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4/25 02:11:24
Name   [익명]
Subject   부모님 부양은 어느 선까지 해야할까요
제가 열살 정도일 때 부모님이 이혼하시고, 어머니께서 혼자 절 키우셨습니다. 직업이 있으시긴 했지만 급여가 거의 없는 명예직 같은 거여서, 고정 수입 없이 그냥 집을 줄여오며 생활하셨고, 현재 60대 초반이신데 이제는 제가 생활비를 100% 지원해 드려야 하는 상황인 것 같습니다. 제가 어렸을 때부터 나중에 월300씩 30년간 대라는 말씀을 지나가듯 몇 번 하신 적이 있어서 제가 놀란 적이 있는데, 고생해서 훌륭하게 키워주셨고 노후 대책이 없으니 자식이 알아서 그리 해주면 좋겠다는 희망사항이라는 생각이 들고요. 고소득자라서 스트레스 받지 않고 넉넉히 지원을 해드릴 수 있으면 물론 좋겠지만, 대학원 진학으로 일을 늦게 시작한 편이라 현재는 독립하여 제 생활하고, 미래를 위한 저축을 좀 하고나면 그리 여유로운 상황은 아닙니다. 다만 제가 프리랜서라 일을 늘리기 위해, 별로 하고 싶지 않은 프로젝트까지 맡는다면 월 150정도는 지원 가능할 것 같습니다. 근데 이제 시작인데요. 제가 이 지원을 언제까지 유지할 수 있을지 겁도 나고, 생각만으로도 벌써 마음이 좀 무겁고 지칩니다. 참고로 현재 저는 아직 미혼이고, 외동이라 상의하거나 부양의 책임을 나눌 형제는 없습니다. 제 삶과 행복도 지키면서, 도리도 하고 싶은데 익명의 힘을 빌어서 조언이 될 만한 그 어떤 말씀이라도 귀담아 듣고 싶어서 글 올려봅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0


Brown&Cony
정확히 어떤일을 하시고 어떤 커리어를 가지고 싶으신지 모르는 상황이라.. 정확한 답변은 어려울수 있습니다.
그래도 하기싫은일까지 해서 무리해서 지원하시진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렇게 부모님 지원해봤자 까딱하다간 글쓴님도 부모님 원망하는 마음이 생길지도 모르구요.
차라리 자기계발을 통해 커리어를 발전시켜 나간다면, 나중에 더 큰걸 해줄 수 있겠죠?
그게 건강한 모습의 효도일것 같구요.
[글쓴이]
그런데 당장 은행에 잔고가 없으시고, 생활비가 필요하시니 어쩔 수 없지 않나 이런 생각이 듭니다. 그리고 제가 공부하는 동안 지원 못해드린 데 대한 원망의 마음을 이미 가지고 계신 거 같아요.

저는 사실 개인사업을 준비중이어서 자본을 만들어야 하는 시기인데, 그게 잘 된다는 보장이 없으니 커리어적으로 그냥 회사 취직 또는 기존에 하던 일을 좀 더 무리해서 늘리는 쪽으로 해야하나...이런저런 고민에 씁쓸한 주말을 보냈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주식하는 제로스
1인 최저생계비가 109만원이네요.
150이면 도리는 다 하고 계시는것 같고
필요한경우 수입의 20% 정도 선을 생각합니다.

십일조라는데 부모님은 십이조는 할만하지 않나 그정도 대강 감입니다..
[글쓴이]
150이면 이미 수입의 20프로가 넘습니다. ㅎㅎ 답변 감사합니다.
어머니께서 아예 일을 못하실 상황이신가요?
어느정도 본인 노력도 필요하지 않을까요?
저는 50-100사이에서 드릴 듯.
나중에 결혼하고도 지속가능하지 않으면 어머님께서 결혼을 반기지 않으실 듯 합니다.
[글쓴이]
일은 못하실 거 같아요. 몇 년 전부터 즐겁게 하실 수 있는 소일거리 찾아보시라고 권했는데, 그때마다 아프시다고 하고 일 하시라는 소리를 섭섭하게 들으셨어요. 지금은 그 때보다 연세도 더 드시고, 여기저기 아프셔서 건강 관리를 잘 하시는 편이 추후 지출을 아낄 수 있는 부분 아닐까 싶습니다. 저도 미혼일 때는 모르지만, 결혼하고 나서가 걱정이 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콜라콜라니콜라수정됨
저도 비슷한 상황인데 흙수저의 운명인 것 같습니다
전 처가도 비슷한 상황이라 하하하하

뭐 어쩌겠습니까 고려장마냥 부모 버릴꺼 아니면 힘 닿는데까지 부양해야죠 ㅠㅠ

일단 60초반이시면 조기 국민연금수령 신청가능하시니 그걸로 월 30~40 받게해보세요
저 같은 경우는 미납 국민연금 목돈 납입 시켜드려서 그거 받게하시고
노인 연금 10~20 정도 받게 해드렸습니다

+ 공공근로 같은거 하게 하시면 월 100 수입은 되지 않으려나요
[글쓴이]
그간 수입이 없으셨기 때문에, 국민연금을 납부하신 적이 없고, 그리하여 노인 연금은 해당되지 않을 거 같네요. 노년층이 할 수 있는 공공근로라고 하면 몸을 쓰는 일이 아닐까 싶은데, 좀만 무리하셔도 금방 여러 증세를 호소하시기 때문에 무리이지 싶어요. 답변 감사합니다.
콜라콜라니콜라
국민연금은 기존에 한번만이라도 납부하셨으면 가능할텐데...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 더 보기
국민연금은 기존에 한번만이라도 납부하셨으면 가능할텐데...
지금이라도 어디 알바로 한달 국민연금 가입해보심이
https://investpension.miraeasset.com/contents/view.do?idx=13142



기초노령연금은 65세 이상이면 받을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증에 기재된 생년월일 기준, 만 65세 이상
대한민국에 거주하는 자
단독가구의 경우 2020년 기준 소득인정액이 1,480,000원, 부부가구의 경우 2,368,000원 이하
국민연금 수령액이 기준 기초노령연금 지급액 150% 이상인 경우 기초노령 연금 수급액이 줄어들 수 있음

기초노령연금은 매년 물가상승률을 반영해 조금씩 변동됩니다. 2020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지급되는 급액은 일반수급자의 경우 월 최대 254,760원이고, 저소득수급자는 월 최대 300,000원입니다.
본인 또는 배우자가 직역연금 수급자라면 기초노령연금 수급자격에서 제외됨
이미 지원해 드리고 계시나요? 함께 살고 계시는건지 등등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서 일반화하기 어려운듯합니다.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 더 보기
이미 지원해 드리고 계시나요? 함께 살고 계시는건지 등등 개개인마다 처한 상황이 달라서 일반화하기 어려운듯합니다.

보통 장성한 자녀들이 부모님 챙겨드릴때..
돈을 점점 늘려서 드리는것은 가능하나 줄여 드리는건 잘 안되거든요.

이기적일수도 있겠지만..
참 자식으로 면목없지만 예를 든다면 매달 50만원을 한번도 빠지지 않고 꾸준히 드리는것은 소득을 막론하고 아주 힘들고 대단한거라고 봅니다. 현실적으로 연봉이 1억 이상되시고 실수령액이 700만원 정도 가져오실수 있고 부채가 없으시다면 100만원 이상 드릴수 있으실듯 싶어보입니다만...(무척 계산적이긴합니다만) 물론 소득이 더 적더라도 그래도 내 맘에 부담 없고 가능하다면 100,200 드릴수도 있겠구요.

보통 오래 꾸준히 드리는분들 경우는..

현실적으로 조금 부족하다싶게 드리고 남는돈을 부모님 병원비 노후비용으로 저축 투자 등에 두시고 큰 돈이 필요할때 가끔 그 돈에서 목돈 칠순생신 이럴때..드리면 좋을듯합니다.

그리고 마음이 이렇게 어머니 생각하시는 분이시니, 어머니도 아실꺼에요. 효심이 가득하신글에 .. 그 만큼 마음이 못한 사람이 보태니 참고만 하시길..
[글쓴이]
대학 졸업 후 일하면서 같이 살 때 먼저 말씀을 하셔서 몇년간 생활비 100~150정도를 드렸고, 제가 대학원 진학하고 독립하면서부터는 지원을 끊었습니다. 근데 제가 졸업하고 취직할 때까지 그냥 극도로 아끼면서 버티신 거 같아요. 지금은 제가 안 드리면 생활이 안 되는 상황이 온 거 같고,저도 한창 일할 시기이니 드리는 게 맞겠지요. 말씀하신대로 생활이 가능하실만큼 제가 좀 부족하다싶게 드리고, 저축을 어느 정도 해두는 게 맞을 거 같습니다. 저를 위해서도 모아야하고, 나중에 진짜 치료비로 목돈이 나갈 수도 있으니까요. 답변 진심으로 감사드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802 가정/육아집 베란다에서 바퀴벌레가 나왔습니다 13 INFJ 21/06/29 8465 0
11798 가정/육아베이블레이드 공략집 이런거 있습니까? 3 하우두유두 21/06/28 3483 0
11788 가정/육아식기세척기 세제 추천 부탁드립니다 8 곰곰이 21/06/27 4193 0
11786 가정/육아기차놀이 세트 추천받아요 12 오쇼 라즈니쉬 21/06/26 4420 0
11777 가정/육아서울시내에서 회 먹으러 가는곳 있으신가요? 17 cummings 21/06/25 4133 0
11765 가정/육아벽에 못 박는 방법 24 [익명] 21/06/23 6007 0
11753 가정/육아주택 매매를 고민중인데, 어디로 가야할까요 21 [익명] 21/06/21 4334 0
11747 가정/육아결혼 전에 생각해봐야할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53 Jazz 21/06/20 3674 1
11744 가정/육아가사를 돕지 않는 배우자가 이혼 사유가 될까요? 7 [익명] 21/06/19 4102 0
11733 가정/육아아이가 잠들 때까지 1시간 반이 걸립니다. 스테로이드 부작용일까요? 58 망손꽝손 21/06/16 6592 0
11708 가정/육아카시트 사용하려면 SUV가 좋은가요? 20 리니시아 21/06/11 6708 0
11676 가정/육아된장찌개 끓이려고 합니다. 된장추천 15 방사능홍차 21/06/06 4872 0
11639 가정/육아초등생 저학년 자녀(여)에게 교양골프를 가르치는게 의미가 있을까요..? 21 [익명] 21/05/30 4391 0
11631 가정/육아에어프라이어 추천 부탁드립니다 9 와이 21/05/29 4335 0
11628 가정/육아부부가 자동차 한대로 같이 쓰시는 가정 있으신가요? 19 리니시아 21/05/29 4439 0
11625 가정/육아난초 화분 재활용 방법이 궁금합니다. 8 물냉과비냉사이 21/05/28 5016 0
11611 가정/육아15개월 아기 하원도우미 필요할까요? 23 네임넴 21/05/26 6344 0
11605 가정/육아성별이 반대인 자녀에 대한 특별한 마음은 어디서 오나요? 15 샨르우르파 21/05/25 4384 0
11588 가정/육아단백질보충제로 만드는 프로틴빵. 아기에게 괜찮을까요? 19 사이시옷 21/05/22 4678 0
11552 가정/육아임산부 선물 추천부탁드려요 3 헌혈빌런 21/05/17 4468 0
11520 가정/육아식기 세척기는 실제로 어떤가요? 40 늑대를불러야지 21/05/10 5091 0
11473 가정/육아2세 아기가 할만한 퍼즐 추천부탁드려요. 26 나루 21/05/02 4700 0
11446 가정/육아생강향 비누 추천 부탁드립니다 1 INFJ 21/04/28 4360 0
11430 가정/육아인천에 어르신 모시고 쉬어갈만한 곳이 있을까요 14 토비 21/04/26 6795 0
11419 가정/육아부모님 부양은 어느 선까지 해야할까요 11 [익명] 21/04/25 461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