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12/21 21:44:05
Name   구밀복검
Subject   1기 신도시의 미래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1220/130692980/2

지난달 분당과 일산 등 1기 신도시 5곳에서 가장 먼저 재건축에 돌입할 ‘선도지구’가 선정됐다... 1991년 입주를 시작한 1기 신도시가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바뀌는 재건축 사업의 첫발을 뗀 것이다. 정부 목표대로 2030년 입주가 시작되면 1기 신도시 조성 이후 39년 만에 ‘시즌2’가 열리게 된다.

..1기 신도시를 추진한 배경은 집값 급등이었다. 1980년대 말은 국내 부동산 역사에서 ‘2차 급등기’로 불릴 만큼 시장이 과열됐다. 1986∼1988년 3저 호황(저달러·저유가·저금리)이 이어지면서 경제성장률은 연평균 10.8%에 달했다. 풍부한 유동성은 부동산 가격을 밀어올렸다. 전국 집값 상승률은 1988년 13.2%, 1989년 14.6%, 1990년 21.0%에 달했다... 투기꾼들도 판을 쳤다. 1977년 3월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목화아파트 분양 경쟁률은 당시 최고치인 45 대 1이었다. 뒤이어 분양한 여의도 화랑아파트 경쟁률은 70 대 1까지 치솟았다. 그런데 해당 아파트 당첨자 중 3분의 1이 무자격자로 드러났다. 문희갑 당시 청와대 경제수석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당시로서는 (집값 문제가) 체제 붕괴 위협으로 인식될 정도였다. 이 때문에 주택 200만 채 건설을 추진하기로 하고 신도시를 물색한 것”이라고 했다.

1988년 대통령에 취임한 노 전 대통령은 이듬해 주택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곧바로 200만 채 건설에 나섰다... 엄청난 속도전이었다... 1989년 4월 신도시 건설을 발표한 후 7개월 만인 11월 분당 시범단지(4030채)가 분양에 나섰다. 첫 입주는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1991년 9월 시작됐다. 이어 1992년 3월 평촌, 4월 산본, 8월 일산, 1993년 2월 중동에서 차례대로 입주 대열이 이어졌다... 1기 신도시는 집값 안정에도 도움이 됐다. 1기 신도시 입주가 시작된 1991년 서울 집값은 1986년 이후 처음으로 하락(―0.5%)했다. 1992년 ―5.0%, 1993년 ―2.9%, 1994년 ―0.1%, 1995년 ―0.2% 등 집값 하락세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 전까지 이어졌다

...1기 신도시는 쾌적한 주거 환경으로 2000년대 전성기를 맞았다... 하지만 1기 신도시는 자급자족력을 갖추지 못한 한계가 뚜렷했다. 입주 당시부터 신규 일자리를 창출하지 못하고 베드타운이 될 것이라는 지적이 많았다... 일자리를 만들지 못하는 신도시다 보니 서울 의존도가 높을 수밖에 없다. 해당 지역 거주민 가운데 신도시 외 서울·경기 출근 비율이 분당(52.4%)과 일산(56.1%)은 절반이 넘는다. 평촌(60.4%)과 산본(69.4%)은 더 높다. 게다가 ‘선입주 후교통’ 정책으로 아직도 대중교통 수용 능력이 부족해 승용차 중심 교통 패턴이 굳어졌다... 그나마 분당은 주요 공기업 본사가 들어서며 한계를 어느 정도 극복할 수 있었다. 인근에 2기 신도시인 성남 판교까지 들어섰다.

정부는 ‘얼죽신’(얼어죽어도 신축 선호) 시대에 고밀 개발을 통해 신규 주택을 대규모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산적한 과제가 많다. 업계에서는 최근 공사비 급등으로 인해 가구당 분담금이 수억 원씩 나올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대규모 이주도 리스크 중 하나다. 정부는 19일 분당·평촌·산본 3곳에 대해 해당 지역 및 인근에 이주용 주택 7700채를 짓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문제는 기준금리 인하 지연, 고환율 등으로 공사비 상승세가 멈추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정부가 계산해 놓은 주택 공급 속도가 현실과의 괴리가 클 수 있다는 얘기다. 예상보다 공급이 느린 상황에서 이주 수요가 한 번에 몰리면 특정 지역 전월세 가격이 급등할 가능성도 있다... 이런 고난들을 뚫어내고 새 단장을 마칠 1기 신도시는 과연 어떤 모습일까. 신도시뿐만 아니라 수도권 전체 부동산 시장의 미래가 이번 ‘메가 프로젝트’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수도권의 라스트 댄스 vs 응 라스트 댄스가 바로 1991 노태우 메타였어
6공화국은 다시 태어날 수 있을까요
거듭 나면 가는 나라 재건축 나라
믿음으로 가는 나라 신도시 나라



2


cheerful
일산에서 고등학교를 보냈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그동네 재건축 한다고 뭐가 달라질까요... 어차피 베드타운인데
같이 고등학교 다니던 친구들 중에 지금도 일산에 남아있는 애들이 거의 없습니다 ㅎㅎㅎ
서울 살았던 입장에서
주변 친구들은 대부분 경인지역으로 각자 흩어졌는데
일산 사시는 분들은 어디로 흩어지셨나요?

막상 서울에서 나와 보니 여러모로 서울 재입성은 쉽지 않던데 말이죠 ㅠ
저도 일산 출신인데, 아직 연락하는 중학교 동창 저 포함 4명 중 1명만 아직 일산에 살고, 둘은 서울, 하나는 검단으로 갔네요.
개인적으로 서울은 그렇게 살고 싶은 도시는 아니라... 일산에 돌아가고 싶은데 일자리도 없고 도시 노후화와 인구의 고령화 때문에 미래가 걱정되네요...
2
cheerful
1기 신도시 때 분양 받고 입주하셨던 세대들이 벌써 칠순 잔치를 하고 있으니 말이죠....
cheerful
삼성 취업하고 아산에 있는 친구, 지방 의전가서 결혼하고 대구에 있는 친구, 그리고 서울 나와있는 애들 등등 있는데
일산에 남아 있는 친구들은 없더라고요 ㅎ
고기먹고싶다
서울에 직장이 있는데 서울에서 집못사면 일산 파주 김포에서 사는거죠 뭐
2
꿀래디에이터
서울(서부)에..

강남 일산 출퇴근 며칠 했는데 죽을 뻔 했습니다
FTHR컨설팅
모두다 배드타운인건 맞는데 평촌은 동탄 수원쪽에 일자리가 많아졌고
분당은 판교일자리가 생기면서 새로운 블록을 형성했지만
일산은 조금 부족하지 않았나 싶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701 경제정의선 “美에 31조원 투자”...트럼프 “현대차, 관세 없다” 16 swear 25/03/25 913 2
1707 사회30대 가장 싱크홀 비극…"주7일 일" 배달 부업 뛰다 참변 7 the 25/03/25 847 2
176 사회기부하거나, 페라리 뽑거나, 위자료 주거나... 노벨상 상금을 쓰는 법 3 맥주만땅 24/10/27 1934 2
1202 외신[AP통신]트럼프, 가자 재건 지원을 위한 미군 배치 배제 안해, 미국이 '장기적으로' 소유할 것으로 전망 5 the hive 25/02/05 1129 2
1714 방송/연예최불암, 14년 지킨 KBS '한국인의 밥상' 하차…후임은 최수종 13 swear 25/03/26 776 2
952 정치윤석열 지지율이 올라?…유시민 "자기들끼리 마약 나눠먹는 것" 6 the hive 25/01/08 1418 2
189 문화/예술‘폐기 선고’ 책 45만권 ‘구출 작전’…결국 27만권은 과자상자가 됐다 3 그런데 24/10/30 1739 2
1214 국제트럼프, 트랜스젠더 선수 여성 스포츠 출전 금지 12 Leeka 25/02/06 1118 2
703 정치NBS 여론조사 결과 모음 13 삼유인생(삼유인생) 24/12/19 1623 2
1727 경제명일동 싱크홀도 위험지역이었다…"다른 곳 공개 못해" 서울시 속사정 16 매뉴물있뉴 25/03/27 1227 2
1729 사회서울시에 '싱크홀 경고'했던 공사 관계자 "이번 사고는 인재" 5 cheerful 25/03/27 1120 2
1732 사회"국가재난에 무대책·무전략"…산불 대응 예산만 투입 효과 거꾸로 2 다군 25/03/27 1021 2
453 정치윤석열 대통령 “계엄령, 난 잘못 없다” 6 오호라 24/12/05 1520 2
973 정치경찰, '2차 영장 집행'에 수도권 형사들 총동원령 6 활활태워라 25/01/09 1380 2
1229 의료/건강변화된 응급실 문화… 설 연휴 의료 대란 막아 9 구밀복검 25/02/07 1505 2
974 사회청년 마음까지 데우는 '3000원 김치찌개' 2 메리메리 25/01/10 1452 2
1743 사회"사람 맞냐, 천벌 받아"…산불 피해견 먹을 사료 훔쳐가 7 swear 25/03/28 706 2
467 정치"대북 작전으로 알고 나섰는데... 내려보니 국회였다" 10 매뉴물있뉴 24/12/06 1593 2
468 정치美 "韓 민주적 시스템 승리 기대…한미동맹은 특정대통령 초월" 14 swear 24/12/06 1528 2
1754 정치권성동 "'내각총탄핵' 이재명·김어준·민주 초선 등 72명, 내란 음모·선동죄 고발" 11 과학상자 25/03/30 1088 2
987 정치이준석, 허은아 겨냥해 간접 비판…“좋게 끝낼 기회” 8 danielbard 25/01/11 1667 2
1248 사회'천당 아래 분당' 불렸는데…"초등 1학년 교실에 5명 뿐" 쇼크 33 구밀복검 25/02/08 2047 2
993 경제차도 옷도 안산다"..소매판매액 21년 만 '최악' 6 활활태워라 25/01/13 1791 2
1507 의료/건강봄 활력 북돋아야 할 때… 3월이 제철인 ‘이 음식들’ 추천 3 메리메리 25/03/04 714 2
1510 문화/예술폰트디자이너 위예진, `모리사와 타입디자인 공모전` 한글부문 금상 받아 5 메리메리 25/03/04 954 2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