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11/19 07:57:06수정됨
Name   매뉴물있뉴
Subject   표퓰리즘이 만든 병사 월급 200만원…부사관·학사장교 “간부를 왜 해?”
표퓰리즘이 만든 병사 월급 200만원…부사관·학사장교 “간부를 왜 해?”
https://www.mk.co.kr/news/politics/11171720

13년도에 제가 전역할때쯤 부텀도,전 월급이 대충 백만원까지는 올려야한다고 봤습니다.

당시 군인들은 월급으로 자신의 '병영생활비'도 충분히 못벌었어요. 피엑스에서 뭐 이것저것 사먹다보면 적자였음. 그래서 부모에게 용돈 안받으면 휴가나갔다올 비용조차 없었음. 엄연히 '군인'인데 용돈 받아야하는 상태. 그러니까, 말하자면 부모없는 고아들도 갈수있는 군대를 만들어야 하는거 아니냐. 그리고 그정도 월급은 줘야 최소한 군생활하면서 담배라도 한갑 피우면서 군생활 할수 있는거고 휴가나가면 어디 모텔방이라도 잡아놓고 서울시내 관광이라도 다닐수 있으며 전역할때 500에 50받는 단칸방 월세라도 내면서 다시 사회에 복귀할수 있는거 아니겠나 하는 생각이었던것. 아니 진짜 당시 월급은 부족해도 너무 부족했어요. 월급이 충분하지 못해서 부모없는 사람들은 아무리 건강해도 군대 못갈 형편이었다능...

문재인이 17년도에 집권하면서 병사70만원 월급을 공약했고 퇴임할무렵에 맞춰놓고 물러났습니다. 그리고 거기까지가 한계였다고 생각해요 현실적으로. 이재명도 윤석열도 군대안갔다온 사람들이 뭘 안다고 200만원 공약을 제시했는데, 그 솔직히 좀 깎아야한다고 생각합니다. 사실 여러가지 제시해서 깎을수 있어요. 현재 무료로 지급되는 식사에 식비를 청구한다거나, 월세, 냉난방비, 피복비 등등... 소득세도 물리고 암튼 뭐라도 해야... 아니 집권 한지가 2년반이 지났는데 여태 아무것도 안하고 뭐하고 있는거냐



0


허윤진남편
강제노역인데???
-->
1
허락해주세요(허락해주세요)
머 엄밀하게 말해서 우리나라에서 "강제노역"으로 정의될 수 있는건 군대는 아니구요...공익근무요원이 강제노역입니다.
-->
매뉴물있뉴
사실 강제노역인지 아닌지는 제 논점이 아니긴 합니다.
어찌보면 '강제노역을 더 확대하려면 고아원 출신들도 징집해야지'에 가까울수도
-->
허윤진남편
강제로 끌고 가는것과 지원하는것의 임금은 강제로 자유를 뺏는쪽이 비용을 더 지불해야된다는 입장이라서요
-->
1
매뉴물있뉴
저는 반대로 생각합니다. '모두를 강제로 끌고 감으로써 부당함을 평등하게 분배할수 있으면 괜찮다'는 주의라서...
모두가 세금을 부담해서 그 세금으로 월급을 올려주는 식으로 충당할게 아니고
그냥 모두가 부당한 처우를 감내함으로써 해결하는 방식도... 괜찮지 않나......

또 이게 남자만 부당한 처우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남자만 처우를 개선해주면 오히려 남녀역차별문제도 생겨난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아예 이 병역 문제를 남녀 전체로 아예 확대해 버리고
물론 그 여성이 정말로 병역 전체를 감당하기엔 무리가 있으니
여성은... 더 보기
저는 반대로 생각합니다. '모두를 강제로 끌고 감으로써 부당함을 평등하게 분배할수 있으면 괜찮다'는 주의라서...
모두가 세금을 부담해서 그 세금으로 월급을 올려주는 식으로 충당할게 아니고
그냥 모두가 부당한 처우를 감내함으로써 해결하는 방식도... 괜찮지 않나......

또 이게 남자만 부당한 처우를 받는 것이기 때문에
남자만 처우를 개선해주면 오히려 남녀역차별문제도 생겨난다고 봅니다.
그러니까 아예 이 병역 문제를 남녀 전체로 아예 확대해 버리고
물론 그 여성이 정말로 병역 전체를 감당하기엔 무리가 있으니
여성은 디폴트를 공익근무요원으로 돌려버리는 식으로 이 불공정한 게임에 모두를 편입시키는게 우선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러고나서 병역에 복무하는 사람들의 처우를 전부 개선해 주면 그때부터는 남녀역차별 문제도 사라지고
그냥 청년들의 신체만 건강하고 양호하다면 사회진입축하뽀너스 개념으로 지급되는 꽁돈처럼 인식될수도 있을것 같고... 머 그렇읍니다.
-->
1
허윤진남편
이미 한성별만 끌려가고 간부로 가는 사람들은 취업으로 가서 강제로 끌려와서 부려먹는데서 모두가 평등하게 부당함을 분담하는게 아니죠. 강제로 끌려가서 아파도 간부가 굴려서 손목 장애자로 제대해서 그런가 남자만 처우 개선이라는것도 더 이해 안갑니다. 아니 내가 2백씩 줄테니 사람취급안하고 강제로 끌고가서 사병처럼 부림 당하라고 하시면 그 2백 많다고 할겁니까? 여자 역차별은 정말 이해가 안가네요. 요양원이나 복지시설에서 24시간 숙식하면서 2년간 노예처럼 일하면 월 2백씩준다하면 와~ 그런 복지가 있나?? 개이득 아니냐? 할 사람이있을까요?
-->
2
레티AI
'병신'이라는 단어의 사용은 장애인을 비하하는 표현으로 해석되어 불필요한 스트레스와 분쟁이 유발됩니다.
해당 단어의 사용을 피해주십시오.

홍차넷에는 정체성 공격과 관련한 규정이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https://redtea.kr/?b=8&n=51
-->
허윤진남편
나보고 한소린데...진짜 손목 나가리 난거 맞는데...ㅜㅜ
-->
1
허락해주세요(허락해주세요)
제 보기에 이건 포퓰리즘 문제도 있겠으나 대한민국 공공서비스 분야 전체가 심각하게 마주하는 인력수급 문제의 일환이기도 한 것 같아요.

지금 군대만 이런게 아니라 공공서비스 전반적으로 인력수급이 문제가 안 되는 곳이 거의 없습니다. 당장 저희 기관만 해도 인력수급 때문에 미치고 팔딱 뛸 노릇이에요.
-->
8
노바로마
사실 역설적인 이야기인 면도 있죠. 한쪽에서는 구직난을 호소하는데 공공서비스에서는 구인난을 호소하고 있고요.
게다가 공공부문은 사실 대표적인 사례인 중소기업 등에 비해 선호도가 낮은 곳은 아니기도 하고.....
취업 매칭 시스템이 약간 오류가 있는거 아닌가 싶기도 하고요..
-->
부사관과 장교 초봉을 올려야지 병사 월급갖고 문제삼는건 좀 아닌거같습니다.
-->
10
Overthemind
내년도 국방예산이 61조가 넘어가는데 병사 월급 200 준다고 문제가 된다구요..? 간부 월급을 못올려줄 정도로 문제가 될 예산관리인가요?
-->
1
Overthemind
근데 이런 논쟁이 나오는것도 훈련병때 19800원, 전역할즈음에 8만원쯤 받았던 입장에서 보면 놀라운 변화이긴 합니다. 그 당시에는 월급 액수에 감히 말을 얹을 수도 없었는데 말이지요.
-->
노바로마
물론 어느정도 포퓰리즘이 있던건 맞지만, 그걸 감안해도 병사 급여 인상이 잘못된 방향이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간부와의 균형 문제는 사실 직업군인들에게 메리트를 줄 정도로 급여, 복지, 환경 등을 개선해주는 방향에서 접근해야죠.
-->
1
타키투스
강제로 끌고가놓고는 이런저런 이유로 월급을 적게 주는게 노동 착취랑 무슨 차이가 있나요?
나라가 전쟁으로 망하기 직전이 아니고서야 징병은 노동 착취를 정당화할 명분이 못 됩니다.
국가를 유지하기 위한 어쩔 수 없는 선택이라고 주장할 수도 있겠지만... 글쎄요.
현 세대 입장에서 지금의 대한민국이 자신의 청춘을 바쳐서라도 지킬 만한 가치가 있을까요?
-->
1
부사관과 장교의 월급은 사병하고만 경쟁하는게 아니죠.
배달업에 종사하는 분들과도 경쟁해야 합니다.
사병 월급보다 외부적인 요인이 더 부사관 및 장교 지원을 꺼리게 할겁니다.

[봉급도 라이더보다 낮은데
자유도도 없고
그지같은 상사한테 24시간 굽신거려야 하고
가끔 훈련도 나가고
그런데도 장기가 될 가능성이 희박해?]


부사관이나 장교의 직업 자체를 매력적으로 만들게 할 요인을 만들어야죠.
-->
9
매뉴물있뉴
저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부분은 부사관 / 장교의 장기복무 지원율과 관련이 있는 말씀이라고 생각하고
사병 월급 상승으로 인한 초급간부 수급 문제는 사병과의 경쟁문제가 맞다고 생각합니다.
부사관으로 가면 사병이 받는 것보다 더 많은 월급을 받을수 있다는 메리트를 없애버리면
사병 복무기간은 점점 줄어들고 있는데 부사관의 복무기간은 그대로인 부작용만 남는것이 원인이라고 생각하거든요..
-->
물냉과비냉사이수정됨
군 간부 월급 올리려면 그에 상응해서 모든 공공부문 근로자 임금이 다 올라야 할텐데 사람에 돈쓰는걸 싫어하는 갓한민국에서 가능할런지.
-->
1
오레오
포퓰리즘 맞죠
박근혜 이명박이 안올렸다고 1년에 2배씩 올리는게 정당화 됩니까
-->
과학상자
최저임금보다 더 준다고 해도 강제복무라는 속성 때문에 불만이 나올텐데
속도조절은 필요하겠지만, 군인들 처우 개선을 되돌리자는 건 좀 아닌 것 같습니다.
예전에는 신성한 국방의 의무에 토를 달지 못했지만, 이젠 그 신성함이 사라졌거든요.
-->
5
저도 동의합니다.
솔직히 이거 저거 다 따지고 했으면 절대 못 올렸다고 봐요.
되려 사병 월급이 포퓰리즘이라도 욕먹더라도 선제적으로 올렸으니,
다른 곳이 따라 올라가는게 좋은 그림이죠.

근데 돈이 없.. ㅠㅠ
-->
매뉴물있뉴
저는 이게 좀 과한 보상이라고 생각하고,
병장 월급 200만원 받고 사회로 복귀(전역)한 남성들이 늘어나기 시작하면
그때부터는 남녀역차별 얘기도 나오면서 제 말이 맞았다는걸 시간이 증명해줄꺼다(...........)라고 생각하고 있읍니다;
이게 그 물론 병역을 가는 사람중에는 의대나온 사람도 있고 법대 나온사람도 있습니다만
동시에 사회 낙오자 / 폐급 자원들도 있을꺼라서
기준을 거기에 맞춰야 한다고 생각하거든요.
또 강제노역인만큼 생산성도 사회에 비해 높지 않고해서... 최저임금은 과하다고 보기도 하고... 머 아모튼 그렇읍니다;
-->
1
가뜩이나 군대 때문에 남성의 사회 진출이 늦어지고 결혼 연령도 높아지는데 군 월급 현실화의 단점이 장점보다 크진 않다고 봅니다.
그리고 의대법대 나온 병사나 고졸 및 기타 저학력자인 병사나 같은 특기면 거기서 거기인데 왜 기준을 후자에 맞추어 급여를 깎아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1
매뉴물있뉴
이미 '나는 아랫줄에 속하는 사람이니 난 군대 두번가는게 이득이다'라는 판단을 하고 실제로 입대를 두번 한 사람이 등장했습니다.
앞으로도 계속 나올꺼라고 생각하고, 자연스럽게 그 방향이 기준이 되지 않을까 하고 저는 생각했습니다. 물론 다르게 생각하실수도 있습니다만..
-->
그런 사람들은 부사관 지원하게 제도적으로 받쳐주면 되는 겁니다.
군대 임금이 부족해야 군대 대신가는 범죄가 안 일어난다는건 군대가 형벌임을 인정하는거나 마찬가지죠.
-->
2
초밥은연어
우리나라 출산율이 박살 난 이유 중 하나가 남자만 군대로 가서 시간을 날린다라서 강제된 선택지입니다

1.0 언더 찍는 나라 보면 남자만 가는 징병제인 경우가 꽤 있습니다
-->
출산율 박살은 미국 제외한 선진국의 공통 문제이고 과거 개발도상국 시절 한국의 높은 출산율을 설명해줄 수 없죠.
-->
초밥은연어
1.0대 혹은 언더 찍은 극단적인 케이스를 말한 것입니다.

세계적인 추세가 우하향은 맞아도 아웃라이어에는 이유가 있겠지요.
-->
출산율이 갑자기 급격하게 꺾인건 아닙니다.
그 옛날 군사정권에서 직접 인구 줄이려고 한둘만 낳아 잘 기르자며 출산율 꺾을 때 부터 이미 가파르게 떨어지기 시작했습니다.
-->
같이 보면 좋은 그래프가 있습니다.
http://news.karts.ac.kr/?p=11419
70년대부터 한국 출산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해왔고 중간에 멈춘적이 없습니다.
과거의 감소 요인과 현재의 감소 요인이 다를 수는 있겠지만 그것이 남성 징병일 수는 없죠.
저도 남성이고 여성이 기초 군사훈련 + 공익근무배치 정도는 해야 한다고 보는 입장이지만 출산율과 징병제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 같습니다.
-->
초밥은연어
70년대랑 엮는건 단편적인 숫자 해석이고요

여성의 사회진출과 남성만 병역이행의 콜라보로 가속화 된것이라고 봐야죠

우리나라랑 비슷한 성향이 비슷한 일본만 해도 지금 우리나라보다 출산율이 훨씬 높습니다
-->
가속화됬다고 하려면 감소속도가 점점 가파르게 올라갔어야죠.
여성의 사회진출로 여성 결혼 연령이 상승할 순 있지만 남성의 결혼 연령이 상승하는 것은 설명할 수 없고요.
병역 의무 기간이 점점 줄어들었는데 왜 출산율 감소가 가속화된다고 분석되는 걸까요. 말씀하신대로라면 남성 결혼 연령은 어려져야 하는 것 아닌가요.
-->
초밥은연어
지금 0.6~0.7인데 0.3정도로 더 내려갔어야 했다는 말인지요?

병역 기간이 길 때는 여성의 사회진출 지금 정도는 아니었고, 군대 공백기 만큼 남자에게 경제적인 요구치가 증가됩니다.
-->
초밥은연어 님// 여성의 사회진출이 적고 남성의 병역기간이 길면 남성이 결혼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금액이 크죠.
반대로 여성의 사회진출이 많고 남성 병역기간이 짧으면 남성이 결혼을 위해 준비해야 하는 금액이 줄어듭니다.
결국 출산율 감소와 남성만 징병하는 현실은 연결되기 어렵다는 뜻이죠.
-->
오호라
https://m.khan.co.kr/article/202112242005025

이재명의 200만원 공약(2027년까지)은 징집병을 15만명으로 줄이고
대신 군무원 5만명, 전투부사관 5만명을 증원하는 형식입니다.
-->
1
괄하이드(괄하이드)
그사이에 사회의 최저임금이 많이 오른것도 감안은 해야됩니다. 말씀하신 13년 기준 최저시급은 4,860원이었고, 월급 환산하면 1,015,740원이었습니다. 사회에서 일해봤자 한달에 100만원밖에 못벌던 시절이었죠. 현재(2025년) 최저시급은 10,030원이고, 월급 환산하면 2,096,270원이 됩니다. 아무 편의점에서 야간/주말근무 없이 주간에만 일해도 210만원은 벌수 있는 시대라는것입니다.

저는 월급 7만원 받고 개같이 일했던 작전병 출신이지만, 징집병 200만원 월급이 과해서 줄여야한다고 주장하기는 좀 어렵다고 봅니다. 다만 애초에 마스터플랜을 가지고 군 초급간부 급여를 함께 올리도록 예산에 같이 반영해서 진행했어야 되는 일이라고 생각합니다.
-->
cheerful
식비, 생활비 등등 아무것도 공제하지 않고 그대로 받을 수 있는게 크죠. (간부는 근로소득세, 건보료, 연금에다 식비 까지. 거기다 시간외 근무수당은 쥐꼬리 만큼...)

병역 의무라는 특수성도 있지만. 사실상 어떠한 결정에 책임을 지지도 않는 대상과 직접 비교가 가능할 만큼 갭이 커졌으면. 문제가 안 생길 수가 없는 것 같습니다.
-->
초밥은연어
그냥 군인만 초과근무수당 상한선 해제하면 됩니다
물론 돈 문제죠 최소 국방비 n배 늘겁니다

극심한 인력난인 해군이 해경발사대 된 것도 수당 때문입니다
-->
백만명한테 월 백만원씩 줘도 12조인데 현 국방비가 43조입니다. 초과근무수당 현실화 하든 간부 임금 현실화 하든 국방비 n배 될 정도는 아닙니다.
-->
당위적으론 여성 취업하면 n년간 소득 n%씩 떼가면 해결되지 않나요? 현실성은 없지만
어차피 전광판 안볼거라니까 지가 망쳐놓은건 정상화 하고 가려는 노력을 해야죠...병역도 손보고 담배값 소주값 다 정상화
-->
그럴 위인이었으면 영부인 방탄 거부권 행사를 안했을듯...
-->
1
노바로마
통칭 국방세를 매기자는 주장인데, 저는 그럴바에는 군필자들 세액 공제를 해주는게 훨씬 더 낫다고 생각합니다. 애초부터 세금이 국방을 포함한 각종 국가 서비스를 제공받으려고 내는 돈이잖아요. 근데 국방 파트만 따로 떼서 여성들에(+미필자)게 따로 국방세를 매기자는 주장 자체가 당위성이 약해요. 차라리 당위성론으로 보면 군필자들에게 세액을 일정액 공제를 해주면서 병역의무를 수행한 만큼, 납세의무에서 대신 일정한 혜택을 준다는 식으로 하는게 낫죠. 이게 군필자들 에게도 실익이 있는거고요.
-->
1
호에로펜
왜 강제로 징집당해야 하는 엄한 병사들 월급 깎아야 한다는 소리가 나오는지 모르겠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자기일 아니라고 하는 소리구나 하는 생각도 드네요 다른 사람한테서 자기 직장 월급 깎자는 소리 들으면 무슨 생각이 들까요

작성자님이 현재 징집 앞둔 20대 초라면 나름 들어줄수 있겠는데 아니겠죠?
-->
매뉴물있뉴
징병제 국가에서 그렇게 높은 월급을 주는 나라가 많지 않습니다...
싱가포르 50만원
대만 30만원
이스라엘 50만원
(그리고 저 전역한지 한참되었고, 전역한 연도가 이미 본문에 적혀있읍니다)
-->
그러니까 이제 자기일 아니라고, 자기 월급 깎는 건 아니라는 거죠.

그러니까 남의 월급 깎자는 얘길 이리 쉽게 할 수 있는겁니다.

비교적 점잖은 홍차넷 에서도 이렇게 댓글 반응이 안 좋은데, 다른 곳에서 이런 소리 하면 욕 안 들으면 다행인거 같아요.

이런 건 먼저 제안하는 사람이 솔선수범을 보여주면서 말했으면 좋겠어요.
-->
cruithne
강제 징집당해서 24시간 굴려지는데 최저임금도 안주면 그건 그냥 노예죠.
간부 처우를 높일 생각을 해야지 징집당하는 병사들 급여를 건드리는 건 아닙니다. 야간근무에 훈련에 시급으로 따지면 200 받아도 최저임금에도 못 미칠텐데
-->
5
감정소모적 논쟁이 지속되어 댓글잠금합니다.
-->
적은 비용으로 군 조직 유지하는 측면에서는 병 급여 누르는게 맞는 선택이었긴합니다만, 이제 올려놨으니 돌이킬 수 없습니다.
-->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08 사회한강 영문, 'Han River' 아니다... 서울시가 당부한 정확한 표기는 13 swear 24/11/19 1961 0
1485 국제한 지붕 아래 모인 중국·말레이·인도… 황홀한 맛의 용광로 1 메리메리 25/03/01 728 1
1614 사회학생 80%가 사교육 받고 月60만원 써…빨라지는 저출생 시계 메리메리 25/03/15 929 2
630 정치하윤수 부산교육감, 대법원서 벌금 700만원 확정 …당선 무효 2 Overthemind 24/12/13 1490 0
238 의료/건강하루에 ‘46분’ 더 잤더니… 정말 놀라운 일 벌어졌다 18 체리 24/11/07 2427 0
1259 사회하긴 해야하는데···‘영구임대 재건축’ 엄두 못내는 이유 8 구밀복검 25/02/09 1322 2
1288 사회피살 초등생 父 “하늘이는 별이 됐습니다…아무 죄도 없는 애를”[전문] 10 Cascade 25/02/11 1094 0
1156 스포츠프로야구 SSG, '프랜차이즈 스타' 박정권 2군 감독에 선임 3 맥주만땅 25/01/27 1072 0
1770 스포츠프로 골퍼들의 요술 방망이가 된 제로 토크 퍼터 [임정우의 스리 퍼트] 3 메리메리 25/03/31 653 0
613 국제프랑스 하원, 정부 불신임안 가결…정부 붕괴 62년만 9 Overthemind 24/12/12 1654 0
1752 국제푸틴, 유엔에 우크라 임시정부 수립 제안…대선 압박 3 메리메리 25/03/29 895 0
1656 국제푸틴 '무늬만 휴전' 내주고 진짜는 숨겼다...트럼프의 딜레마 6 swear 25/03/20 750 1
302 댓글잠금 정치표퓰리즘이 만든 병사 월급 200만원…부사관·학사장교 “간부를 왜 해?” 48 매뉴물있뉴 24/11/19 2477 0
1510 문화/예술폰트디자이너 위예진, `모리사와 타입디자인 공모전` 한글부문 금상 받아 5 메리메리 25/03/04 957 2
1522 사회폭탄 투하에 '쾅'…포천 민가 공군 전투기 오폭 순간 포착 10 Cascade 25/03/06 1013 0
24 기타폭염·폭우 지나도 ‘가을’은 없다…25일부터 고온다습 14 swear 24/09/22 2674 0
1597 국제폭스바겐, 방산 진출 검토…유럽서 수주 경쟁 우려커진 韓기업 8 메리메리 25/03/13 715 1
1644 기타폭설에 발 묶인 '해발 800m' 강원대 도계 캠퍼스 학생·교직원 5 다군 25/03/18 811 0
947 정치포스트 계엄 세대의 탄생 카르스 25/01/07 1167 7
1099 정치포고령에 발 빼는 윤 대통령‥"집행할 뜻 없었다" 9 야얌 25/01/22 1131 0
1622 의료/건강폐암신약 획기적 성과 공개한 中제약사 1 메리메리 25/03/17 858 0
834 사회평택 상가건물서 폭발 사고로 화재…"3명 부상" 2 OneV 24/12/29 1505 0
143 기타패딩 꺼내세요…비 온 뒤 "서울 최저 9도", 급격히 기온 뚝 3 Groot 24/10/17 2178 0
1593 국제파키스탄 열차납치 인질극 종료…"300명 구출·반군 33명 사살"(종합) 3 다군 25/03/13 837 0
1536 국제파리 근교서 2차대전 불발탄…유로스타 등 열차 중단 다군 25/03/07 592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