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19 12:09:05 |
Name | [익명] |
Subject | 제가 제머리를 때려요.. |
큰애기가 낮잠을 안자던 돌쯤부터 한동안 제가 제 머리를 세게 때리는 일이 종종 있었어요. 다 제일인데 당시는 너무 힘들어서 애기한테 화도 나고 애기한테 화가나는 제가 너무 미친거 같아 화장실가서 머리 때리고 순간 어질할때까지 자학했거든요. 한동안 그짓을 하다 서서히 안하게됐는데 요며칠 다시 또 그러네요. 애기아빠한테는 말못하겠고 병원은 더더욱 갈 생각도 못하겠구요. 다만 그때랑 다른건 하지말아야지 생각이 그때보다 빨리 들어서 덜 때리네요. 익명으로 쓰고 싶어서 질게에 남겼어요. 그냥 하지말라고 해주세요. 문제가 되는 글이면 삭게로 옮겨주세요. 죄송합니다 ㅠㅠ 0
|
육아는 미칠 것 같이 힘든 게 맞으니 자학 자책하지 마셔요 ㄷㄷ
그리고 정신건강의학과도 특별히 엄청난 곳이 아니라 그냥 감기로 내과 가시듯 들르실 수 있는 곳입니다.
약 처방받아 드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그리고 정신건강의학과도 특별히 엄청난 곳이 아니라 그냥 감기로 내과 가시듯 들르실 수 있는 곳입니다.
약 처방받아 드시면 도움이 많이 될 겁니다.
산후 우울증, 출산 후 스트레스는 누구는 겪고 누구는 안 겪는게 아니라 모두가 겪는거 같습니다.
고생 많으세요. 그래도 그 스트레스를 타인한테 안 푸는 것만 해도 이미 훌륭한 인성을 갖추신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심호흡 하시고, 진정하시고, 전문가분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걸 권합니다.
혼자서 끙끙대던 일들도 전문가의 말 몇마디와 간단한 처방으로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도 육아 때문에 많이 힘들어 봤고, 저보다 훨씬 더 힘들었던 와이프를 곁에서 보면서 살아 왔지만
결국 이 시간 지나면 다 괜찮아질거에요. 그러니 자책하지 마시고, 자학하지 마시고, 꼭 상담 받아보세요.
고생 많으세요. 그래도 그 스트레스를 타인한테 안 푸는 것만 해도 이미 훌륭한 인성을 갖추신 분이라고 생각합니다.
심호흡 하시고, 진정하시고, 전문가분에게 상담을 받아보시는걸 권합니다.
혼자서 끙끙대던 일들도 전문가의 말 몇마디와 간단한 처방으로 쉽게 해결될 수 있다고 생각해요.
저도 육아 때문에 많이 힘들어 봤고, 저보다 훨씬 더 힘들었던 와이프를 곁에서 보면서 살아 왔지만
결국 이 시간 지나면 다 괜찮아질거에요. 그러니 자책하지 마시고, 자학하지 마시고, 꼭 상담 받아보세요.
두 아이 돌보시느라 물리적 정신적 여유도 없으셔서 더욱 힘드시겠어요. 그렇지만 선생님이 계셔서 사랑스러운 아기들도 세상에 난 것인데 ... 상황이 여의치는 않지만 '그럼에도' 선생님이 최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적어도 머리를 때릴 정도의 스트레스가 사라지기 전까지는요.
막상 병원을 가려고 해도 쉽지가 않지요. '나와 잘 맞는 의사 선생님' 찾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더라고요. 선생님께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들과 ㅡ 제일 가까운 남편 분이든, 선생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 분이든, 아기들을 맡아주실 수 있는 시터 이... 더 보기
막상 병원을 가려고 해도 쉽지가 않지요. '나와 잘 맞는 의사 선생님' 찾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더라고요. 선생님께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들과 ㅡ 제일 가까운 남편 분이든, 선생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 분이든, 아기들을 맡아주실 수 있는 시터 이... 더 보기
두 아이 돌보시느라 물리적 정신적 여유도 없으셔서 더욱 힘드시겠어요. 그렇지만 선생님이 계셔서 사랑스러운 아기들도 세상에 난 것인데 ... 상황이 여의치는 않지만 '그럼에도' 선생님이 최우선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적어도 머리를 때릴 정도의 스트레스가 사라지기 전까지는요.
막상 병원을 가려고 해도 쉽지가 않지요. '나와 잘 맞는 의사 선생님' 찾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더라고요. 선생님께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들과 ㅡ 제일 가까운 남편 분이든, 선생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 분이든, 아기들을 맡아주실 수 있는 시터 이모님이든 ㅡ 이 문제를 먼저 공유해보심이 어떠신지.
혼자 이고 가려면 모든 것이 너무 힘겹습니다. 도움을 줄 전문가를 찾아가는 여정 또한 쉽지 않은 거라, 우선 마음을 열어놓을 주변 분들께 이 게시판에서처럼 말을 걸어보세요.
선생님을 응원합니다!
막상 병원을 가려고 해도 쉽지가 않지요. '나와 잘 맞는 의사 선생님' 찾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더라고요. 선생님께 도움을 주실 수 있는 분들과 ㅡ 제일 가까운 남편 분이든, 선생님 마음을 나눌 수 있는 친구 분이든, 아기들을 맡아주실 수 있는 시터 이모님이든 ㅡ 이 문제를 먼저 공유해보심이 어떠신지.
혼자 이고 가려면 모든 것이 너무 힘겹습니다. 도움을 줄 전문가를 찾아가는 여정 또한 쉽지 않은 거라, 우선 마음을 열어놓을 주변 분들께 이 게시판에서처럼 말을 걸어보세요.
선생님을 응원합니다!
어려운 이야기인데 글 쓰신 것 ..토탁토닥해드리고 싶습니다.
한참 힘드신때인데도, 이렇게 말로 이야기하실 수 있으시니 벌써 한걸음 좋아지시는 길로 내디디신것 같아요.
머리를 때리지 마시라 하기에 앞서서, 속상한 것들, 여러 이야기 들어드릴 수 있으니 혹시 괜찮으시면 (선생님 비밀보장 ^^ 아시지요?) 제가 다행히도 시간이 되니 쪽지 주셔도되고요.
아니면, 다른 주윗분, 상담선생님, 의사선생님께 도움을 청하셔도 되고요. 차근차근 육아에 지치신, 건강한 힘을 다시 얻는 방법을 모색하다보시면 좋아지실꺼에요. 푹 쉬시고 잘 주무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나면 힘이 좀 더 나시고 괜찮아지실꺼에요.
힘내세요!
한참 힘드신때인데도, 이렇게 말로 이야기하실 수 있으시니 벌써 한걸음 좋아지시는 길로 내디디신것 같아요.
머리를 때리지 마시라 하기에 앞서서, 속상한 것들, 여러 이야기 들어드릴 수 있으니 혹시 괜찮으시면 (선생님 비밀보장 ^^ 아시지요?) 제가 다행히도 시간이 되니 쪽지 주셔도되고요.
아니면, 다른 주윗분, 상담선생님, 의사선생님께 도움을 청하셔도 되고요. 차근차근 육아에 지치신, 건강한 힘을 다시 얻는 방법을 모색하다보시면 좋아지실꺼에요. 푹 쉬시고 잘 주무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나면 힘이 좀 더 나시고 괜찮아지실꺼에요.
힘내세요!
일단은 상담을 좀 받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정신과도 물론 좋지만 육아로 인한 스트레스가 행동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보니 거주하시는 곳 인근 육아종합지원센터나 건강가정지원센터에서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다른 것 보다 너무 스스로를 자책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근 본인이 겪고 계시는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고자 이런 글도 남기신거니 정말 잘하고 계신겁니다. 힘내세요!
그리고 다른 것 보다 너무 스스로를 자책하시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지근 본인이 겪고 계시는 어려움을 스스로 극복하고자 이런 글도 남기신거니 정말 잘하고 계신겁니다. 힘내세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