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0/11/30 23:21:38 |
Name | ![]() |
Subject | 정통 기독교 세례교인? |
천주교는 안된다는 얘기겠죠? 이력서 넣는데 정통 기독교 세례교인만 지원 가능 (기독교계열 방송) 이렇게 써있길래... 안되는거죠?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Cascade님의 최근 게시물
|
그런데 엄밀하게 따지면 천주교는 개신교의 대립개념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천주"교라는 뜻은 Heavenly God을 믿는 종교라는 뜻이므로 개신교가 하나님(하느님)을 믿지 않는 것은 아니니까요.
학술적으로 따지자면 기독교 = 보편교회(가톨릭) + 개신교 라고 칭해야 하겠지만, 가톨릭이라든가 보편교회라는 단어는 아무래도 천주교보다는 생경한 것이 사실입니다. (가톨릭이라는 명칭은 학교나 병원에서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또한 근대역사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양쪽에서 서로 기독교의 한 테두리 안에 있는가도 논란의 대상이기도 ... 더 보기
학술적으로 따지자면 기독교 = 보편교회(가톨릭) + 개신교 라고 칭해야 하겠지만, 가톨릭이라든가 보편교회라는 단어는 아무래도 천주교보다는 생경한 것이 사실입니다. (가톨릭이라는 명칭은 학교나 병원에서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또한 근대역사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양쪽에서 서로 기독교의 한 테두리 안에 있는가도 논란의 대상이기도 ... 더 보기
그런데 엄밀하게 따지면 천주교는 개신교의 대립개념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왜냐하면 "천주"교라는 뜻은 Heavenly God을 믿는 종교라는 뜻이므로 개신교가 하나님(하느님)을 믿지 않는 것은 아니니까요.
학술적으로 따지자면 기독교 = 보편교회(가톨릭) + 개신교 라고 칭해야 하겠지만, 가톨릭이라든가 보편교회라는 단어는 아무래도 천주교보다는 생경한 것이 사실입니다. (가톨릭이라는 명칭은 학교나 병원에서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또한 근대역사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양쪽에서 서로 기독교의 한 테두리 안에 있는가도 논란의 대상이기도 했었죠.
저는 개신교인으로서 예전에 인도인인 한 가톨릭 교인과 함께 성경공부를 한 적이 있었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인도분이 비정통 기독교를 "orthodox" 라고 표현해서 정교회를 뜻하는 것인가 물었더니 이단을 "orthodox"라고 칭하는 것이더군요. 아마도 가톨릭과 대립되는 개념에서 파생되어 가톨릭 입장에서 비정통 또는 이단 교단을 모두 그렇게 호칭하게 된 것 같았습니다.
단어의 원래 뜻을 생각할 때 이단을 orthodox라고 칭한다는 사실(저 이단은 정통입니다?)이 재미있는데, 일반 언중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어의가 그 말의 원래 뜻을 덮어쓰는 현상의 하나를 본 것 같았습니다.
학술적으로 따지자면 기독교 = 보편교회(가톨릭) + 개신교 라고 칭해야 하겠지만, 가톨릭이라든가 보편교회라는 단어는 아무래도 천주교보다는 생경한 것이 사실입니다. (가톨릭이라는 명칭은 학교나 병원에서 많이 찾을 수 있지만..)
또한 근대역사에서 개신교와 가톨릭 양쪽에서 서로 기독교의 한 테두리 안에 있는가도 논란의 대상이기도 했었죠.
저는 개신교인으로서 예전에 인도인인 한 가톨릭 교인과 함께 성경공부를 한 적이 있었는데, 재미있는 이야기를 들었습니다. 그 인도분이 비정통 기독교를 "orthodox" 라고 표현해서 정교회를 뜻하는 것인가 물었더니 이단을 "orthodox"라고 칭하는 것이더군요. 아마도 가톨릭과 대립되는 개념에서 파생되어 가톨릭 입장에서 비정통 또는 이단 교단을 모두 그렇게 호칭하게 된 것 같았습니다.
단어의 원래 뜻을 생각할 때 이단을 orthodox라고 칭한다는 사실(저 이단은 정통입니다?)이 재미있는데, 일반 언중에 의해 보편적으로 받아들여지는 어의가 그 말의 원래 뜻을 덮어쓰는 현상의 하나를 본 것 같았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