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1/27 11:00:32
Name   [익명]
Subject   전세계약 만료시 집주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저는 집주인입니다.
현재 제 집이 아닌 다른곳에 거주하고 있는데요. 내년에 전세가 만료될 때 전세자분과 계약을 종료하고 제가 들어가려고 합니다.
한번도 집주인인 적이 없다가 세 안고 집을 산 터라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는데요.



1.
좀 찾아보니 전세 계약 연장을 할지 말지 6개월 전에 통보해야한다는 이야기가 있더라구요?
근데 어디서는 2개월 전에 통보 안하면 자동으로 연장된다고 하고..
계약 연장 통보를 하지 않고 만료 하려면 언제쯤 통보 시기를 잡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계약 종료 통지시 부동산 아주머니 통해서 연락을 하는게 맞겠죠?
과정이 어떻게 되는지 모르니 좀 걱정됩니다..


2.
계약이 만료되고 인테리어를 하고 집을 들어가려고 합니다.
그럼 전세자 분과 계약이 종료되고 이사를 나가신 후에 집을 살펴보고 인테리어 계획을 잡는게 맞겠죠?
이번에 인테리어 새로 바꾸면 아마도 최소 10년 이상은 이곳에서 살 것 같은데.. 혹시 노하우 같은 것들이 있을까요?


3.
전세 만료 시점에 전세금을 돌려드려야 하는데, 아마 1~2억 정도는 대출을 받아서 돌려드려야 할것 같습니다.
이때 주택담보 대출을 받아서 진행하는게 가장 저렴하겠죠?



4.
집에 하자 없이 잘 쓰셨는지 점검도 하는 것 같은데 이건 언제 어떻게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계약 종료까지 1년 조금 넘게 남았는데 이런저런 걱정이 많습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0


맥주만땅
- 재계약 불가는 최대한 일찍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1. 세입자와 계약한사람은 만료 2개월전, 승계한사람은 6개월전에 갱신거절통보해야 효력이 있습니다. 문자로 하셔도 문자를 받았다는 대답만 있으면 괜찮지만 분위기가 심상치않다면 내용증명을 보내시는게 좋습니다.

2. 인테리어는 잘 아는 사람이 아니면 싸면 싼 이유가 있다고 생각하시고 최소 10%는 공사끝나고 하자확인후 지급해야합니다.

3. 간혹 신용대출 이자가 더 싼경우도 있으니 확인해보세요.

4. 전세금 반환전에 상태확인을 꼭하셔야합니다.
이브나
1. 보통 계약서에 계약 종료 얼마 전까지 통보한다고 적혀 있을거에요.
그래도 미리 말해주는게 좋고 통보한 내역은 가급적 서면으로 기록이 남는 게 좋습니다. 통화 후 문자로 다시 한번 보내는 게 무난하다고 봅니다.
2. 인테리어는 잘 모르지만 공사 기간 동안 계속 상주하면서 잘못된 건 바로바로 말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하자 처리 받기 힘들어요.
또한 공사 중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윗집 아랫집에 양해를 얻는 게 좋겠죠.
3. 대출은 잘 몰라서 패스하고요.
4. 세입자의 원상복구 의무는 보통 문이나 싱크대같은 시설 파... 더 보기
1. 보통 계약서에 계약 종료 얼마 전까지 통보한다고 적혀 있을거에요.
그래도 미리 말해주는게 좋고 통보한 내역은 가급적 서면으로 기록이 남는 게 좋습니다. 통화 후 문자로 다시 한번 보내는 게 무난하다고 봅니다.
2. 인테리어는 잘 모르지만 공사 기간 동안 계속 상주하면서 잘못된 건 바로바로 말하셔야 합니다. 나중에 하자 처리 받기 힘들어요.
또한 공사 중 소음이 발생할 수 있으니 미리 윗집 아랫집에 양해를 얻는 게 좋겠죠.
3. 대출은 잘 몰라서 패스하고요.
4. 세입자의 원상복구 의무는 보통 문이나 싱크대같은 시설 파손이랑 도배 오염(곰팡이나 낙서, 도배지) 등이 주 점검대상인데 인테리어 수준이 전면 리모델링이라면 어차피 다 뒤집을거라 굳이 빡빡하게 보시지 않아도 괜찮을 것 같긴 합니다.
6개월전에 통보하세요.
시간이 많이 남았는데 넘 빨리하는 통보해서 혹시라도 빨리 나가면 본인이 들어갈 수 있는 시간과 어긋날 수 있으니까요.
세입자 이사나가는 날에 집 한번 보면서 망가진 거 없는지 확인하심 됩니다
주택담보말고 전세퇴거대출도 있습니다.
1
판다뫙난
주택임대차 보호법 6조상 임대인은 기간만료 6개월전~2개월전까지 갱신거절 통지해야됩니다. 그거지나면 임차인이 계약해지 하지 않는한 자동연장됩니다
2. 인테리어 진행중인데 셀.인. 네이버 인테리어 카페에 모든 정보가 있어요. 턴키업체 선정부터 최신 트렌드, 자재 선택까지.. 큰 도움 받으실 수 있어요.
[글쓴이]
집꾸미기 말씀이신가요?
카페 이름이 어떻게되나용..?
https://cafe.naver.com/overseer

여기예요. 등업 하시구 팁 많이 찾아보시면 많이 절약되실 거 예요
[글쓴이]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201 경제신용점수와 대출 질문입니다. 2 [익명] 21/03/17 4290 0
11196 경제어느 지역에 집을 사야 할까요? 12 [익명] 21/03/17 4239 0
11192 경제경제적 자유를 위해 필요한 월 소득 수준(?) 21 쿠팡 21/03/16 4610 0
11190 경제아파트 분양권 구매시 대출 4 물냉과비냉사이 21/03/16 4908 0
11183 경제외국의 외주수입 달러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21 흑마법사 21/03/15 7196 0
11151 경제청약저축 자동이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이담아담 21/03/08 3086 0
11128 경제경제신문 추천좀 해주세요 9 오디너리안 21/03/03 4316 0
11111 경제기업이 국가 혹은 지역을 매입한 사례가 있나요? 51 Curic 21/02/28 5679 0
11106 경제할부로 자동차 구입하는 방법 6 [익명] 21/02/26 3620 0
11100 경제남자 의상 온라인쇼핑몰 공유 부탁드립니다! 9 DogSound-_-* 21/02/25 4847 0
11082 경제주식하는 분들 뉴스 어디서 보시나요? 6 [익명] 21/02/21 4796 0
11063 경제내년 초까지 ETF 괜찮을까요? 4 [익명] 21/02/19 3582 0
11061 경제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질문입니다. 4 [익명] 21/02/18 3845 0
11060 경제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13 [익명] 21/02/18 4367 0
11051 경제인버스 ETF의 이론상 최대 수익률 3 아침커피 21/02/17 4978 0
10990 경제이사 고민... 어느 방향을 추천하시나요?? 13 [익명] 21/02/08 4393 0
10988 경제연말정산 질문입니다 7 [익명] 21/02/08 4468 0
10958 경제주택담보 생활안정자금대출질문입니다. 5 [익명] 21/02/04 4816 0
10946 경제변액연금보험 가입했는데요 11 [익명] 21/02/02 3554 0
10943 경제전세냐 월세냐의 선택 (집주인 입장에서) 20 [익명] 21/02/02 3707 0
10923 경제로빈후드가 투자자 주식 강제매도했다는게 사실인가요? 12 지나가던선비 21/01/29 5610 0
10907 경제전세계약 만료시 집주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9 [익명] 21/01/27 7062 0
10901 경제엘지폰 벨벳 질문드립니다 20 DogSound-_-* 21/01/25 3935 0
10898 경제균등 분배 방식의 IPO 참여 관련.. 3 [익명] 21/01/25 3352 0
10875 경제전세집 전세확정일 문제(마음이 타들어갑니다) 7 [익명] 21/01/21 469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