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09/21 02:57:54 |
Name | [익명] |
Subject | 문과생이 공대에 적응 할 수 있을까요 |
안녕하세욤 한달뒤 군입대를 기다리고있는 학생이에요 입대를 앞두고 제 삶을 뒤돌아보며 많은 성찰 중이에요 전공이 언어 계열인데 요새는 언어를 배워서 취직은 할 수 있을까 하는 생각에 회의감이 많이 들어 고민 끝에 전자로봇 관련학과에 전과를 하기로 결정했어요 네 그렇습니다. 무려 공대에 가고싶어졌어요 인공지능과 로봇에 관심이 많고 저도 박사님처럼 로봇을 만들어보고 싶네요 전과에 앞서 문과생이었기 때문에 갑자기 공과계열 수업을 들으면 심장이 놀랄 거 같아서 어느 정도 기초를 다지고 가고 싶습니다만..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 될지 감이 전혀 안 잡혀요 일단 파이썬을 유튜브 보면서 따라 하고 있고 인공지능 현대적 접근방식이란 책을 사서 맛보기로 흩어보고 있는데 보면 볼수록 막막하고 인생이 쓰다는 생각밖에 안 드네요 기초를 다져야 될 거 같은데 어떤 식으로 접근하는 게 좋을지 가르쳐주세요 0
|
메카트로닉스는 수리수학적 능력이 아주아주 많이 요구됩니다. 차라리 컴퓨터 계열을 권하고 싶은데, 사실 이쪽도 수학을 안할 수 없습니다. 선형대수학, 이산수학 등... 다만 얘넨 고등학교에서 하는 calculus와 궤가 다른 친구들이라 처음 배워도 열심히 할 수 있는게 위안입니다.
그렇다고 미적분학을 안하는건 아닙니다. 덕분에 1학년 학점이 빵꾸났어요. 인공지능 쪽이라면 컴퓨터 공학의 지식이 있어야 할 것이고, 메카트로닉스는 기계공학의 지식이 있어야 할 겁니다. 물리학에 대한 상당수준의 이해와 노하우가 요구됩니다. 물리학, 수학을 "싫어"하시고, 앞으로 담쌓고 사실 거면 권장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이건 함부로 말하기는 꺼려지지만, 파이썬 언어 유튜브 보면서 따라하는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로봇개발자가 되고자 한다면 자신이 알고리즘을 짤 줄 알아야 하고, 요구사항에 맞춰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책 한두권이랑 흥미와 관심정도로는 부족하고 안일해보입니다. 물론! 프로그래밍의 정체성을 알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문법을 알아가기 위해 그런 시도를 하는건 정말로 필요합니다. 그게 전부라고 생각하는게 잘못된 거고요.
그리고 이건 함부로 말하기는 꺼려지지만, 파이썬 언어 유튜브 보면서 따라하는건 누구나 할 수 있습니다. 로봇개발자가 되고자 한다면 자신이 알고리즘을 짤 줄 알아야 하고, 요구사항에 맞춰 문제해결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합니다. 책 한두권이랑 흥미와 관심정도로는 부족하고 안일해보입니다. 물론! 프로그래밍의 정체성을 알고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문법을 알아가기 위해 그런 시도를 하는건 정말로 필요합니다. 그게 전부라고 생각하는게 잘못된 거고요.
포기하란 뜻은 아니고, 앞으로 펼쳐질 일에 대비하라는 의미입니다. F 일곱 개는 받을 생각으로 살아야 합니다. 그냥 대충 깔짝거리면 되겠지 하는 생각만 없었으면 하는 생각에 꺼낸 말이고, 중학교 수학책을 꺼낼 수행력이 정말로 필요합니다. 저도 고등학교 인문계열 나와서 수능치고 공대 온 케이스입니다. 열심히 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응원해 드리겠습니다.
http://www.kmooc.kr/
여기서 대학 강의를 무료로 츄라이 해보세요.
저도 문과출신 공대인데, 미분적분학도 빌빌 기는데 통계학 기반의 AI는 죽어도 못할거 같아서 교양 정도까지만 마무리했네요.
선임들 중에 반드시 '컴공 or 로공' 인 사람 반드시 한명은 있을 겁니다. 물어보세요.
여기서 대학 강의를 무료로 츄라이 해보세요.
저도 문과출신 공대인데, 미분적분학도 빌빌 기는데 통계학 기반의 AI는 죽어도 못할거 같아서 교양 정도까지만 마무리했네요.
선임들 중에 반드시 '컴공 or 로공' 인 사람 반드시 한명은 있을 겁니다. 물어보세요.
로또 당첨확률을 두 배로 높이는 방법은 두 장 사는 것입니다. 다니시는 학교가 문/이과 복수전공 허용하는 학교라면 전과하시지 말고 복수전공 하세요. 지금까지 해오신 어문 관련 학과도 끝까지 하시고, 이공계에서도 전공 하나 정해서 복수전공 하세요. 지금 시대에 하나만 잘 하는 전문가는 어느 분야에든 넘쳐납니다. 40년 전에는 석사도 교수 했는데 지금은 박사도 포닥 해야 하는 (그것도 꽤 길게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한 분야에서 S급이 되는 건 어려워도 두 분야에서 다 A급이 되는 건 상대적으로 쉬워요. 꼭 두개 하세요. 학교 ... 더 보기
한 분야에서 S급이 되는 건 어려워도 두 분야에서 다 A급이 되는 건 상대적으로 쉬워요. 꼭 두개 하세요. 학교 ... 더 보기
로또 당첨확률을 두 배로 높이는 방법은 두 장 사는 것입니다. 다니시는 학교가 문/이과 복수전공 허용하는 학교라면 전과하시지 말고 복수전공 하세요. 지금까지 해오신 어문 관련 학과도 끝까지 하시고, 이공계에서도 전공 하나 정해서 복수전공 하세요. 지금 시대에 하나만 잘 하는 전문가는 어느 분야에든 넘쳐납니다. 40년 전에는 석사도 교수 했는데 지금은 박사도 포닥 해야 하는 (그것도 꽤 길게 해야 하는) 시대입니다.
한 분야에서 S급이 되는 건 어려워도 두 분야에서 다 A급이 되는 건 상대적으로 쉬워요. 꼭 두개 하세요. 학교 좀 오래 다니면 어떻습니까. 대학교 5년 다녀서 이력서에 한 줄 더 넣을 수 있다면 남는 장사입니다. 사회 나와보면 이력서 한 줄이 얼마나 비싼 지 알게 됩니다.
그 어떤 전공도 평생 삶을 보장해주지 않습니다. 지금은 컴퓨터가 엄청 떴지요? 2010년에 컴퓨터공학과는 기피학과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 기사 검색해보시면 바로 나와요. 앞으로 컴공이 안 뜰 꺼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사람은 10년 후도 예측하지 못하는 존재라는 뜻입니다.
이럴 땐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전공 두개 하세요. 학교 6년 다녀도 되면 3전공 하세요. 예전처럼 60살 되면 환갑잔치 하던 시대에는 빨리 사회 나가서 돈 벌어야 했지만 앞으로 다가올 평균 수명 120세 시대에는 대학교 1-2년 더 다니는거 별것 아닙니다. 컴공이든 기계이든 하시고 싶으신 전공을 추가로 하시되, 지금 하고 계신 어문학 계열 전공 절대로 버리지 마세요.
한 분야에서 S급이 되는 건 어려워도 두 분야에서 다 A급이 되는 건 상대적으로 쉬워요. 꼭 두개 하세요. 학교 좀 오래 다니면 어떻습니까. 대학교 5년 다녀서 이력서에 한 줄 더 넣을 수 있다면 남는 장사입니다. 사회 나와보면 이력서 한 줄이 얼마나 비싼 지 알게 됩니다.
그 어떤 전공도 평생 삶을 보장해주지 않습니다. 지금은 컴퓨터가 엄청 떴지요? 2010년에 컴퓨터공학과는 기피학과 중 하나였습니다. 당시 기사 검색해보시면 바로 나와요. 앞으로 컴공이 안 뜰 꺼라는 이야기가 아니라, 사람은 10년 후도 예측하지 못하는 존재라는 뜻입니다.
이럴 땐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가야 합니다. 전공 두개 하세요. 학교 6년 다녀도 되면 3전공 하세요. 예전처럼 60살 되면 환갑잔치 하던 시대에는 빨리 사회 나가서 돈 벌어야 했지만 앞으로 다가올 평균 수명 120세 시대에는 대학교 1-2년 더 다니는거 별것 아닙니다. 컴공이든 기계이든 하시고 싶으신 전공을 추가로 하시되, 지금 하고 계신 어문학 계열 전공 절대로 버리지 마세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