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3/09 19:46:55
Name   Overthemind
Subject   "어떻게 샀는데‥그 값엔 못 팔지" 버티는 사이 3억 '싹둑'
https://imnews.imbc.com/news/2024/econo/article/6578041_36452.html
부동산을 떠받치기 위해 이자율을 올리지 않고 버틴다는 기사를 봤었는데, 영끌족들이 더이상 버티지 못하는가 봅니다.
(이자를 미 연준이 올렸을 때 반영하지 않아서 국내의 물가가 폭등했었지요)

'집을 투기의 수단으로 사용하지 못하게 하겠다'던 문재인 전 대통령의 임기중 발언은 실패로 나타나서 정권이 교체되는 것에 핵심 역할을 했는데, 오히려 상대 당인 윤석열정부에서 '집을 투기의 수단으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경제상황이 만들어진 걸로 보입니다.




1


노바로마
정책이 시장에 반영되는데 시차가 있던 것으로 해석할 수도 있습니다. 문재인 정부에서 쓴 부동산 정책이 1-3년 정도의 시차가 있던 거기도 하고, 공급측면에서도 당시 늘린 공급이 이제야 반영되는 면도 있을겁니다.
4
Overthemind
시간이 걸려서 그렇지,결과적으로는 '부동산 정책이 옳았다'고 볼 수도 있겠군요.
정책수립 시기에 효과 나오는 시기가 같이 정해져있어야 하죠. 아니면 인디언 기우제니까요.
이자율 상승이 원인이지 몇년전 정책을 끌어오는건 아전인수 해석이라고 생각 합니다.
4
Overthemind
음..그렇게 볼 수도 있겠군요.
당근매니아
반대로 문재인 정부 시절의 부동산 급등은 정책실패의 측면보다 코로나19로 인한 유동성 과잉이 훨씬 영향이 컸는데, 여전히 문정부의 원죄로 취급되는 게 부당한 측면이 있다고 봅니다.
3
유동성 과잉이 원인인 상황에서 나온 부동산정책이 적합하지 않았다고 생각 합니다. 전세대출은 안묶으면서 공급제한, 임대차3법, 보유세가 아닌 양도세 인상 등의 정책방향은 틀렸다고 봅니다.
그래서 집값 상승 전체는 아니어도 정책실패는 문정부의 실패라고 봅니다.
흑석선생, 박주민 등과 같은 정권 핵심의 모럴해저드도 있었고요.
8
꿀래디에이터
대폭발의 시발점이었던 82대책이 2017년인데... 그때 코로나가??
어떤 정책이 1-3년 지나서 효과가 나타난걸까요
구밀복검
개인적으로는 지금 제일 영향 크게 미치는 건 DSR이라고 봅니다. 21년에 입안 되어서 22년 1월부터 시행되었고 이때부터 부동산이 벼락같이 떨어졌죠. 현 정부는 한술 더 떠서 스트레스 DSR까지 먹이고 있고요.
문정부가 4년 동안 삽질하다가 임기 말년에 그래도 해답지를 찾았다 - 근데 하필 금리인상기와 겹치면서 너무 과하게 들어갔다 - 이걸 윤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 끼워서 한편으로 연착륙 시키면서 스트레스 DSR로 가계 부채와 버블은 원천 차단했다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17-20의 부동산 정책은 완전 망 수준이었고 ... 더 보기
개인적으로는 지금 제일 영향 크게 미치는 건 DSR이라고 봅니다. 21년에 입안 되어서 22년 1월부터 시행되었고 이때부터 부동산이 벼락같이 떨어졌죠. 현 정부는 한술 더 떠서 스트레스 DSR까지 먹이고 있고요.
문정부가 4년 동안 삽질하다가 임기 말년에 그래도 해답지를 찾았다 - 근데 하필 금리인상기와 겹치면서 너무 과하게 들어갔다 - 이걸 윤정부가 특례보금자리론 끼워서 한편으로 연착륙 시키면서 스트레스 DSR로 가계 부채와 버블은 원천 차단했다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그래서 17-20의 부동산 정책은 완전 망 수준이었고 21 중엽-현재까지의 정부의 집값 컨트롤 대책은 그럭저럭 괜찮지 않나 싶네요. 물론 고점에서 물린 사람들 입장에서는 억장이 무너질 텐데 그나마 작년 중엽에 윤 정부가 탈출할 기회 줬다 보고요. 그때 못 털었으면 뭐 팔자소관이죠.
15
DSR까지 [먹이]면 안됩니다....ㅠㅠ
4
오.. 감사합니다!
노바로마
공급확대의 경우는 부동산이 인허가되어 지어질때까지 시차가 있습니다. 공급측면은 그 영향이 있을거라고 생각합니다
3
비슷한건지는 모르겠지만 건물주들이 월세 안내리는 아유도 그거라곤하더군요.
월세 내리면 건물가치가 떨어진다나뭐라나.
그래서 건물을 팔더라도 안내린다고.
1
월세 낮추면 대출도 덜나와요
월세가 건물의 가치라니..
레디미르
미래 현금흐름(월세)의 현재 가치가 가격이랑 연동되니까요.
cummings
주식회사의 가치(주가) 가 PER(주당 순이익) 이랑 연동되는거랑 비슷한 이치...
월세=현금흐름창출능력이기때문에, 건물의 감정가격이나 대출가능 액수에도 연동이되니까요.

당장 월세 내려주면 상가임대차보호법으로 인해
향후 10년동안 건물의 값어치가 내려갑니다...?

건물주들이 비워두는게 월세 낮추는걸 몰라서 그런게 아니라, 비워두는게 이득이라 그런거...-_ㅜ
산타는옴닉
상가임대차보호법 개정 이후 상가는 마지막 숨통이 끊어진 걸 모르는 분들이 정말 많더군요.
cummings
사실 개정 이전에, 리쌍사태를 봐도 상가 임대인의 재산권에 제한이 있다고 생각했는데...
개정 이후는 음...

그동안의 임차인이 지나친 약자이긴 했지만 요즘은 좀 반대로 기울어 진 게 아닌가 싶더라구요.
페미니즘이 너무 과격해지면서 역풍이 생긴 것과 유사한 느낌인데,
이건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갑을관계가 너무 명확해서 역풍도 불지 않을 것 같아요ㅎㅎ
(앞으론 건물주보다 주식 배당주?!)
여우아빠
너무 당연한 말이죠 건물이 월세 말고 다른걸로 가치창출을 못하잖아요?

임대차보호법이 강력해서 올리는건 어렵기도 하고요.
Beer Inside
대출도 덜 나오는 수준이 아니라, 대출 상환을 해야하니...
노무현 이명박때도 비슷하긴 했는데.
1
은하스물셋
"부동산을 떠받치기 위해 이자율을 올리지 않고 버틴다는 기사를 봤었는데"

윤 정부가 이자율 안 올리는 걸 포함 별의별 똥꼬쇼를 다 해서 이 정도만 떨어진 겁니다. 윤 정부가 이 악물고 떨어뜨리려고 했으면 지금 IMF 수준의 불황이 왔을 거에요.
3
그 대가로 전국민이 물가 폭등이라는 짐을 나눠서 지고 있죠...ㅠㅠ
은하스물셋
글쎄요...

1. 우리나라 정도면 다른 나라 비해서 물가상승률이 확연히 낮은 편입니다.

2. 금리 높여서 부동산 가격 박살났으면 경기침체로 환율 박살나서 (수입)물가 훨씬 올랐을걸요.

한은이 잘 하고 있는 건지, 우리나라 경제가 저력이 있는 건지는 모르겠지만, 하여튼 예상 외로 꽤 선방했고, 지금 정도면 잘 하고 있는 겁니다.
1
금리 억제로 환율 박살나니까 급하게 국민연금 통해서 달러 수혈하고, 경기 침체는 지금도 마찬가지고요. 투자 실패한 영끌족을 위해 국민 전체가 높은 소비자물가에 괴로워하고 있는데 잘하는 것 같지는 않네요.
2
원금복구제발ㅠㅠ
물가상승률이 다른나라와 비교해서 어느정도죠?? ㄷㄷ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517 경제돌려받은 대출 이자로 아이 학원 한 번 더”…국힘, 주택은행 부활 제안 8 활활태워라 24/03/26 2666 0
37510 경제서울시 청년월세 1년간 '월 20만원' 월세 지원 8 오디너리안 24/03/26 2303 0
37496 경제롯데아사히, 내달 국내에 '오리온 더 드래프트' 출시 5 효모 루덴스 24/03/25 2347 0
37455 경제디저트 매장이 키웠더니 매출도 쑥… 신세계백화점, ‘스위트 파크’ 덕에 매출 30% 성장 7 Leeka 24/03/19 1639 0
37433 경제쿠팡이츠 ‘무제한 무료배달’ 시작…배달비 '0원시대' 연다 14 swear 24/03/18 1829 0
37426 경제韓 임금, 20년 만에 日 추월…대·중기 임금 격차는 확대 8 카르스 24/03/17 2268 0
37398 경제워크아웃 태영건설, '자본잠식' 상태 진입…주식 거래 정지 5 활활태워라 24/03/13 2686 1
37396 경제사과 10kg 도매가격, 사상 첫 9만 원 돌파 15 Overthemind 24/03/13 2241 0
37375 경제과일 이어 채소도 들썩…'애그플레이션' 온다 9 Overthemind 24/03/11 1975 0
37369 경제"어떻게 샀는데‥그 값엔 못 팔지" 버티는 사이 3억 '싹둑' 27 Overthemind 24/03/09 3154 1
37356 경제권도형 한국 송환 결정…'美 인도' 뒤집혀 12 swear 24/03/08 2653 0
37355 경제신세계 정용진 회장 승진, 이명희 총괄 회장으로 8 swear 24/03/08 1934 0
37353 경제물가 폭등에…'일본산 사과 수입' 내부 검토 7 다군 24/03/07 2539 0
37350 경제한국은행 "韓 성인 금융 이해력, OECD 국가들 중 5위" 15 카르스 24/03/07 2657 1
37346 경제쿠팡 떠난 CJ제일제당, 알리익스프레스에 입점 9 다군 24/03/07 2656 0
37274 경제태영건설, 60억원 어음 부도 공시…“회생절차안에 포함” 7 Overthemind 24/02/26 2316 0
37244 경제"당첨되면 20억 진짜 로또"…'줍줍' 역대급 경쟁률 예고 19 the 24/02/21 2659 0
37187 경제관세청, 해외 여행자 주류 면세 한도 늘린다 4 효모 루덴스 24/02/13 2669 0
37186 경제대한항공·아시아나항공 합병 임박…미국 승인만 남아 6 먹이 24/02/13 2659 1
37174 경제“떡국 두 번 먹었다간” 아무도 몰랐다…충격적인 사연 1 swear 24/02/11 2671 0
37173 경제호두과자도 소떡소떡도 제쳤다…휴게소 최고 인기 음식은? 6 swear 24/02/11 2672 0
37158 경제건설사 사망 사고 통계 발표 전면 중단 14 swear 24/02/07 2660 0
37152 경제삼성전자, 스벅 더북한강R점서 '갤S24 X 펫' 체험존 운영 2 Beer Inside 24/02/06 2292 0
37140 경제머스크, 이사진과 마약파티...왕처럼 행세” 내부 폭로 나왔다 9 활활태워라 24/02/04 2666 0
37138 경제2030 청약통장 보유자 10명 중 4명 "청약제도 실효성 없어" 22 활활태워라 24/02/04 276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