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0/10/05 09:58:24
Name   [익명]
Subject   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아파트 분양 받은게 있는데요. 현재 중도금 치르고 있는 중입니다.
1년 뒤쯤 입주 예정인데 일단은 지금은 제 명의로 계약되어 있고 중도금 납부 기간에 신청하면 부부 공동명의로 변경 가능하다고 합니다.
분양 받은 아파트의 시세는 주변을 보면 대략 10~11억쯤 하는 것 같고 입주때 많이 올라봐야 12억 이내로 예상됩니다.
우선 지금의 공시지가율로 보면 단기간 내에 공시가 9억을 넘지는 않을 것 같긴한데 정부에서는 공시지가율을 80%까지 올리는게 목표라고 해서 우려가 되긴 합니다. 일단 공동명의로 하면 각 6억씩 12억까지 종부세 면제가 되서 안심이 될거 같기도 하고요.
그리고 양도 소득세 관련해서는 분양받은 아파트다 보니까 나오게 되면 괘 클거 같아서 걱정됩니다. 아직 확정된 것은 아니지만 처가집이랑 거리등의 이유로 실거주 기한 2년 정도 살고 이주 계획이 있는데요. 이때 과도한 양도세가 나오게 되면 다른 지역으로 옮기는게 힘들 것 같아서 걱정입니다. (다른 지역이 안올랐으면 모르는데 다 올라서요. 처갓집 근처는 더 올랐더라고요...)
지인이 1세대 1주택 실거주 2년 채우면 양도세는 걱정말라고 하시는데 9억 이상은 좀 나오는 것 같더라고요.
사실 지난달에 위와같은 이유로 공동명의로 하기로 결정 하고 준비하고 있었는데 최근 뉴스를 보니 부부 공동명의에 경우 각각 명의당 한채씩이 되어 1세대 2주택으로 취급 된다는 뉴스가 있어서 혼란스럽습니다.
혹시 주택이나 세금 관련해서 잘 아시는 분이 있으면 조언 부탁드립니다.



0


사나남편
결혼하신건가요??? 애는 있나요? 몇명인가요???? 자금 출처가 확실한 구매면 무조건 마누라 명의로 하세요.
[글쓴이]
결혼했고 아이는 둘있습니다. 자금 출처는 대부분 대출이라 확실한 편이고;;; 명의는 이미 분양계약 자체가 제 이름이라 제 단독명의 또는 부부 공동명의 둘중 하나만 선택 가능한 상황입니다.
사십대독신귀족
번거로우셔도 근처 부동산에 전화해서 물어보시는 게 가장 빠르고 정확할 거 같습니다.
[글쓴이]
근처 부동산에서도 잘 모르시더라고요;;; 대부분 공동명의 하시던데 이유가 있지 않을까요? 라고 하셔서.... 정확한 건 세무사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고 상담받으라고 하셔서 일단 상담 받기전에 이것저것 알아보다가 문의드립니다.
사나남편
공동명의를 하면 개인당 지분에 따른 재산세 구간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런데 업무 처리에서 둘다 동의를 받아 진행해야되서 처리할때 귀찮죠.
재산세 계산시 두 분 명의로 다른 주택 있을 경우 각각 1 주택으로 취급해서 더하는거 아닌가요? 공동명의 주택만 있을 경우엔 별 문제 아닌걸로 압니다.
[글쓴이]
뉴스에서 재산세였는지 종부세였는지 장특 공제에 세대당 2주택으로 합산되어 공제 받을 수 없다는 내용이 나와서 혼란스러웠습니다.
그렇다면 추후 자녀를 위해 집을 매수하거나 부모님 집을 상속으로 물려받게 되면 취득세도 2주택자 기준으로 나올거 같더라고요.
와이프 말로는 종부세 조금 아껴보겠다고 나중에 더 큰 손해가 날 수도 있다고 해서 각자 조사해보자고 한 상태입니다.
맥주만땅
아직까지는 공동명의인 것이 세제상 유리한 것 아닌가요?
하우두유두
공동명의하고 5년이내 양도하면 증여취득세 물릴겁니다. 어차피 알고 계신거 선배님들이 다 해먹으신거라고 생각하면 편하실꺼에요. 그냥 1가구일시적2주택비과세 받으시고 다음번 주택 취득시 공동명의하세유 ㅎㅎ
하우두유두
https://youtu.be/XCnUa7JIKxw
[데일리뉴스 219] 부부공동명의 유불리, 완벽분석! (이거 하나로 100% 정리드립니다)

이거 보세유
[글쓴이]
감사합니다. 아직 시간이 없어서 다 보지는 못했지만 저기서 언급된 기사만 봤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306577 )
결국 이후 계획에 따라 달라지겠네요. 저기서 눌러 산다면 확실히 공동이 유리하겠네요.
하지만 저희같은 경우 이주할 계획이 있고 이주시 깔끔하게 팔고 다른 곳으로 매수한다면 이경우에도 공동이 유리하네요.
변수가 한가지 있다면 저같은 경우 외... 더 보기
감사합니다. 아직 시간이 없어서 다 보지는 못했지만 저기서 언급된 기사만 봤는데도 많은 도움이 되었습니다!
( https://n.news.naver.com/article/020/0003306577 )
결국 이후 계획에 따라 달라지겠네요. 저기서 눌러 산다면 확실히 공동이 유리하겠네요.
하지만 저희같은 경우 이주할 계획이 있고 이주시 깔끔하게 팔고 다른 곳으로 매수한다면 이경우에도 공동이 유리하네요.
변수가 한가지 있다면 저같은 경우 외벌이인데 이주할때 해당 집을 세주고 다른 곳에 세입자로 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겠네요.
이 경우 월세를 주게 되면 피부양자인 아내가 건보료가 나올 수 있다는 점이 있겠네요.
아직도 완전히 결론은 나지는 않았지만 어디에 유불리가 있는지는 대략 알게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엄마곰도 귀엽다
우리 남편이 쓴 글인가 했는데 처가 근처라 아니군요

덕분에 잘 알아보고 가요 ㅎㅎ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291 경제하이브리드카 중고 구매 2 [익명] 20/10/18 3364 0
10267 경제집값이 오르는 이유 12 [익명] 20/10/13 3844 0
10210 경제분양받은 아파트 공동명의 해야 할까요? 12 [익명] 20/10/05 4920 0
10209 경제주식 문의 9 [익명] 20/10/04 3273 0
10204 경제주식할 때 회사 재무지표 2 [익명] 20/10/03 3452 0
10157 경제임대사업자 집주인이 5프로 인상+시세만큼 1억 차용하자고 하는데요... 9 dawn 20/09/22 5828 0
10132 경제신용대출을 받아야 할까요? 3 [익명] 20/09/17 3263 0
10127 경제수협은행 직장인대출은 1금융권인가요? 4 [익명] 20/09/16 3833 0
10121 경제CBDC를 발행하면 마이너스 금리 부과 가능하다는데... 2 [익명] 20/09/15 3219 0
10120 경제똑같은 위치의 집일때 집 종류에 따른 가격 차이 25 헌혈빌런(R) 20/09/14 5122 0
10117 경제주택담보대출은 일단 나오는 만큼 받는게 나은건가요? 9 오늘 20/09/14 4441 0
10100 경제아마존 직구를 하려 하는데요. 6 [익명] 20/09/11 2946 0
10089 경제노후자금이 얼마나 필요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모아야 할까요? 33 이그나티우스 20/09/09 4587 1
10087 경제차량 경매로 구입해보신 분 계실까요? 1 [익명] 20/09/09 3635 0
10084 경제투과지역 부동산 취득세 및 전세대출관련 질문입니다.. 2 [익명] 20/09/08 3592 0
10083 경제미국 노동절로 인한 예수금 출금가능일자? 2 [익명] 20/09/08 3495 0
10023 경제ISA 관련 질문입니다. 5 [익명] 20/08/29 3058 0
10008 경제무주택자로 갈아타야하나요? 13 [익명] 20/08/26 3676 0
10006 경제지금 대출하는게 맞나요? 7 [익명] 20/08/26 3441 0
9954 경제경제학 서적 추천좀요 6 [익명] 20/08/17 3309 0
9938 경제해외주식 할 때 수수료가 적은 곳은 어디인가요? 11 [익명] 20/08/14 3004 0
9907 경제원룸 건물에서 특정 호수만 매매 가능한가요? 7 [익명] 20/08/08 4379 0
9906 경제전세 또는 주택 구매에 관한 질문 4 [익명] 20/08/08 3276 0
9881 경제1~2억 화끈하게 쓰기 29 [익명] 20/08/04 3586 0
9858 경제재무제표 구조를 정리해봤는데 오류 수정을 좀 부탁드릴 수 있을까요? 3 [익명] 20/07/31 409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