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6/07 01:11:11
Name   카르스
Subject   한국인에 대한 오해-①가족보다 돈을 우선한다
최근 한국에서 가장 많이 회자된 조사를 꼽으라면 퓨리서치센터(PEW)가 2021년 전 세계 1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 조사를 들 수 있다. 17개국 중 14개국에서 가족을 1순위로 꼽은 반면, 유일하게 한국인은 '물질적 행복'을 1순위로 꼽았다는 발표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국내 언론 대다수도 자세하게 소개했는데 2순위는 '건강', '가족'은 3순위에 그쳤다.

한국 사람들은 '가족'보다도 '돈'에 인생의 의미를 두고 사는 속물적인 별종인가? 퓨리서치는 엄격한 조사방법론과 전문성이 있는 기관으로 글로벌 조사 연구를 이끄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다. 그래서 더더욱 영향력이 컸다. 해당 보도는 공신력 있는 기관의 조사 결과라도 적절한 조사 방법과 분석을 진행하지 못할 경우 편견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차원의 '데이터 리터러시' 능력을 요구하는 사례였다. 당시 대다수 언론이 전파하는 확성기 역할을 했다. 일부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데이터 분석 전문가이나 한국일보와 같은 일부 언론에서만 조사의 허점을 지적하며 자조적 해석에 대해 반박했다.(한국일보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중시? 조사 보고서 확인해보니…' 2021년 11월 22일)

이 조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된 질문 및 구조화된 보기 중에서 응답을 선택해야만 하는 '폐쇄형 구조화된 질문 방식'(closed-ended question)과 응답자가 임의로 대답하는 '개방형 주관식 질문문항'(open-ended questions)의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 단적인 예가 서구 나라의 응답자들은 위의 질문에 대해 복수의 응답이 많은 반면, 한국 응답자들은 단일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국에서는 '한 가지 응답'만 제시한 비율이 62%로 조사국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은 응답자의 76%가 '복수 응답'을 냈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응답 비교가 어려운 어느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으로 좋다', '일반적으로 어렵다'는 응답이 높았던 점을 근거로 한국인의 특성은 '돈에 미친 나라'보다는 '행복에 무관심한 나라'라는 해석이나 '공동체적인 요인의 중요성이 낮은 나라'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

무엇보다 '물질적 풍요=돈'으로 분류된 응답들이 타당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집중되었다. 퓨리서치가 밝힌 주관식 응답의 코딩 분류 부록에는 '물질적 풍요, 안정, 삶의 질'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여있다. 물질적 가치와 삶의 질을 동일 범주로 묶을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 응답을 보면 '평범한 삶', '검소한 삶'처럼 탐욕과 상충하는 응답들이 '물질적 풍요'로 분류되었다. 특히 '주거 구조물로서의 물리적 집'과 가족, 친구, 애완동물 등이 함께하는 '따뜻함, 사랑, 소속감을 표현하는 삶의 의미·가치가 부여되는 공간으로서의 집'을 모두 물질적 풍요 범주로 묶은 것도 문제다. 한국에서는 가족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후자의 의미로서 '집'이라 답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략)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60510060005068

믿고 보는 정한울의 악명높은 퓨리서치 결과를 비판하는 기사.
(중략) 뒤에는 퓨리서치 설문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통계들도 소개됩니다.

사회과학도로서 이런 기사를 환영합니다.
자극적인 통계와 논문들이 필터링 없이 소개되는 현실에서,
이들을 제대로 비평하고 검증하려는 시도는 드문 게 현실입니다.

제목 보니 시리즈물로 낼 생각인가 본데,
한국인에 대한 오해라는 주제도 그렇고 대환영입니다.
여기에 시리즈의 모든 기사를 올려야겠군요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7615 정치서울아산병원 적자 511억 원, 정부 보존 17억 원 7 퓨질리어 24/04/04 852 0
37638 국제가자전쟁에 엔드게임 없어…휴전·종전 쉽지 않아 3 카르스 24/04/06 853 0
37994 방송/연예가수 윤민수, 결혼 18년만 파경…"엄마·아빠로 최선 다할 것" 3 Overthemind 24/05/21 855 0
38264 사회“한국 뼈아픈 교훈 얻길 바라”…6·25 당일에 ‘훈수’둔 중국 대사 10 하우두유두 24/06/25 855 0
37936 정치서울중앙지검장에 이창수…송경호, 부산고검장 발령(종합) 17 매뉴물있뉴 24/05/13 857 0
38106 국제“젠슨 황도 대만 독립분자?” 속앓이하는 中 4 먹이 24/06/05 857 0
37838 기타KTX·SRT, 세 자녀 이상 가족 요금 '반값'만 받는다(종합) 5 다군 24/04/30 858 1
37612 정치윤 대통령 "신생아 출산 특례대출 부부합산 소득 1억3천→2억" 9 swear 24/04/04 859 0
37639 경제'영풍제지 주가조작' 주범 도피 도운 운전기사 집유 2 Overthemind 24/04/06 859 0
37561 정치한동훈 “자영업자 육아휴직 제도 도입하겠다” 9 퓨질리어 24/04/01 860 0
37436 국제미국이 이스라엘 정권교체 가능성을 언급했다 1 Beer Inside 24/03/18 861 2
37809 사회 ‘불멍’하려다 화르륵...부산 용호동 LG메트로시티서 화재 2 Beer Inside 24/04/26 861 0
37938 정치이원석 검찰총장 사표 고심…내일 일정 모두 취소 5 매뉴물있뉴 24/05/13 861 0
37764 사회‘강아지들 구해야지’… 화염 속으로 뛰어든 60대 함께 숨져 1 swear 24/04/19 862 1
37943 사회애들 급식재료 빼돌려 중고거래…현직 교사의 찌질한 도둑질 7 swear 24/05/14 862 0
37552 정치"같은 고향인데 단디 챙겨주이소"‥사하구청장, 같은 당 후보 지지 호소 논란 9 매뉴물있뉴 24/03/31 863 0
37514 정치대통령실, 대파 한단 875원 논란에 "정부 물가 정책 반영 결과" 반박 10 알탈 24/03/26 865 0
38102 경제국민연금 "韓증시 이대로 가면 투자 않는게 적절" 10 swear 24/06/04 866 0
37340 방송/연예‘파묘’ 신드롬이 ‘오컬트 조상’도 깨웠다…한재림 감독, 소설 ‘퇴마록’ 영상化 11 swear 24/03/07 867 0
37813 방송/연예'픽미트립' 발리 무허가 촬영 적발…효연→윤보미 억류 4 the 24/04/26 867 0
37714 경제정부, 유류세 인하 조치 2개월 연장 2 the 24/04/15 868 0
37771 국제日 기상청, 끊임없는 독도 도발..서경덕 "강력 대응해야" 2 Overthemind 24/04/21 868 0
37611 정치이재명 "민주당이 나서겠다…尹, 의대 2천명 증원 집착 버려야" 7 매뉴물있뉴 24/04/04 869 1
37605 정치김백 YTN 사장, ‘쥴리 보도’ 방송 사과...“땡윤방송 충성맹세” 4 매뉴물있뉴 24/04/03 870 0
37862 정치대통령실 "채상병 특검법 받아들이면 직무유기돼…수사 기다려야" 11 과학상자 24/05/03 870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