은 역시나 아수라장이군요 ㅋㅋ
공감가는 만화 잘 봤습니다. 살기도 바빴을텐데 이걸 만화로 그려낼 능력이 있다는것도 대단하네요.
'화' 가 없더라 하는 통찰력이 제일 인상깊었습니다.
내면의 화
나랑 비슷한 점이 많아서인지 공감되는 부분이 너무 많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740 흡연하는 순박한 애들 겁줘서 쫓아내기 3 swear 20/05/02 3653 2
41175 흡연자에게 경고하는 외국인 3 swear 19/10/30 3470 2
65758 흡연자 중에 본인의 의지로 담배를 끊는 비율.jpg 7 김치찌개 24/04/19 2632 0
40854 흡연이 좋은게 1 DogSound-_-* 19/10/14 3514 0
30664 흡연실 발상의 전환 3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8/05/01 3537 2
44988 흡연부스에 대해서 이야기하는 침착맨.jpg 2 김치찌개 20/05/15 3667 2
15146 흡연 금지 구역에서 흡연을 했겠다? 1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6/10/05 2399 0
3198 흡사 노예선 2 절름발이이리 15/10/08 2807 0
3917 흠흠....원래 문 열고 들어올려고 한 거야 1 王天君 15/10/26 2790 0
50146 흠칫 케이크 21/01/31 2780 0
39495 흠집을 예술로 재탄생시키기 4 다람쥐 19/07/22 3957 6
32408 흠뻑젖은 S라인의 누님들이...ㅗㅜㅑ 14 월화수목김사왈아 18/07/19 3898 3
5233 흠냐 피곤해 王天君 15/11/25 2664 0
57377 흠..패션이… 7 swear 22/04/30 3074 0
57739 흠..다시 태어난건가 1 swear 22/05/28 2822 0
3813 흠 이거 진짜 귀여운데요 1 王天君 15/10/24 2880 0
7472 흙수저의 허세.. 3 위솝 16/01/08 2665 0
10264 흙수저의 조이스틱 2 아침코끼리 16/03/29 2724 0
48272 흙수저를 위한 나라는 없다 23 알료사 20/10/28 5165 13
4528 흙수저들아, 버티자. 그러면 반드시 좋은 날이 온다 5 위솝 15/11/11 2769 0
22966 흙수저는 금수저를 넘어설 수 없다는 생각 4 우웩 17/05/24 2589 0
55313 흙수저가 말하는, 흙수저가 노력을 안하는 이유.jpg 1 김치찌개 21/12/09 3566 0
23624 흙수저가 금수저가 되면 가장 먼저 해보고 싶은거.jpg 3 김치찌개 17/06/10 2801 0
3659 흙수저.jpg 5 천무덕 15/10/19 3521 5
10469 흙수저 청년대표 5 아침코끼리 16/04/04 260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