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25/04/03 17:04:04 |
Name | ![]() |
Subject | "한국은 끝났다"…2,300만 유튜버의 '섬뜩한 경고' 이유는 |
https://v.daum.net/v/20250403154034421 미리보기를 지원하지 않는 사이트입니다. 웬 유튜버가 어그로를 끌었나 했는데, 그 유튜버가 kurzgesagt(쿠르츠게작트)라네요. 어. 그러면 인정이지... https://www.youtube.com/watch?v=Ufmu1WD2TSk SOUTH KOREA IS OVER 지금 출산율로 계속 가면 2060년쯤에는 망한다는건 한국인이 들어도 하나도 이상하지 않은 얘기 같습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토비님의 최근 게시물
|
내수 경제가 약화되면 해외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경제를 유지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실제로 많은 선진국들이 인구 감소에 직면하면서 이런 전략을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죠.
해외 투자, 수출 주도 산업 강화, 글로벌 기업 육성 등을 통해 국내 소비 감소를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여러 한계가 있어요.
첫째, 내수 경제는 고용과 사회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서비스업 같은 내수 의존적 산업들은 해외 수익으로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더 보기
해외 투자, 수출 주도 산업 강화, 글로벌 기업 육성 등을 통해 국내 소비 감소를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여러 한계가 있어요.
첫째, 내수 경제는 고용과 사회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서비스업 같은 내수 의존적 산업들은 해외 수익으로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더 보기
내수 경제가 약화되면 해외에서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으로 경제를 유지하는 것이 이론적으로는 가능합니다. 실제로 많은 선진국들이 인구 감소에 직면하면서 이런 전략을 부분적으로 채택하고 있죠.
해외 투자, 수출 주도 산업 강화, 글로벌 기업 육성 등을 통해 국내 소비 감소를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여러 한계가 있어요.
첫째, 내수 경제는 고용과 사회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서비스업 같은 내수 의존적 산업들은 해외 수익으로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해외 수익 창출도 보장할 수 없습니다.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잃을 수 있어요.
결국 인구 감소에 따른 내수 위축 문제는 해외 수익만으로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외 투자, 수출 주도 산업 강화, 글로벌 기업 육성 등을 통해 국내 소비 감소를 일부 상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여러 한계가 있어요.
첫째, 내수 경제는 고용과 사회 안정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서비스업 같은 내수 의존적 산업들은 해외 수익으로 완전히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둘째, 글로벌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지속적인 해외 수익 창출도 보장할 수 없습니다. 기술 혁신과 생산성 향상이 뒷받침되지 않으면 장기적으로 경쟁력을 잃을 수 있어요.
결국 인구 감소에 따른 내수 위축 문제는 해외 수익만으로 완전히 해결하기 어려운 구조적 도전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문화적 통합과 정착 유도가 필요하고 그러려면 한국인들도 살고 싶어하는 도시 지역, 콕집어서 수도권에 이민유입이 필요하다고 보는데 아파트값 때문에 안 될 것 같다고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렇습니다.
그것 뿐 아니라 여러가지 허들이 많을 것인데, 한국인들이 그걸 싫어한다는 점도 큰 장벽이죠.
원래도 후진국에 대해서는 좀 그랬지만, 점점 콧대가 높아지면서 외국인 혐오를 숨쉬듯이 하는 나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그것 뿐 아니라 여러가지 허들이 많을 것인데, 한국인들이 그걸 싫어한다는 점도 큰 장벽이죠.
원래도 후진국에 대해서는 좀 그랬지만, 점점 콧대가 높아지면서 외국인 혐오를 숨쉬듯이 하는 나라가 되어가고 있습니다.
동의합니다. 저도 '아파트가 비싸서'가 아니라(비싸지만), 혐오해서 아파트값 떨어지고 아파트값 떨어진다고 혐오해서 안 될 거라는 뜻이었습니다.
개구리 올챙이적 생각 못한다고...
휴전 국가에 수도가 국경 코앞에, 핵 까지 있는 적국을 둔 주제에 자기들이 난민이나 옛날 처참하던 때 생각을 못하니..
언제 우리가 자기들이 혐오하던 사람들이 될지 모르는판국에
휴전 국가에 수도가 국경 코앞에, 핵 까지 있는 적국을 둔 주제에 자기들이 난민이나 옛날 처참하던 때 생각을 못하니..
언제 우리가 자기들이 혐오하던 사람들이 될지 모르는판국에
화물열차는 들이닥치기 전에는 모른다는 비유 좋네요.. 지금은 멀리서 오는 소리만 들리니까 저게 무슨 소리인지 갑론을박이 펼쳐진다지만 열차는 정해진 트랙으로 달려가는중.. ㅋㅋ.. 국가적 역량을 집중할 시기인데 연금개혁조차 이정도 수준 ㅋㅋ
공감합니다. 그리고 지방 공동화 같은 다가올 뉴노말을 어떻게 하면 잘 대처해나갈지에 대한 토의와 컨센서스가 잘 이루어지면 좋겠습니다.. ㅋㅋ
쿠르츠게작트는 독일이 고향이기는 하지만 전 지구적인 이슈를 전부 다룹니다,,,, 멤바 중에 한국계도 계시는 걸로 알구요. 그래서 먼가 독일 채널이 한국한테 뭔 말을 하는.. 그런 느낌은 아닙니다.
한국이 출산율 절벽이 가장 극단적인 나라라 주제로 논의되었는데, 영상 마무리는 “다른 선진국들도 한국보다는 출산율이 높을지언정, 시간문제지 똑같은 선상에있다“라는 메세지를 전달하려했던것 같은데. 쿠르츠게자트 영상으로는 이례적으로 후반부 희망펀치가 거의 없다시피한게 눈에 띕니다
즐겨보다가 이번에 처음으로 홈페이지에 들어가봤는데 법인(gmbh)이고 직원수만 50명 이상에 한국계 일러스트레이터 이름도 두명이나 있군요. https://kurzgesagt.org/who-we-are 그래서 그런지 영상에 나오는 한글과 디자인에 어색함이 전혀 없습니다.
출산율에 드라마틱한 반전은 없을거라고 보면 현재 경제활동중인 세대가 은퇴하는 2060년에는 지금을 그리워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지금부터 출산율이 당장 2.0으로 급등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상황이라는군요.
출산율에 드라마틱한 반전은 없을거라고 보면 현재 경제활동중인 세대가 은퇴하는 2060년에는 지금을 그리워하게 될지도 모르겠네요. 지금부터 출산율이 당장 2.0으로 급등해도 크게 달라지지 않을 상황이라는군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