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6/07 01:11:11
Name   카르스
Subject   한국인에 대한 오해-①가족보다 돈을 우선한다
최근 한국에서 가장 많이 회자된 조사를 꼽으라면 퓨리서치센터(PEW)가 2021년 전 세계 17개국을 대상으로 실시한 '무엇이 삶을 의미 있게 하는가?' 조사를 들 수 있다. 17개국 중 14개국에서 가족을 1순위로 꼽은 반면, 유일하게 한국인은 '물질적 행복'을 1순위로 꼽았다는 발표 결과는 충격적이었다. 국내 언론 대다수도 자세하게 소개했는데 2순위는 '건강', '가족'은 3순위에 그쳤다.

한국 사람들은 '가족'보다도 '돈'에 인생의 의미를 두고 사는 속물적인 별종인가? 퓨리서치는 엄격한 조사방법론과 전문성이 있는 기관으로 글로벌 조사 연구를 이끄는 공신력 있는 기관이다. 그래서 더더욱 영향력이 컸다. 해당 보도는 공신력 있는 기관의 조사 결과라도 적절한 조사 방법과 분석을 진행하지 못할 경우 편견과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다는 점에서 또 다른 차원의 '데이터 리터러시' 능력을 요구하는 사례였다. 당시 대다수 언론이 전파하는 확성기 역할을 했다. 일부 페이스북 등 SNS를 통해 데이터 분석 전문가이나 한국일보와 같은 일부 언론에서만 조사의 허점을 지적하며 자조적 해석에 대해 반박했다.(한국일보 '한국인만 물질적 풍요 중시? 조사 보고서 확인해보니…' 2021년 11월 22일)

이 조사를 해석하는 과정에서 주의해야 할 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표준화된 질문 및 구조화된 보기 중에서 응답을 선택해야만 하는 '폐쇄형 구조화된 질문 방식'(closed-ended question)과 응답자가 임의로 대답하는 '개방형 주관식 질문문항'(open-ended questions)의 차이에 주의해야 한다. 단적인 예가 서구 나라의 응답자들은 위의 질문에 대해 복수의 응답이 많은 반면, 한국 응답자들은 단일 응답 비중이 높았다. "한국에서는 '한 가지 응답'만 제시한 비율이 62%로 조사국 중 가장 높았다. 반면 스페인,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은 응답자의 76%가 '복수 응답'을 냈다"고 한다.

한국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응답 비교가 어려운 어느 범주에 속하지 않는 '일반적으로 좋다', '일반적으로 어렵다'는 응답이 높았던 점을 근거로 한국인의 특성은 '돈에 미친 나라'보다는 '행복에 무관심한 나라'라는 해석이나 '공동체적인 요인의 중요성이 낮은 나라'라고 해석해야 한다는 문제 제기도 있었다.

무엇보다 '물질적 풍요=돈'으로 분류된 응답들이 타당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집중되었다. 퓨리서치가 밝힌 주관식 응답의 코딩 분류 부록에는 '물질적 풍요, 안정, 삶의 질'이 하나의 카테고리로 묶여있다. 물질적 가치와 삶의 질을 동일 범주로 묶을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 응답을 보면 '평범한 삶', '검소한 삶'처럼 탐욕과 상충하는 응답들이 '물질적 풍요'로 분류되었다. 특히 '주거 구조물로서의 물리적 집'과 가족, 친구, 애완동물 등이 함께하는 '따뜻함, 사랑, 소속감을 표현하는 삶의 의미·가치가 부여되는 공간으로서의 집'을 모두 물질적 풍요 범주로 묶은 것도 문제다. 한국에서는 가족을 중시하는 사람들이 후자의 의미로서 '집'이라 답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략)

출처: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4060510060005068

믿고 보는 정한울의 악명높은 퓨리서치 결과를 비판하는 기사.
(중략) 뒤에는 퓨리서치 설문 결과가 재현되지 않는 통계들도 소개됩니다.

사회과학도로서 이런 기사를 환영합니다.
자극적인 통계와 논문들이 필터링 없이 소개되는 현실에서,
이들을 제대로 비평하고 검증하려는 시도는 드문 게 현실입니다.

제목 보니 시리즈물로 낼 생각인가 본데,
한국인에 대한 오해라는 주제도 그렇고 대환영입니다.
여기에 시리즈의 모든 기사를 올려야겠군요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8140 정치권익위, 김여사 명품 가방 수수 의혹에 "위반사항 없다"(종합2보) 11 다군 24/06/10 733 0
38139 사회'얼차려 사망' 중대장 과실치사·가혹행위 혐의 입건…출석요구(종합) 6 매뉴물있뉴 24/06/10 911 0
38137 경제"초저출산에 생산성 증가율도 0%대…한국 경제 2040년대 역성장" 18 다군 24/06/10 1433 0
38136 국제마크롱, 유럽 선거 참패에 전격 의회 해산…30일 조기총선(종합) 9 다군 24/06/10 1022 0
38135 정치與박대출 "전국민 25만원 줄 돈으로 동해 시추 130번 가능" 12 야얌 24/06/10 872 0
38133 방송/연예‘선재 업고 튀어’ 마지막화 방영날 티빙이 넷플릭스 제쳤다 4 Leeka 24/06/09 729 0
38132 방송/연예김계란, 교통사고로 머리·어깨 골절 "수술 예정..당분간 휴식" the 24/06/09 828 0
38131 국제"이스라엘, 이번엔 가자지구 북부 유엔 학교 폭격‥3명 사망" 1 야얌 24/06/08 696 0
38130 정치주무부처 고위직도 "대통령 발표 몰랐다"…TF팀 '급조' 논란까지 10 오호라 24/06/08 1055 0
38129 정치액트지오, 4년간 ‘법인 자격 박탈’ 상태였다 2 cummings 24/06/08 702 0
38128 사회1200억 대박은 저주가 됐다…통영 케이블카의 절규, 왜 15 맥주만땅 24/06/08 1685 0
38127 기타40주년 앞둔 IP 명가 가이낙스, 파산 3 swear 24/06/07 733 0
38126 사회이마트 죽전점, 8월 ‘스타필드 마켓’으로 리뉴얼 오픈 4 Leeka 24/06/07 854 0
38125 정치“대북송금, 사례금 맞다” 판결에 커지는 이재명 사법리스크 6 매뉴물있뉴 24/06/07 1035 1
38124 정치수술대 오른 종부세, 시나리오별 후폭풍 따져보니 4 Leeka 24/06/07 584 1
38123 스포츠'하극상 논란 재점화' 이강인, 2득점에도 입 꾹 닫았다... '인터뷰 패싱'[오!쎈 칼랑] 5 OneV 24/06/07 1026 0
38122 경제액트지오 고문 "탄화수소는 아직 확인 못했다" 22 the 24/06/07 1374 0
38121 사회한국인에 대한 오해-①가족보다 돈을 우선한다 6 카르스 24/06/07 962 5
38119 과학/기술국내 1호 소형모듈원전 내륙도시 대구에 추진된다 8 야얌 24/06/06 1028 0
38118 국제푸틴 "韓 우크라에 무기공급 안해 대단히 감사…관계회복 기대"(종합) 15 고기먹고싶다 24/06/06 1097 3
38117 정치윤 “평화는 힘으로 지키는 것…북 비열한 도발 좌시 안 해” 6 야얌 24/06/06 624 0
38116 정치호주 최대 석유개발회사, 영일만 ‘가망 없다’ 결론내렸다 12 매뉴물있뉴 24/06/06 920 0
38115 정치'월세 4억' 통보에 '떠날 결심'한 성심당?…특혜 지적에 "소상공인으로 시작한 저희들이 원하는 건" 들어보니 2 the 24/06/05 765 0
38114 사회교감 뺨 때린 초3, 1년 동안 강제전학만 세 번 10 Leeka 24/06/05 1114 0
38113 방송/연예타협 제안에 ‘묵묵부답’ 하이브, 재판기록 열람 제한 신청 2 Leeka 24/06/05 745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