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5/16 00:01:59수정됨 |
Name | whenyouinRome... |
Subject | 자영업vs회사원 여러분의 선택은??? |
안녕하세요. 십년째 자영업중인 로마입니다. 어제 일하다 현타가 와서 자영업에대한 멘탈이 터져버렸는데 문득 다른 분들은 어떻게 느끼실까 궁금해서 질문드려 봅니다. 선택하시고 이유도 간략히 적어주심 좋겠읍니답. 첫 조건이 자영업이 넘 안좋은거 같아서 추가로 좀 보탰습니다. 조건은 자영업 일을 나가면 무조건 하루 25만원 확보. 추가로 더 벌수도 있으나 덜 버는 일은 없음. 무조건 한달에 4일은 쉬어야함. 더 쉬고 싶으면 쉬는건 언제든 가능. 일을 나가면 일이 언제 끝날지는 모름. 한시간만에 끝날 수도 있고 열네시간이 걸릴수도 있음 오래한다고 추가 수당 붙는건 없음.일 강도는 중~강 3%의 확률로 as발생, 비용은 10~200까지 랜덤. 일찍 끝나면 추가로 일을 더해서 10~20정도를 더 벌수도 있고 일찍 들어와서 쉴 수 있음.( 한달에 10번정도의 이벤트가 있으나 할 지 말지는 본인 선택, 즉 최소 10일은 일이 오전 정도에 짧게 끝남) 은퇴시기는 본인 힘 닿는데 까지. 기술자들이 줄고있어 인건비가 앞으로 더 가파르게 상승할 여지가 높음. 회사원 9-6 혹은 8-5 선택 가능 야근 한달에 여섯번 세시간가량, 수당은 없음. 빨간날 다 쉼. 업무 강도 강 4대 보험 당연히 가입. 휴가비 나옴, 연말 성과급 나옴, 떡값 나옴. 그 외 중견기업 이상의 기본적인 복지 보장. 월급 세후 400 연봉 인상률은 물가 상승률과 동일.. 직장 상사나 동료와의 갈등은 일반적인 정도 퇴직은 요즘 일반적잇 기준인 오십대 중후반. 이 조건일때 어떤 선택을 하실거 같나요? 전 무조건 회사원..... 심지어 자영업도 저보단 좋은 조건인데 제 조건을 적으면 아무도 자영업 안 하실거같아서 좀 더 좋게 만들어봤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whenyouinRome...님의 최근 게시물 |
치과의사 친구랑 이거 가지고 계산해봤는데, 워라밸 / 복지조건 / 퇴직금 / 보험료 지원 / 안정성 등등을 고려해봤을때
자영업자는 회사원 보대 3배는 더 벌어야 (영업이익 기준) 동등한 수준인거 같다.. 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위 조건이면 당연히 회사원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자영업자는 회사원 보대 3배는 더 벌어야 (영업이익 기준) 동등한 수준인거 같다.. 는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위 조건이면 당연히 회사원이 좋다고 생각됩니다.
와 이거 보니 이직 생각하는 제가 배부른거 같기도 하네요.
9-6를 넘어서 선택근로제. 월 영엽일이 20일이면 160시간을 유동적 사용 가능. (하루에 핵심 근로시간 4시간은 반드시 포함)
야근은 케바케지만 평시에는 한달 1-2번
빨간날 + 한달에 하루는 반차
업무강도 약
돈은 성과급만 나옴. 약 200%?
월급 세후 300중반
주변에 빌런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람들 성격은 진짜 좋음.
50넘어 퇴직 하는 사람은 못 봤지만 가능은 할듯 함. 아직 사람들 나이가 안차서 ;;
그래도 돈독이 올라서 기본 연봉 ... 더 보기
9-6를 넘어서 선택근로제. 월 영엽일이 20일이면 160시간을 유동적 사용 가능. (하루에 핵심 근로시간 4시간은 반드시 포함)
야근은 케바케지만 평시에는 한달 1-2번
빨간날 + 한달에 하루는 반차
업무강도 약
돈은 성과급만 나옴. 약 200%?
월급 세후 300중반
주변에 빌런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람들 성격은 진짜 좋음.
50넘어 퇴직 하는 사람은 못 봤지만 가능은 할듯 함. 아직 사람들 나이가 안차서 ;;
그래도 돈독이 올라서 기본 연봉 ... 더 보기
와 이거 보니 이직 생각하는 제가 배부른거 같기도 하네요.
9-6를 넘어서 선택근로제. 월 영엽일이 20일이면 160시간을 유동적 사용 가능. (하루에 핵심 근로시간 4시간은 반드시 포함)
야근은 케바케지만 평시에는 한달 1-2번
빨간날 + 한달에 하루는 반차
업무강도 약
돈은 성과급만 나옴. 약 200%?
월급 세후 300중반
주변에 빌런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람들 성격은 진짜 좋음.
50넘어 퇴직 하는 사람은 못 봤지만 가능은 할듯 함. 아직 사람들 나이가 안차서 ;;
그래도 돈독이 올라서 기본 연봉 좀 올려야겠단 생각이 큰데 ㅠㅠ
9-6를 넘어서 선택근로제. 월 영엽일이 20일이면 160시간을 유동적 사용 가능. (하루에 핵심 근로시간 4시간은 반드시 포함)
야근은 케바케지만 평시에는 한달 1-2번
빨간날 + 한달에 하루는 반차
업무강도 약
돈은 성과급만 나옴. 약 200%?
월급 세후 300중반
주변에 빌런이 없는건 아니지만, 사람들 성격은 진짜 좋음.
50넘어 퇴직 하는 사람은 못 봤지만 가능은 할듯 함. 아직 사람들 나이가 안차서 ;;
그래도 돈독이 올라서 기본 연봉 좀 올려야겠단 생각이 큰데 ㅠㅠ
내일 일은 아무도 모르는거지만 잘 살아봐야죠 엄청난 모험이라 불안한데 또 설레기도 하고 그래요. 나중에 제 사연?을 공유할 수 있음 좋겠네요...
그냥 성향인데요
잘해도 내가 잘하고, 못해도 내가 못하고, 내가 선택해서 일 더 많이 하고, 급한 일 생겨 내가 좀 쉬고 싶을 때 쉴 수 있는 선택지?
조직생활이란 건 내 시간과 에너지를 회사에 떼주고 조직내 인간관계 다 참고 넘기는 조건으로
더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권한도 책임도 덜하고, 더럽고 맘에 안들어도 맞춰가는
돈 버는 게 어디나 다 비슷하겠지만
그래도 처음에 좌충우돌하다가 엎어질까 걱정하는 수준이 아니라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자영업이라면 저는 자영업할 거 같아요
잘해도 내가 잘하고, 못해도 내가 못하고, 내가 선택해서 일 더 많이 하고, 급한 일 생겨 내가 좀 쉬고 싶을 때 쉴 수 있는 선택지?
조직생활이란 건 내 시간과 에너지를 회사에 떼주고 조직내 인간관계 다 참고 넘기는 조건으로
더 안정적인 수익을 얻는 일이라고 생각하거든요 권한도 책임도 덜하고, 더럽고 맘에 안들어도 맞춰가는
돈 버는 게 어디나 다 비슷하겠지만
그래도 처음에 좌충우돌하다가 엎어질까 걱정하는 수준이 아니라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자영업이라면 저는 자영업할 거 같아요
자영업과 프리랜서를 구분해서, 사업체를 자기 마음대로 운영하고 누군가를 고용해서 활용할 수 있어야 회사원보다 유리할거 같아요.
전 회사생활 없이 자영업 중이지만, 소득 창출보다 먼저 정부 지원금으로 사람 고용해서 넘길 수 있는건 모두 떠넘기고 확장하는데 전념했거든요.
비슷하게 개업해서 혼자만 할 수 있는 더 어려운 일을 하는 친구랑 비교하면, 소득은 제가 훨씬 적고 (벌어서 다 직원 먹여살리는 ㅋㅋ) 만족도는 훨씬 높은 느낌이에요 ㅎㅎ
조건이 제한적이고 고정적일수록 회사원 느낌이고, 편차가 크면서 대가도 자유로워야 자영업에 가까운데, 위 조건은 경력이 오래되면서 출퇴근 자유로운 회사원 느낌이에요
전 회사생활 없이 자영업 중이지만, 소득 창출보다 먼저 정부 지원금으로 사람 고용해서 넘길 수 있는건 모두 떠넘기고 확장하는데 전념했거든요.
비슷하게 개업해서 혼자만 할 수 있는 더 어려운 일을 하는 친구랑 비교하면, 소득은 제가 훨씬 적고 (벌어서 다 직원 먹여살리는 ㅋㅋ) 만족도는 훨씬 높은 느낌이에요 ㅎㅎ
조건이 제한적이고 고정적일수록 회사원 느낌이고, 편차가 크면서 대가도 자유로워야 자영업에 가까운데, 위 조건은 경력이 오래되면서 출퇴근 자유로운 회사원 느낌이에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