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10/28 08:55:00 |
Name | 사이시옷 |
Subject | 컴퓨터과학(CS) 세부 전공. 어디로 가야 하오리까.. |
안냐세요. 내년 1학기 CS 졸업을 앞두고 있는 사이시옷입니다. 나이 40에 CS 학사를 받는 것을 기념하야 쬐끔만 더 공부를 해볼까 합니다. 기만넷의 컴퓨터 전문가분들의 세부 전공 경험을 듣고 싶읍니다. 까마득한 후배에게 조언을 주시옵소서.. P.S.: 먹고사니즘과 바로 연결할 생각이 없고 취미(?)로 즐겁게(?) 공부하려는 의도이니 자유롭게 의견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P.S2: 본 전공은 정치외교학이고 커리어는 영업-마케팅입니다. 시장조사, 데이터 분석도 조금씩 다루고 있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사이시옷님의 최근 게시물
|
커리어가 영업-마케팅이면 빅데이타를 AI로 분석한 시장트렌드...? (<-40대 컴알못)
어차피 취미이면 본인이 하시고 싶으신 걸 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컴사학위과정 진입시 목표하시는 게 있었을 것 같은데..
리서치든 연구든 관심가는 걸 해야 잘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어차피 취미이면 본인이 하시고 싶으신 걸 하시는 게 좋지 않을까요?
컴사학위과정 진입시 목표하시는 게 있었을 것 같은데..
리서치든 연구든 관심가는 걸 해야 잘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해보고 관심있는 부분이 뭘지에 대해 고민을 해보셔야할 것 같아요
웹쪽으로 개발하는게 재밌는가를 알아보려면 웹 어플을 만들어보셔야할거고
데싸가 재밌는지 알아보시려면 캐글이 있고(혹시 같이 하실... 쿨럭)
컴퓨터로 수학도 어느 정도 좋아하신다면 codeforces 같은 웹 싸이트에서 문제들 풀어보시다가 알고리즘 공부해보셔도 좋고
게임을 만들어보시고 게임 개발 쪽이 관심 있는지도 알아봐야 할거고
당장에 이 정도 생각나는데 해보고 아, 이건 학부에서 전공할 때 아니면 공부하기 힘들겠구나 싶은 부분들을 찾아보시면... 더 보기
웹쪽으로 개발하는게 재밌는가를 알아보려면 웹 어플을 만들어보셔야할거고
데싸가 재밌는지 알아보시려면 캐글이 있고(혹시 같이 하실... 쿨럭)
컴퓨터로 수학도 어느 정도 좋아하신다면 codeforces 같은 웹 싸이트에서 문제들 풀어보시다가 알고리즘 공부해보셔도 좋고
게임을 만들어보시고 게임 개발 쪽이 관심 있는지도 알아봐야 할거고
당장에 이 정도 생각나는데 해보고 아, 이건 학부에서 전공할 때 아니면 공부하기 힘들겠구나 싶은 부분들을 찾아보시면... 더 보기
해보고 관심있는 부분이 뭘지에 대해 고민을 해보셔야할 것 같아요
웹쪽으로 개발하는게 재밌는가를 알아보려면 웹 어플을 만들어보셔야할거고
데싸가 재밌는지 알아보시려면 캐글이 있고(혹시 같이 하실... 쿨럭)
컴퓨터로 수학도 어느 정도 좋아하신다면 codeforces 같은 웹 싸이트에서 문제들 풀어보시다가 알고리즘 공부해보셔도 좋고
게임을 만들어보시고 게임 개발 쪽이 관심 있는지도 알아봐야 할거고
당장에 이 정도 생각나는데 해보고 아, 이건 학부에서 전공할 때 아니면 공부하기 힘들겠구나 싶은 부분들을 찾아보시면 좋지 않을까요?
웹쪽으로 개발하는게 재밌는가를 알아보려면 웹 어플을 만들어보셔야할거고
데싸가 재밌는지 알아보시려면 캐글이 있고(혹시 같이 하실... 쿨럭)
컴퓨터로 수학도 어느 정도 좋아하신다면 codeforces 같은 웹 싸이트에서 문제들 풀어보시다가 알고리즘 공부해보셔도 좋고
게임을 만들어보시고 게임 개발 쪽이 관심 있는지도 알아봐야 할거고
당장에 이 정도 생각나는데 해보고 아, 이건 학부에서 전공할 때 아니면 공부하기 힘들겠구나 싶은 부분들을 찾아보시면 좋지 않을까요?
저도 해야지 해야지 하다가 이번에 시험 때문에 급하게 공부해서 딱 introductory만 마친 수준이라 좀 부끄럽습니다만...
캐글 홈페이지에 있는 learn 항목에 들어가면 이런 종류를 다룰 때 쓰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대한 기본적인 micro course가 제공됩니다.
pandas, seaborn, scikit-learn 등을 캐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notebook 웹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는건데, 아마 이걸 어느 정도 마치면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ml 관련 지식이 있으면 빨리 배우고, 없어도 배우는데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진지하게 혹시 같이할 사람 필요하시면 연락좀...
캐글 홈페이지에 있는 learn 항목에 들어가면 이런 종류를 다룰 때 쓰는 다양한 라이브러리에 대한 기본적인 micro course가 제공됩니다.
pandas, seaborn, scikit-learn 등을 캐글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notebook 웹 서비스를 통해 이용하는건데, 아마 이걸 어느 정도 마치면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ml 관련 지식이 있으면 빨리 배우고, 없어도 배우는데 문제는 없을거라 생각합니다.
진지하게 혹시 같이할 사람 필요하시면 연락좀...
취미로 배우실거면 AI 세부전공했다는 어필이 필요하지 않으실테니 정보이론이나 네트워킹에 한 표 드립니다. AI는 이제 학교 아니라도 잘 배울 수 있는 코스가 많은 것 같아요.
제가 요즘 (전공 외에서) 제일 재미있게 보고 있는 쪽이 셀룰러 오토마타 쪽인데, 이런 쪽은 혹시 관심 없으신가요? ㅎㅎ
잘 아실 것 같지만, conway의 생명게임은 워낙에 재밌는 컨셉이고 그걸 일반화한게 cellular automata인데, 그 규칙을 데이터 기반으로 학습시키는 연구가 연초에 발표됐었거든요 (https://distill.pub/2020/growing-ca/). 처음에는 되게 쓸모없어 보였는데, 생각하다 보니까 자가 수복하는 로봇 에이전트 시스템이라든지 그런 데에 쓸모있을 것 같기도 하고, 최근에는 이런 것들도 내놓더라구요: https://distill.pub/2020/selforg/mnist/
잘 아실 것 같지만, conway의 생명게임은 워낙에 재밌는 컨셉이고 그걸 일반화한게 cellular automata인데, 그 규칙을 데이터 기반으로 학습시키는 연구가 연초에 발표됐었거든요 (https://distill.pub/2020/growing-ca/). 처음에는 되게 쓸모없어 보였는데, 생각하다 보니까 자가 수복하는 로봇 에이전트 시스템이라든지 그런 데에 쓸모있을 것 같기도 하고, 최근에는 이런 것들도 내놓더라구요: https://distill.pub/2020/selforg/mnist/
이미 고르신 것 같긴 한데 ai는 대량의, 양질의 데이타와 레이블링등이 필요하고 상황에 따라 코딩을 계속 수정하고 해야해서 혼자서는 어려운 거 아닌가 싶기도 하네요.
Cloud computing 관련 기술들은 어떠신가요? 관련 기술들을 하나씩 공부하시는 것도 흥미로울 수 있습니다. 기존 cloud를 이용해서 개인적으로 간단하게 해볼 수 있는 것들도 꽤 있고요. Azure나 AWS를 둘러보시면 공부할만한 자료가 꽤 있습니다. Certification도 따실 수 있고.
그와 함께 Big data, Security 쪽도 좋습니다.
그와 함께 Big data, Security 쪽도 좋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