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8/29 18:47:51 |
Name | [익명] |
Subject | ISA 관련 질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직장생활한지 이제 1년정도 되었습니다. 세후 250정도 들어오고 카드값으로 백만원 정도 사용합니다. 원래는 그냥 증권사 해외계좌 열어서 주식만 하고있었는데 (미국주식포함) isa계좌 혜택이 좋아졌다고 해서 얼마전 미래에셋대우에서 isa 신탁형으로 만들었습니다.. 만, 생각보다 거래할 수 있는 종목이 많지 않아서 다른분들은 어떻게 isa 운용하시는지 궁금하네요. 베트남 + 골드 관련 +채권 관련 etf 사둬서 운용하려고 하는데,,, 어짜피 소액이라ㅠ 그냥 해지하고 자유도가 더 높은 일반계좌로 그냥하는게 나을지요? *매달 50만원정도 isa 계좌에 넣으려 생각중입니다. (연 600) 0
|
저도 초보이고 제가 isa계좌를 사용하지않아서 정확하게는 모르겠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다만, 사회초년생의 경우 결혼, 집구매 등으로 5년내 자금 조달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부분이 걱정됩니다. 요즘은 의무기간이 3년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사람일 모르잖아요.
그럼에도 월 50을 한계좌로 파는건 과도해보입니다
절세혜택도 일년 한도가 200-400로 알고있어서, 혜택을 최대한 보더라도 20-30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어제 대충 블로그 찾아본거는 isa 계좌가 좋아는 졌으나, 사용하기에는 글쎄..? 정도라고 알고있... 더 보기
다만, 사회초년생의 경우 결혼, 집구매 등으로 5년내 자금 조달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부분이 걱정됩니다. 요즘은 의무기간이 3년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사람일 모르잖아요.
그럼에도 월 50을 한계좌로 파는건 과도해보입니다
절세혜택도 일년 한도가 200-400로 알고있어서, 혜택을 최대한 보더라도 20-30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어제 대충 블로그 찾아본거는 isa 계좌가 좋아는 졌으나, 사용하기에는 글쎄..? 정도라고 알고있... 더 보기
저도 초보이고 제가 isa계좌를 사용하지않아서 정확하게는 모르겠다는 점을 먼저 말씀드립니다
다만, 사회초년생의 경우 결혼, 집구매 등으로 5년내 자금 조달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부분이 걱정됩니다. 요즘은 의무기간이 3년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사람일 모르잖아요.
그럼에도 월 50을 한계좌로 파는건 과도해보입니다
절세혜택도 일년 한도가 200-400로 알고있어서, 혜택을 최대한 보더라도 20-30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어제 대충 블로그 찾아본거는 isa 계좌가 좋아는 졌으나, 사용하기에는 글쎄..? 정도라고 알고있습니다. 원하는 만큼의 절세혜택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주제넘은 답변이지만, 베트남에 주식쪽 자산군을 올인 하시는 이유가 있으신지요? 되도록 자산군을 다양화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다만, 사회초년생의 경우 결혼, 집구매 등으로 5년내 자금 조달이 필요하기때문에 그부분이 걱정됩니다. 요즘은 의무기간이 3년으로 알고있습니다만, 사람일 모르잖아요.
그럼에도 월 50을 한계좌로 파는건 과도해보입니다
절세혜택도 일년 한도가 200-400로 알고있어서, 혜택을 최대한 보더라도 20-30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저도 어제 대충 블로그 찾아본거는 isa 계좌가 좋아는 졌으나, 사용하기에는 글쎄..? 정도라고 알고있습니다. 원하는 만큼의 절세혜택이 나오는지 확인해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주제넘은 답변이지만, 베트남에 주식쪽 자산군을 올인 하시는 이유가 있으신지요? 되도록 자산군을 다양화하는 것도 좋을 듯합니다
성투하시길 바랍니다
티타임에 올라온 자산배분 투자 관련 글과 그 글의 레퍼런스인 '마법의 연금 굴리기' 책 추천드립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ISA 모두 개별주식에는 투자가 불가능하고 투자자산 종류에 제약이 있지만 세금혜택을 주는 계좌들이라 잘 파악하고 이용하면 좋습니다. 이 계좌들에서 투자할만한게 ETF인데 저 글과 책에서 원리와 방법을 잘알려줍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합산해서 연납입액의 700만원까지 16.5퍼센트였나(좀다를순있습니다)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단점은 만55세 이전에 연금으로 수령하기 전에 인출하면 세금 깎아준 금액은 전부 토해... 더 보기
연금저축과 IRP는 합산해서 연납입액의 700만원까지 16.5퍼센트였나(좀다를순있습니다)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단점은 만55세 이전에 연금으로 수령하기 전에 인출하면 세금 깎아준 금액은 전부 토해... 더 보기
티타임에 올라온 자산배분 투자 관련 글과 그 글의 레퍼런스인 '마법의 연금 굴리기' 책 추천드립니다. 연금저축펀드, IRP, ISA 모두 개별주식에는 투자가 불가능하고 투자자산 종류에 제약이 있지만 세금혜택을 주는 계좌들이라 잘 파악하고 이용하면 좋습니다. 이 계좌들에서 투자할만한게 ETF인데 저 글과 책에서 원리와 방법을 잘알려줍니다.
연금저축과 IRP는 합산해서 연납입액의 700만원까지 16.5퍼센트였나(좀다를순있습니다)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단점은 만55세 이전에 연금으로 수령하기 전에 인출하면 세금 깎아준 금액은 전부 토해내야 합니다. 그렇지만 복리의 마법이 있고, 투자에는 투자기간이 장기인게 중요하니 여윳돈 일부는 납입하셔서 투자하시는게 좋습니다.
다음은 ISA인데 3년 혹은 5년의 중기이고 순수익금을 200만원까지 면세, 초과하면 9.9퍼센트였나 세율 낮춰서 과세한다고 합니다. 연 2천만까지 입금가능하고, 가입기간 내에도 입금한 원금만큼은 인출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투자방법은 연금저축, IRP와 동일하게 ETF쪽이 가장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한국주식 관련 ETF는 양도소득세를 안내니까 굳이 이 계좌들에서 거래할 필요는 없습니다. 미국주식도 수익금 연 240만원까지는 양도소득세 안내서 사실 소액으로 미국주식만 하면 세금걱정은 크게 안해도 됩니다. 배당 시 배당소득세 내는 것은 ISA 계좌에서 거래하면 절약할 수 있습니다. 기타자산쪽은 원래 세금혜택이 따로없어서 ISA에서 하면 좋고요.
연금저축과 IRP는 합산해서 연납입액의 700만원까지 16.5퍼센트였나(좀다를순있습니다) 세액공제를 해줍니다. 단점은 만55세 이전에 연금으로 수령하기 전에 인출하면 세금 깎아준 금액은 전부 토해내야 합니다. 그렇지만 복리의 마법이 있고, 투자에는 투자기간이 장기인게 중요하니 여윳돈 일부는 납입하셔서 투자하시는게 좋습니다.
다음은 ISA인데 3년 혹은 5년의 중기이고 순수익금을 200만원까지 면세, 초과하면 9.9퍼센트였나 세율 낮춰서 과세한다고 합니다. 연 2천만까지 입금가능하고, 가입기간 내에도 입금한 원금만큼은 인출할 수 있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투자방법은 연금저축, IRP와 동일하게 ETF쪽이 가장 매력적으로 보입니다. 한국주식 관련 ETF는 양도소득세를 안내니까 굳이 이 계좌들에서 거래할 필요는 없습니다. 미국주식도 수익금 연 240만원까지는 양도소득세 안내서 사실 소액으로 미국주식만 하면 세금걱정은 크게 안해도 됩니다. 배당 시 배당소득세 내는 것은 ISA 계좌에서 거래하면 절약할 수 있습니다. 기타자산쪽은 원래 세금혜택이 따로없어서 ISA에서 하면 좋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