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18 16:02:43 |
Name | [익명] |
Subject |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에 대해 궁금합니다. |
2년전 아파트를 구매하였고 전세를 줬습니다. 내년 22년 초에 입주할 예정입니다. 그렇게 관심 끄고 살다가 얼마전 보니 작년(20년) 8월에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한것 같더군요. 바로 옆의 역 아파트들이 재건축 사업이 확정되고 진행되다보니 아마 제가 들어갈 아파트도 추진을 하는것 같습니다. 1. 아파트 리모델링 사업을 추진하고 본격적으로 이야기가 확정되기 까지는 얼마나 시간이 걸리나요? 약 20년 된 아파트라 리모델링이건 재건축이건 뭐가 될거같긴한데, 이번에 실패하더라도 10년 안에는 결국 리모델링이나 재건축이 되려나요? 2. 확정이 된 이후에는 다른 곳으로 전세가서 살아야 할텐데, 듣자하니 2~4년 정도 시간이 걸린다는데 맞는건가요? 3. 리모델링 사업이 완료가 된 이후에 평당 200~400 만원을 내야 한다던데 뭐가 맞는건가요? 4. 저는 딱히 아파트 가격 상승 없이 오랫동안 살 목적으로 매입한건데. 리모델링이 되는게 좋은건가요? 돈만 더 나갈거 같은데..... 0
|
1. 기약없을수도 있고 추진이 잘 될수도 있습니다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 더 보기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 더 보기
1. 기약없을수도 있고 추진이 잘 될수도 있습니다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도 드는게 보통입니다.
4. 1번 대답과 비교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면 재건축을 하지 리모델링을 하지 않습니다.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인지요? 주변에 신축 대단지가 많은데 이 아파트가 너무 후지면 전세가도 낮으니까 리모델링 하면 주변 신축 대단지의 전세가 상승에 힘입어 전세가나 매매가가 좀 올라가기를 기대할 수도 있고 실제로 거주할 때에도 훨씬 좋은 시설에서 살 수 있으니 그런 것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세대당 1억을 부담한다는 것이 큰 부담일 수 있죠.
리모델링으로 인한 재산가치가 1억 이상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것이라 보입니다.
보통 재건축이 기대되는 곳은 리모델링 안하고 존버해서 재건축하려 합니다. 세대수가 적어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데, 주변에 신축대단지가 많을 때 주변 아파트에 비해 사양이 너무 딸리니 리모델링이라도 하려고 하고요
지금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는 것은 재건축이 기대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므로 리모델링이 된다고 하면 10년이겠지만, 재건축이 진행되려면 지금부터 20년정도 되어야 하지 않을까 추측해봅니다.
2. 이주 후 2~4년정도 걸립니다
3. 평당 200만원~400만원 정도 드는게 보통입니다.
4. 1번 대답과 비교해보시면 되겠습니다. 재건축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면 재건축을 하지 리모델링을 하지 않습니다.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인지요? 주변에 신축 대단지가 많은데 이 아파트가 너무 후지면 전세가도 낮으니까 리모델링 하면 주변 신축 대단지의 전세가 상승에 힘입어 전세가나 매매가가 좀 올라가기를 기대할 수도 있고 실제로 거주할 때에도 훨씬 좋은 시설에서 살 수 있으니 그런 것을 기대할 수도 있습니다만, 말씀하신대로 세대당 1억을 부담한다는 것이 큰 부담일 수 있죠.
리모델링으로 인한 재산가치가 1억 이상이 예상될 때 할 수 있는 것이라 보입니다.
- 20년된 아파트인데 무엇이 부족해서 리모델링을 하려는지가 중요합니다.
- 저층아파트도 아니고, 중층 이상일 가능성이 높은데 재건축가능성은 높지 않을 겁니다. 다람쥐님이 20년 뒤라고 하였는데, 저는 30년 뒤 봅니다.
- 솔직히 리모델링은 권하지 않습니다. 용인에서 리모델링한다고 해서 새아파트 취급 받기도 어려울 것이고, 단지 평수만 넓히려고 하는 것 이라면 그 돈으로 큰 평수 이사가는 것이 나을 겁니다.
- 20년된 아파트에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면, 개인적으로는 사기꾼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리모델링한다고 돈은 드는데 리모델링은 못하는 그런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 저층아파트도 아니고, 중층 이상일 가능성이 높은데 재건축가능성은 높지 않을 겁니다. 다람쥐님이 20년 뒤라고 하였는데, 저는 30년 뒤 봅니다.
- 솔직히 리모델링은 권하지 않습니다. 용인에서 리모델링한다고 해서 새아파트 취급 받기도 어려울 것이고, 단지 평수만 넓히려고 하는 것 이라면 그 돈으로 큰 평수 이사가는 것이 나을 겁니다.
- 20년된 아파트에 리모델링 이야기가 나오면, 개인적으로는 사기꾼이 붙어 있을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 리모델링한다고 돈은 드는데 리모델링은 못하는 그런 가능성도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http://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1/02/16/2021021600127.html
이름은 초과이익환수가 아니지만
결국 집주인들이 이익 가져가는꼴은 못보겠다는 결론이 나올걸로 예상합니다
이름은 초과이익환수가 아니지만
결국 집주인들이 이익 가져가는꼴은 못보겠다는 결론이 나올걸로 예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