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2/18 16:02:43
Name   [익명]
Subject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2년전 아파트를 구매하였고 전세를 줬습니다. 내년 22년 초에 입주할 예정입니다.
그렇게 관심 끄고 살다가 얼마전 보니 작년(20년) 8월에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한것 같더군요.
바로 옆의 역 아파트들이 재건축 사업이 확정되고 진행되다보니 아마 제가 들어갈 아파트도 추진을 하는것 같습니다.


1.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고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확정되기 까지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약 20년 된 아파트라 리모델링이건 재건축이건 뭐가 될거같긴한데, 이번에 실패하더라도 10년 안에는 결국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이 되려나요?


2.
확정이 된 이후에는 다른 곳으로 전세가서 살아야 할텐데, 듣자하니 2~4년 정도 시간이 걸린다는데 맞는건가요?


3.
리모델링 사업이 완료가 된 이후에 평당 200~400 만원을 내야 한다던데 뭐가 맞는건가요?


4.
저는 딱히 아파트 가격 상승 없이 오랫동안 살 목적으로 매입한건데.
리모델링이 되는게 좋은건가요? 돈만 더 나갈거 같은데.....



0


다람쥐
1. 기약없을수도 있고 추진이 잘 될수도 있습니다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 더 보기
1. 기약없을수도 있고 추진이 잘 될수도 있습니다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도 드는게 보통입니다.
4. 1번 대답과 비교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면 재건축을 하지 리모델링을 하지 않습니다.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인지요? 주변에 신축 대단지가 많은데 이 아파트가 너무 후지면 전세가도 낮으니까 리모델링 하면 주변 신축 대단지의 전세가 상승에 힘입어 전세가나 매매가가 좀 올라가기를 기대할 수도 있고 실제로 거주할 때에도 훨씬 좋은 시설에서 살 수 있으니 그런 것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세대당 1억을 부담한다는 것이 큰 부담일 수 있죠.
리모델링으로 인한 재산가치가 1억 이상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것이라 보입니다.
3
[글쓴이]
580세대 정도 살고있는 단지입니다. 용인쪽인데 수지 풍덕천동에 몇몇 단지가 리모델링 진행이 되니 작년부터 따라서 상현동 쪽에서 진행하는 것 같습니다 (제가 상현쪽)

고민되는건 내년에 이사 들어갈때 인테리어를 신경써서 돈좀 들여서 하고 입주하려고 했었거든요...
입주하고 10~15년 정도는 충분히 살거라고 생각하고 있는데 큰돈들여서 인테리어 했다가 5년도 못살고 인테리어 사업이 덜컥 잘 되버리면 입주할때 인테리어 안하느니만 못할것 같아서 고민이 되었습니다..

전문적인 답변 감사합니다!
하우두유두
개인적 사견으로는 5년내에는 진행이 잘안될것같습니다.. 10년 15년도 안될가능성이 많습니다..
맥주만땅
- 20년된 아파트인데 무엇이 부족해서 리모델링을 하려는지가 중요합니다.

- 저층아파트도 아니고, 중층 이상일 가능성이 높은데 재건축가능성은 높지 않을 겁니다. 다람쥐님이 20년 뒤라고 하였는데, 저는 30년 뒤 봅니다.

- 솔직히 리모델링은 권하지 않습니다. 용인에서 리모델링한다고 해서 새아파트 취급 받기도 어려울 것이고, 단지 평수만 넓히려고 하는 것 이라면 그 돈으로 큰 평수 이사가는 것이 나을 겁니다.

- 20년된 아파트에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면, 개인적으로는 사기꾼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리모델링한다고 돈은 드는데 리모델링은 못하는 그런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3
저희 부모님 용인 수지이신데, 수지 1지구가 입주 20년이 넘으면서 리모델링 추진 많이 하지만, 언제 될지 모릅니다.
꿀래디에이터
리모델링 조합만들고 건설업체 불러서 설명회까지 들은 아파트 소유자였습니다
'였다'는 것은 팔고 나왔다는 건데요

제 예상대로 리모델링에도 신축처럼 이익환수 들어가더군요
현 정부 하에서는 어떤 방법이라도 개인들이 이익보는 꼴은 못보게 할 거라는 예상입니다.
천사의미소
리모에 초과이익환수가 있다구요??
소노다 우미
네. 초과이익환수가 곧 생긴다는 이야기는 있습니다. 아마 지금 리모 추진하는 곳들의 추진속도보다 빠르지 않을까 하긴 합니다 -.-
꿀래디에이터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2/16/2021021600127.html

이름은 초과이익환수가 아니지만
결국 집주인들이 이익 가져가는꼴은 못보겠다는 결론이 나올걸로 예상합니다
엉뚱한 리모델링...수상하다
천사의미소
20년된 단지 리모는 솔직히 뭔가 수상하고..재건축 안되서 리모로 선회하는 케이스가 보통인듯합니다
나코나코나수정됨
제가 사는 지역이 1기 신도시라 리모델링 붐이 있는데 25년 되자마자 추진한 아파트들 중에 사업 완료 된 두어개 있고
리모델링 + 평수 넓힘 효과 + 현 정부 아파트 폭등까지 합쳐져서 참여한 사람들은 어마어마하게 이득봤습니다.

그거 보고 동시다발적으로 리모델링 바람이 불었는데 윗분 말씀하신 초과이익환수 때문에 지금은 좀 짜게 식은 상태입니다.
존보글
그동네면 리모델링 하는 척하면서 아파트 가격 올라가는게 중요한 거지, 실제로 리모델링 들어가는게 더 안 좋을 겁니다.

1기 신도시랑은 또 다른게 거기 아파트들은 용적률 기본이 240 뭐 이러더만요. 할 놈들은 이미 다 해버렸구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201 경제신용점수와 대출 질문입니다. 2 [익명] 21/03/17 4278 0
11196 경제어느 지역에 집을 사야 할까요? 12 [익명] 21/03/17 4228 0
11192 경제경제적 자유를 위해 필요한 월 소득 수준(?) 21 쿠팡 21/03/16 4597 0
11190 경제아파트 분양권 구매시 대출 4 물냉과비냉사이 21/03/16 4900 0
11183 경제외국의 외주수입 달러는 어떻게 받아야 할까요? 21 흑마법사 21/03/15 7186 0
11151 경제청약저축 자동이체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2 이담아담 21/03/08 3081 0
11128 경제경제신문 추천좀 해주세요 9 오디너리안 21/03/03 4303 0
11111 경제기업이 국가 혹은 지역을 매입한 사례가 있나요? 51 Curic 21/02/28 5676 0
11106 경제할부로 자동차 구입하는 방법 6 [익명] 21/02/26 3609 0
11100 경제남자 의상 온라인쇼핑몰 공유 부탁드립니다! 9 DogSound-_-* 21/02/25 4839 0
11082 경제주식하는 분들 뉴스 어디서 보시나요? 6 [익명] 21/02/21 4793 0
11063 경제내년 초까지 ETF 괜찮을까요? 4 [익명] 21/02/19 3575 0
11061 경제투기과열지구 조정지역 질문입니다. 4 [익명] 21/02/18 3841 0
11060 경제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13 [익명] 21/02/18 4355 0
11051 경제인버스 ETF의 이론상 최대 수익률 3 아침커피 21/02/17 4968 0
10990 경제이사 고민... 어느 방향을 추천하시나요?? 13 [익명] 21/02/08 4387 0
10988 경제연말정산 질문입니다 7 [익명] 21/02/08 4460 0
10958 경제주택담보 생활안정자금대출질문입니다. 5 [익명] 21/02/04 4814 0
10946 경제변액연금보험 가입했는데요 11 [익명] 21/02/02 3545 0
10943 경제전세냐 월세냐의 선택 (집주인 입장에서) 20 [익명] 21/02/02 3701 0
10923 경제로빈후드가 투자자 주식 강제매도했다는게 사실인가요? 12 지나가던선비 21/01/29 5608 0
10907 경제전세계약 만료시 집주인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9 [익명] 21/01/27 7060 0
10901 경제엘지폰 벨벳 질문드립니다 20 DogSound-_-* 21/01/25 3928 0
10898 경제균등 분배 방식의 IPO 참여 관련.. 3 [익명] 21/01/25 3345 0
10875 경제전세집 전세확정일 문제(마음이 타들어갑니다) 7 [익명] 21/01/21 468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