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23/11/07 12:10:35 |
Name | 오호라 |
Subject | 네타냐후 “종전 뒤 가자 안보 책임 맡겠다”…통치 개입 뜻 밝혀 |
https://n.news.naver.com/article/028/0002663457?sid=104 네타냐후 총리는 6일(현지시각) 미국 에이비시(ABC) 방송과 회견에서 하마스와 전쟁을 끝낸 뒤 “이스라엘은 (가자지구에 대한) 전반적인 안보 책임을 무기한 맡을 것”이라며 “우리가 그 안보 책임을 맡지 않으면, 우리가 얻게 되는 것은 상상할 수 없는 규모의 하마스 테러 분출”일 뿐이라고 말했다. 네타냐후 총리가 이스라엘방위군(IDF)의 군사 작전이 끝난 뒤 가자지구를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다만, 이에 앞서 요아브 갈란트 국방장관이 지난달 20일 크네세트(이스라엘 의회)에 나와 가자지구에 대한 작전을 3단계로 나누며 “가자지구에 대한 이스라엘의 의무”는 “이스라엘 시민들을 위한 새로운 안보 정권 수립”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7일 1400여명이 숨진 대규모 기습 공격을 받은 뒤 ‘하마스 제거’를 군사적 목표로 내세워 왔지만, 가자지구에 대한 재점령이나 이후 통치 방식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아 왔다. 실제, 이스라엘은 내부적으로 가자지구 재점령과 통치를 꺼리는 분위기였다. 그런데도 네타냐후 총리가 가자지구에 대한 ‘전반적 안보 책임’을 언급한 것은 말고 침공 이후 그 외의 현실적 대안을 마련하기 마땅치 않다는 판단을 내렸기 때문으로 보인다. --------- 이렇게 하면 국제사회가 가만히 있을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오호라님의 최근 게시물
|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13944?sid=104
네타냐후 총리의 무기한 안보책임론이 과도기적 개입인지 재점령에 가까운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관리들에게서도 같은 원칙이 소개되는 등 이런 입장이 네타냐후 총리의 개인적 견해는 아닌 것으로 관측된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 관리는 지난 5일 히브리어로... 더 보기
네타냐후 총리의 무기한 안보책임론이 과도기적 개입인지 재점령에 가까운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관리들에게서도 같은 원칙이 소개되는 등 이런 입장이 네타냐후 총리의 개인적 견해는 아닌 것으로 관측된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 관리는 지난 5일 히브리어로... 더 보기
https://n.news.naver.com/article/001/0014313944?sid=104
네타냐후 총리의 무기한 안보책임론이 과도기적 개입인지 재점령에 가까운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관리들에게서도 같은 원칙이 소개되는 등 이런 입장이 네타냐후 총리의 개인적 견해는 아닌 것으로 관측된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 관리는 지난 5일 히브리어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이 전쟁이 끝난 뒤에도 가자지구에 대한 상당한 통제력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리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궁극적으로 안보 책임을 갖지 않는 상황은 어떤 경우에도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가자지구를 복구하는 것만으로는 모자란다"며 "'탈나치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런 (유대인을 죽이려고 시도하는) 문화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도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네타냐후 총리의 무기한 안보책임론이 과도기적 개입인지 재점령에 가까운 것인지 구체적으로 확인되지는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이스라엘 관리들에게서도 같은 원칙이 소개되는 등 이런 입장이 네타냐후 총리의 개인적 견해는 아닌 것으로 관측된다.
이스라엘 매체 타임스오브이스라엘에 따르면 이스라엘 관리는 지난 5일 히브리어로 진행된 기자회견에서 이스라엘이 전쟁이 끝난 뒤에도 가자지구에 대한 상당한 통제력을 유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관리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궁극적으로 안보 책임을 갖지 않는 상황은 어떤 경우에도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그는 "가자지구를 복구하는 것만으로는 모자란다"며 "'탈나치화' 절차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이런 (유대인을 죽이려고 시도하는) 문화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에도 여전히 존재한다"고 덧붙였다.
국제사회가 가만히 있지 않을 것이라는 점과는 별개로,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의 질서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나요? 가자 지구로부터 공격을 받아서 수많은 자국민이 죽었는데, 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곳의 질서에 개입하지 않고자 하는 주권 국가가 있을까요?
저러한 시도는 오직 외부로부터 더 큰 힘이 개입될 때 만이 좌절 될 것인데, 국제사회가 어느 정도로 개입에 나설지는 모르겠군요.
이스라엘이 가자 지구의 질서에 개입하지 않는다는 결정을 내리는 것도 불가능하지 않나요? 가자 지구로부터 공격을 받아서 수많은 자국민이 죽었는데, 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곳의 질서에 개입하지 않고자 하는 주권 국가가 있을까요?
저러한 시도는 오직 외부로부터 더 큰 힘이 개입될 때 만이 좌절 될 것인데, 국제사회가 어느 정도로 개입에 나설지는 모르겠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