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4/25 02:11:24 |
Name | [익명] |
Subject | 부모님 부양은 어느 선까지 해야할까요 |
제가 열살 정도일 때 부모님이 이혼하시고, 어머니께서 혼자 절 키우셨습니다. 직업이 있으시긴 했지만 급여가 거의 없는 명예직 같은 거여서, 고정 수입 없이 그냥 집을 줄여오며 생활하셨고, 현재 60대 초반이신데 이제는 제가 생활비를 100% 지원해 드려야 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부터 나중에 월300씩 30년간 대라는 말씀을 지나가듯 몇 번 하신 적이 있어서 제가 놀란 적이 있는데, 고생해서 훌륭하게 키워주셨고 노후 대책이 없으니 자식이 알아서 그리 해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고소득자라서 스트레스 받지 않고 넉넉히 지원을 해드릴 수 있으면 물론 좋겠지만, 대학원 진학으로 일을 늦게 시작한 편이라 현재는 독립하여 제 생활하고, 미래를 위한 저축을 좀 하고나면 그리 여유로운 상황은 아닙니다. 다만 제가 프리랜서라 일을 늘리기 위해,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프로젝트까지 맡는다면 월 150정도는 지원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근데 이제 시작인데요. 제가 이 지원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겁도 나고, 생각만으로도 벌써 마음이 좀 무겁고 지칩니다. 참고로 현재 저는 아직 미혼이고, 외동이라 상의하거나 부양의 책임을 나눌 형제는 없습니다. 제 삶과 행복도 지키면서, 도리도 하고 싶은데 익명의 힘을 빌어서 조언이 될 만한 그 어떤 말씀이라도 귀담아 듣고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
국민연금은 기존에 한번만이라도 납부하셨으면 가능할텐데...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 더 보기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 더 보기
국민연금은 기존에 한번만이라도 납부하셨으면 가능할텐데...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1,480,000원, 부부가구의 경우 2,368,000원 이하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 기초노령연금 지급액 150% 이상인 경우 기초노령 연금 수급액이 줄어들 수 있음
기초노령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금씩 변동됩니다.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지급되는 급액은 일반수급자의 경우 월 최대 254,760원이고, 저소득수급자는 월 최대 300,000원입니다.
본인 또는 배우자가 직역연금 수급자라면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에서 제외됨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1,480,000원, 부부가구의 경우 2,368,000원 이하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 기초노령연금 지급액 150% 이상인 경우 기초노령 연금 수급액이 줄어들 수 있음
기초노령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금씩 변동됩니다.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지급되는 급액은 일반수급자의 경우 월 최대 254,760원이고, 저소득수급자는 월 최대 300,000원입니다.
본인 또는 배우자가 직역연금 수급자라면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에서 제외됨
이미 지원해 드리고 계시나요? 함께 살고 계시는건지 등등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서 일반화하기 어려운듯합니다.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 더 보기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 더 보기
이미 지원해 드리고 계시나요? 함께 살고 계시는건지 등등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서 일반화하기 어려운듯합니다.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어보입니다만...(무척 계산적이긴합니다만) 물론 소득이 더 적더라도 그래도 내 맘에 부담 없고 가능하다면 100,200 드릴수도 있겠구요.
보통 오래 꾸준히 드리는분들 경우는..
현실적으로 조금 부족하다싶게 드리고 남는돈을 부모님 병원비 노후비용으로 저축 투자 등에 두시고 큰 돈이 필요할때 가끔 그 돈에서 목돈 칠순생신 이럴때..드리면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이렇게 어머니 생각하시는 분이시니, 어머니도 아실꺼에요. 효심이 가득하신글에 .. 그 만큼 마음이 못한 사람이 보태니 참고만 하시길..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어보입니다만...(무척 계산적이긴합니다만) 물론 소득이 더 적더라도 그래도 내 맘에 부담 없고 가능하다면 100,200 드릴수도 있겠구요.
보통 오래 꾸준히 드리는분들 경우는..
현실적으로 조금 부족하다싶게 드리고 남는돈을 부모님 병원비 노후비용으로 저축 투자 등에 두시고 큰 돈이 필요할때 가끔 그 돈에서 목돈 칠순생신 이럴때..드리면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이렇게 어머니 생각하시는 분이시니, 어머니도 아실꺼에요. 효심이 가득하신글에 .. 그 만큼 마음이 못한 사람이 보태니 참고만 하시길..
대학 졸업 후 일하면서 같이 살 때 먼저 말씀을 하셔서 몇년간 생활비 100~150정도를 드렸고, 제가 대학원 진학하고 독립하면서부터는 지원을 끊었습니다. 근데 제가 졸업하고 취직할 때까지 그냥 극도로 아끼면서 버티신 거 같아요. 지금은 제가 안 드리면 생활이 안 되는 상황이 온 거 같고,저도 한창 일할 시기이니 드리는 게 맞겠지요. 말씀하신대로 생활이 가능하실만큼 제가 좀 부족하다싶게 드리고, 저축을 어느 정도 해두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저를 위해서도 모아야하고, 나중에 진짜 치료비로 목돈이 나갈 수도 있으니까요.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