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2/08 23:16:25
Name   [익명]
Subject   이사 고민... 어느 방향을 추천하시나요??
안녕하세요. 결혼한 지 만 2년이 되어 가는 신혼부부 입니다.

지금 집은 제가 결혼 하기 1년 전 전세로 구한 정말 오래되고 작은 빌라 입니다.
전세 5천만원에 들어왔고, 현 직장에 출퇴근이 가능하면서 대출 없이 구할 수 있는 곳이라
고민 끝에 독립하고 1년 정도 산 후 현재 와이프와 결혼하여 계속 살고 있습니다.

만으로 2년을 채운 후 1년 연장을 했고, 이제 곧 3년이 되어 가기에 연장을 하든 이사를 가든 선택해야 합니다.

일단 저희 부부는 자녀가 없으며 앞으로도 당분간(3~4년??)은 자녀 계획이 없습니다.
저는 지금 집이 너무 외지고, 오래되고(25년), 작기(실평수 13평) 때문에 이사를 가자고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습니다.

와이프는 처음에는 이사를 반대하다가(돈도 더 모을 필요가 있고, 지금 집에 적응되었다.) 제가 계속 설득해서
일단 좋은 조건의 집이 나오면 이사를 가겠다고 의견을 모았습니다.

저희는 아직 확실한 주거 지역을 정하지 못했기 때문에 2년은 더 전세로 살고 싶습니다.(매매는 추 후 고민하거나 분양을 노림)
지역은 현재 동일한 지역(경기도 권)에서 동네 정도만 옮길까 하고 있습니다.(서로의 직장 출퇴근 편의성을 위해)

제가 현재 있는 지역은 전세 기준으로
신축 아파트는 4억 이상, 구축(20년 내외) 아파트는 2억5천, 신축 빌라는 2억,
구축 빌라는 1억 초반 정도에 시세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지금 집 보증금을 빼고 그 동안 모은 돈을 합하면 현금 1억이 준비 될 예정이고, 제 신용 등급은 1등급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느 유형의 집으로의 이사를 추천하시며 그 이유는 어떻게 되실까요??

1. 신축 아파트(전세 4억 이상) : 너무 비싸 대출을 많이 받아야 해서 부담스러움.
2. 구축 아파트(전세 2억 5천) : 대출은 1억 5천 정도 받으면 되지만 오래된 아파트라 살짝 꺼려짐.
3. 신축 빌라(전세 2억) : 대출은 1억 정도 받으면 되고 신축이지만 빌라라는 점에서 살기 불편하지 않을까 고민 됨.
                               (현재 빌라에 3년 정도 살아보니 구축이라 그런지 불편한 점이 너무 많았음)
4. 구축 빌라(전세 1억 초반) : 대출을 조금만 받아도 되고 평수는 더 넓힐 예정이지만 구축에 빌라라는 점이 꺼려짐.

현재 집 실평 수 13평대에서 이사 갈 집은 실평 수 20평 정도로 알아보고 있습니다.
지금 구형 빌라에 살면서 주차가 특히 너무 불편했습니다.

1, 3번 선택 시 주차가 편해지는 장점이 있고(신축 빌라의 경우 세대당 주차 자리 1대 보장) 2, 4번 선택 시
가장 불편했던 주차 문제가 해결되지 않을 것 같아 고민 중입니다.
하지만 1번 선택 시 대출 3억 이상을 받아야 하는데... 이건 매달 이자 내는데 부담이 있을 것 같습니다.

저는 3번이 가장 합리적인 선택이라 생각하는데... 빌라에서 빌라로 이사가는게 이점이 있을 지 고민이네요.

여러 인생 선배님들 조언 부탁드리고, 여유가 되신다면 조언의 이유도 설명 해 주시면 정말 감사 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하우두유두
가급적 매매하시길 바랍니다만 빌라전세는 주의하십시요. 원하는 시기에 나가기 어려울수있습니다. 굳이 전세를 하신다면 2번 추천입니다
1
[글쓴이]
글에도 적었지만 아직 앞으로 오래 지낼 지역을 정확하게 못 정해서 매매하기가 좀 꺼려 지네요.ㅠ
왜 굳이 전세를 한다면 2번을 추천하시는 지 간단하게라도 알 수 있을까요??
저도 2번이요..
아무래도 빌라보다는 나가야 할때 방을 빼기 쉬울꺼구요..
저도 지금 25년된 아파트 전세 살지만 오래되었다고 특별히 불편한거는 없네요..
[글쓴이]
빌라보다는 아파트가 전세금 빼는게 용이한가 보네요??
이건 몰랐던 사실이라... 왜 그런지 궁금해 지네요ㅠ
25년 된 아파트신데 주차라든지 건물이 낡아서 불편한 점이 없으신가요??
빌라는 구하는 사람이 많지 않죠... 일반적으로 선호도가 떨어집니다
사는곳이 경기권이라 지하1층 밖에 없어도 주차때문에 고민했던 적이 한번도 없네요..
집 구하실때 부동산에 꼭 문의 하시구 저녁때 단지를 좀 보시면 알수있을 겁니다
오래되서 불편한건 녹물이나 구조가 단순해서 공간 활용이 어렵다는 점이 있는데 녹물은 살아보기
전에는 알수 없고.. 실평수 20이면 두분이 사시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되네요...
맥주만땅
대단지 일 수록 매매가 수월한데, 빌라는 기껏해야 20-30호 정도 이니까요.
저는 4번을 추천하고 싶은데. 천천히 작은 변화를 만들어가는 쪽이 적응하기 좋다는 이유에서 입니다. 가격 부담도 적고요.
로하이참치
전세금빼는 문제는 저 금액이면 보험 가능할거 같네요. 한번 대출받을 은행에 알아보세요.
맥주만땅
아이가 없고, 돈을 모으실 자신이 있다면 4 추천합니다.

돈을 잘 못 모으는 성격이라면 대출을 받아서 강제저축모드가 좋습니다.
나코나코나
3-4만 안하시면 됩니다.
1~2중에서 추천합니다. 전세자금대출 면에서도 그렇고 예산이가능하면 굳이 빌라를 살 이유가 전혀 없어요
지역에 따라 너무 다른 문제라 일반적으로 서울권은 빌라도 괜찮습니다. 수요가 많아서 신축 빌라는 방뺄때 보증금 못받고 그런 경험은 없었어요.
경기도도 주요지역 역세권이면 괜찮을 거 같은데 그런 느낌은 아니라 다른 분들은 반대 하시는 것 같네요. 그래도 저라면 3번 입니다. 가격대비 생활 환경이 제일 좋을것 같아서요.
저는 서울이긴 하지만 구축 아파트, 신축 빌라 모두 살아본 경험으로는 차라리 빌라가 낫더라고요. 매매라면 당연히 아파트를 생각해 봐야겠지만 빌라는 감가상각이 문데인데 전세는 그런거 신경쓸 필요 없으니... 아파트도 ... 더 보기
지역에 따라 너무 다른 문제라 일반적으로 서울권은 빌라도 괜찮습니다. 수요가 많아서 신축 빌라는 방뺄때 보증금 못받고 그런 경험은 없었어요.
경기도도 주요지역 역세권이면 괜찮을 거 같은데 그런 느낌은 아니라 다른 분들은 반대 하시는 것 같네요. 그래도 저라면 3번 입니다. 가격대비 생활 환경이 제일 좋을것 같아서요.
저는 서울이긴 하지만 구축 아파트, 신축 빌라 모두 살아본 경험으로는 차라리 빌라가 낫더라고요. 매매라면 당연히 아파트를 생각해 봐야겠지만 빌라는 감가상각이 문데인데 전세는 그런거 신경쓸 필요 없으니... 아파트도 준신축(00년 이후) 물건이 있다면 괜찮을거 같습니다. 구축은 구축 나름인데 잘 수리된데가 있으면 괜찮은데 잘못지어진 아파트 구축(복도식)은 살기 너무 불편하더라고요.
그리고 지역은 역시 직주 근접이 좋지만 청약 계획이 있으시니 향후 분양될 아파트가 많은 지역을 찾아보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예를들어 신도시가 예정된 지역이라던지... 2~3년 후에 분양 예정지가 많은 동네, 지금은 재건축/재개발 지역으로 어느정도 사업 진행된 곳들 근처를 추천드립니다.
4번을 선택하는 순간 생애 최초 뭐시기는 모두 사라집니다
자신이 정부의 무주택자 혜택을 받을 것이냐 아니냐를 일단 잘 고려해보십시오
확률이 높은지 아닌지도 고려해보시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971 의료/건강나이키 리액트 인피니티 런 플라이니트2 신어보신 분? 3 행운 21/02/06 4998 0
10972 기타소울 시작 전 영상이 있나요? 12 케이크 21/02/06 4287 0
10973 의료/건강건강검진시 PET-CT 필요할까요? 16 LemonTree 21/02/06 4451 0
10974 기타난 제외 피타브레드 대체재가 있을까요?? 3 열린음악회 21/02/06 4561 0
10976 가정/육아출산지원책 어디까지면 가능하다고 생각하시나요? 7 나코나코나 21/02/06 4051 0
10977 법률옛날에 떼인 돈을 못받은 경우 8 Edge 21/02/06 4260 0
10978 기타와인 페어링 기깔난 곳 추천해주세요 6 망손꽝손 21/02/07 4660 0
10980 기타화곡 마포 은평 쪽에 괜찮은 뷔페 있을까요? 1 오쇼 라즈니쉬 21/02/07 4533 0
10981 기타OO선배라는 표현을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나요? 17 이그나티우스 21/02/07 5575 0
10983 여행제주도 장기 여행시 효과적인 교통수단은? 14 소원의항구 21/02/07 4386 0
10984 기타[책 찾음]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과학적인 방법론으로 학습 메카니즘을 밝히고 최적의 학습 방법을 제안하는 책이 있나요? 8 21/02/07 4429 0
10985 의료/건강매일매일 짜증 내는것도 병일까요? 6 [익명] 21/02/08 3542 0
10986 진로인턴 가는게 좋을까요? 21 쿠팡 21/02/08 5012 0
10987 IT/컴퓨터진지하게 게임/서적 등이 온라인 다운로드가 더 싸지 않은 이유 9 불타는밀밭 21/02/08 3957 0
10988 경제연말정산 질문입니다 7 [익명] 21/02/08 4505 0
10989 연애남사친 많은 썸녀, 어떻게 해야할까요. 25 [익명] 21/02/08 12858 0
10990 경제이사 고민... 어느 방향을 추천하시나요?? 13 [익명] 21/02/08 4441 0
10991 가정/육아설날에 가족 모임 어떻게 대처하는게 가장 현명할까요?? 7 [익명] 21/02/08 3833 0
10992 기타강남이나 강북 - 샤오미 어메이즈핏빕 충전기 필요 - 구했어요. 3 [익명] 21/02/09 3569 0
10993 기타장딴지 질문입니다 4 김치찌개 21/02/09 4133 0
10994 IT/컴퓨터갤럭시 알파 vs 서피스 프로 7 10 Dr.Pepper 21/02/09 5064 0
10995 교육나이 들어서 외국어를 공부할때 언어 능력의 한계 37 토끼모자를쓴펭귄 21/02/09 5035 0
10996 법률자녀 대상 증여 질문입니다 13 EuropaV 21/02/09 4613 0
10997 기타차.. 타고 댕기는 차를 사고 싶습니다. 17 4월이야기 21/02/09 3459 0
10998 IT/컴퓨터알고리즘 질문드립니다. 호타루 21/02/09 411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