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 17/07/11 18:49:30 |
Name | Zel |
Subject | 계층 사다리’는 끊어졌다… 서울 7개 의대 소득 최초 분석 |
http://naver.me/GDWLqDIQ 확실히 요즘 학생, 전공의들이 여유있다 싶었더니 이런 기사가 있군요. 마세라티 끄는 전공의도 있고 그래서 생각해보면 예전에도 서울 애들은 엄청 부자가 많았는데 절반도 안되어서 그러려니 하고 살았는데 말입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Zel님의 최근 게시물
|
http://www.hani.co.kr/arti/society/schooling/521674.html
제가 탐라에도 쓴 적이 있는데 애초에 인서울 대부분의 메이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중 40%이상이 소득 10분위라고 보는 게 타당할 듯 싶습니다. 이 자료도 국가장학금 신청 대상자로만 조사한 자료라 실제 비율은 더 높다고 추정 가능하죠. 굳이 의대 뿐만 아니라요.
제가 탐라에도 쓴 적이 있는데 애초에 인서울 대부분의 메이저 대학에 다니는 학생들중 40%이상이 소득 10분위라고 보는 게 타당할 듯 싶습니다. 이 자료도 국가장학금 신청 대상자로만 조사한 자료라 실제 비율은 더 높다고 추정 가능하죠. 굳이 의대 뿐만 아니라요.
소득 9분위가 실수령액 월 500에 중소도시에 30평대 아파트 하나 있으면 나옵니다. 사회 전체로 볼 때 잘사는 축에 들지만 부유층이라고 볼 수가 없죠. 저기서 좀 더 나은 직장이나 직업의 부모가 있으면 10분위로 갈 확률이 높고요. 의대생 부모 직업 조사하면 제일 많은게 의사 부모인데, 일단 얘네는 어지간하면 다 10분위에 걸린다고 봐야죠. 애초에 저 장학금의 소득분위 자체가 저소득층과 이외를 구분하는 것에 가까운지라, 저걸 기준으로 계층 사다리 운운하는건 좀 너무 나아갔다는 생각이 듭니다. 애초에 의사가 계층 업그레이드가 되는 직업인가도 의문이고요. 결론 자체는 직관적으로 동의합니다만.
물론 다르게 다가오겠죠. 그러나 이 기사에서 지적하는 부분은 대물림이라고 표현되는 계층고착화 현상, 그로 인한 헤게모니의 정체, 기득권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이야기인데 그런 걸 지적받을만큼의 안정성과 위치를 확보한 계층이 아니라는 겁니다. 말씀하신대로면 대한민국은 95%의 부유층과 5%의 기타로 나눠진다고 해도 논리적으로 무리가 없어요. 직관적으로 납득하기 어려울뿐. '서민'이라는 말이 남발되듯 '부유층'이라는 공격도 남발되는 경향이 있는데 적어도 이 기사에서는 그렇다고 봐요. 오히려 미국의 사례를 참조하면 저런 것은 중산층 고착화를 시사하는 것일 가능성이 높죠. 아둥바둥해서 좋은 대학 보내는 것은 중산층 이하의 꿈이고 그 위에서는 아예 다른 트랙을 타는 것. 그러니 같은 트랙에서는 상위 계층이 될 수 있겠지만, 현실적으로 이게 계층 고착화의 공격대상이 되기에 충분한지는 의문스럽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