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5/16 01:09:13수정됨
Name   쿠팡
Subject   교통사고 나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쿠팡님의 최근 게시물


마리대
저도 경험이 많지는 않은데 님이 잘못하신게 명백하면, 보험처리를 하거나, 간단한거면 그냥 현금 지급할테니 견적내서 연락달라고 하시는게 나을 겁니다. 본인이 명백히 잘못한건 아니고 상대방 측이 더 많아 보이면 말 크게 섞지 말고 사진이랑 잘 찍어놓고
나중에 보험사 통해 사고처리하자고 하시고 가는게 현명합니다. 어차피 양측 보험사 직원들끼리 적절히 비율 나눠서 부담할테니까요.
내가 잘 모르면 그냥 보험사 부르고 기다리시면 됩니다 블랙박스는 꼭 설치하시고 나중에 우리 보험사에 제출하시면 되구요

보험사끼리 이야기할테니 당사자와 말을 섞을 필요는 없지만 내가 잘못 한거 같으면 사과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해서 나쁠껀 없지요
shadowtaki
제일 먼저 보험 호출 하시고, 일단 가해자인 것 같으면 사과 정도 하시고, 2차 사고 우려 없는 상황에서 사고현장 사진 거리별로 잘 찍어두시고 혹시나 상대하고 대화할 일이 있으면 녹음 하면서 대화하시고 우리 보험사 직원 오면 상황 설명 잘 한 다음 사고 접수번호 받고 보험사에서 안내하는 대로 처리하시면 됩니다. 우리 보험사라고 해서 100% 내 편이라고 생각하진 마시고.. 특히 상대방이 100% 잘못한 것 같은 사고의 경우에 말이죠.
행복한고독
그럴때 쓰라고 가입한게 보험인데, 사고나면 보험 불러야죠.

본문의 택시 같은 상황이면 경찰도 같이 부르면 되구요.

운전 오래하신분들은 보험사 불렀을 때 상대 보험사는 아예 대꾸도 안해주는 분도 있어요.
(상대한테 불리한 정보가 들어갈까봐...)

만약 본인 과실로 인사사고가 난 경우라면 무조건 사과부터 하시구요. 그 이외의 일처리는 그냥 보험사에게 맡겨두시면 됩니다.

물론 보험사의 일 처리방식(과실 비율 등)에 대해서는 논외로 하구요.
작년에 사고가 났어서 경험담을 적어봅니다.

- 일단 아주 간단한 접촉사고가 아니고 본인이 어딘가가 다쳤을 정도가 예상되는 충격이라면 섣불리 차에서 내리진 마세요. 잠시 안정을 찾고 뭘 해야 할지 생각을 하고 목이나 허리에 이상이 온게 아닌지 확인해보고 내리면 좋습니다. 다만 차대차 사고가 아니라 차대 사람 사고면 빨리 내려서 사람에 대한 구호조치를 해야 합니다.

아래는 차대차 사고일 때 입니다.

- 블랙박스의 경우 폰이랑 직결해서 영상을 뽑을 수 있는게 아니라면 그자리에서 메모리 빼고 어쩌고 할 필요 없이 그냥 블랙... 더 보기
작년에 사고가 났어서 경험담을 적어봅니다.

- 일단 아주 간단한 접촉사고가 아니고 본인이 어딘가가 다쳤을 정도가 예상되는 충격이라면 섣불리 차에서 내리진 마세요. 잠시 안정을 찾고 뭘 해야 할지 생각을 하고 목이나 허리에 이상이 온게 아닌지 확인해보고 내리면 좋습니다. 다만 차대차 사고가 아니라 차대 사람 사고면 빨리 내려서 사람에 대한 구호조치를 해야 합니다.

아래는 차대차 사고일 때 입니다.

- 블랙박스의 경우 폰이랑 직결해서 영상을 뽑을 수 있는게 아니라면 그자리에서 메모리 빼고 어쩌고 할 필요 없이 그냥 블랙박스 화면에서 사고 당시 영상을 재생한걸 폰으로 찍어두면 됩니다. (저는 작년에 그걸로 사건처리 다 했어요) 2채널 블박이면 앞화면 뒤화면 따로 녹화하면 좋습니다.
그리고 블랙박스에 GPS 옵션 달 수 있는거면 그것도 좋습니다. 과속여부에 대해서 애매하게 영상 판독으로 할 거 없이 gps 기반으로 속도가 녹화 파일에 찍히거든요

- 그리고 일단 내려서 보험사를 부르고 내 차, 상대 차를 다 찍어둡니다. 도로 상황에 따라서 차를 그대로 차선에 놔둬도 될 경우가 있지만 아닌 경우 갓길로 차를 빼는게 좋으니 그전에 충분히 여기저기 사진을 많이 찍어두세요.

- 보험사에서 오면 우리 보험사/상대 보험사 직원 명함을 받아두고 상황 설명을 한 뒤 일단 우리 보험사 직원에게 영상을 보내고 상의를 합니다. 그자리에서 과실비율 몇대몇 이런 이야기를 하실 필요는 없고 상대 보험사 직원에게 접수번호 (대인/대물 접수번호) 를 받아두시고, 보험사 견인차에 차를 달아서 공업사로 갑니다. 누군가는 보험사에서 추천하는 공업사 가지 말란 이야기도 있기는 한데 저같은 경우는 사고수리 전문 공업사로 갔다보니 이런저런 서류작업도 미리 해주고 수리도 깔끔하게 잘 해줘서 만족했습니다. 수리 하면서 다른데 수리할거 있으면 공업사 사장님이랑 쇼부처서 저렴한 가격에 함께 손볼 수도 있긴 합니다.

- 모든 대화는 당연히 녹음기 켜고 하시는게 좋습니다. 통화도 녹음할 수 있으면 더 좋고요.

- 나중에 서로 과실비율 따져서 보험처리 하는데, 아무리 생각해도 내 과실이 없을 때는 따져보고 소송 갈 각오 하시는게 좋습니다. 저는 작년에 앞차는 실선 침범해서 무리하게 차선변경, 뒷차는 안전거리 미확보로 앞뒤차에 받혀서 사고가 났는데 (....) 앞차 운전자가 맨 뒷차 운전자가 과속했다고 소리소리를 질렀지만 결론은 앞차 70, 뒷차 30 과실로 나왔습니다. 그만큼 사고 났을 때 과실 비율이 커질 수 있는 행위는 미리 알아두고 최대한 운전할때 하지 않으시는게 좋습니다. (신호관련, 비보호좌회전, 우회전, 정지선, 점멸 주황/적색신호, 실선 차선변경 위반 등등) 만약 내가 해당 행위를 해서 사고가 났다면 무조건 과실 비율이 크게 잡힐테니 내려서 사과하시고 원만한 합의로 가시는게 좋습니다.

- 합의금은 이런저런 이야기가 많이 나오는데 뭐 드러누워서 뜯어내고 이런 개념은 요즘엔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저 같은 경우는 작년에 필요한 물리치료는 병원 다니며 적당히 받고, 3개월 뒤 어느 정도 후유증이 가라앉은걸 확인하고서 진단서 기반 산정 위로금 + 병원진료/치료하느라 휴가 내서 손실 본 연차수당 + 약값 + 제증명서 발급비용 + 차량 감가 등을 합리적으로 견적내서 상대 보험사 직원에게 전달하고 그정도 선에서 적당하게 합의를 보았습니다.

- 아 그리고 한가지 더. 상대가 무보험 차량 (책임보험 1만 가입한 경우나 특약 위반인 경우를 보통 말합니다. 아예 진짜로 무보험이면 골때립니다) 인 경우 .. 일단 무보험 차량 손해 배상 특약 가입 여부를 확인하시고 가입되어 있다면 우리 보험사에 비용을 청구해서 보전 받고 보험사에서 상대방에게 구상권 청구할겁니다. 다만 이 경우는 경찰에 사고 접수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합의금은 아마 우리 보험사에서 받기는 힘들고 상대에게 직접 받아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확인은 필요합니다.
저같은 경우 작년에 뒷차 사고 운전자가 연령 특약위반이어서 무보험이 뒤어서 앞차 운전자가 경찰서에 사고접수를 하고, 저는 대인/대물 배상을 앞차 운전자에게 받고, 앞차 운전자 보험사가 뒷차 운전자에게 직접 구상했습니다.

- 아 그리고 본문에서 처럼 상대방이 적반하장으로 나오면 그자리에서 말싸움 하지 마시고 다 녹음 또는 녹화 하신 후 일단 보험사 불러서 서로 해결하자 하시고 (본인 과실이 0이라고 확신하는 경우) 그냥 소송 가자고 하시면 됩니다. 굳이 댓거리 하고 있을 필요도, 쫄 필요도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작년에 앞차 운전자가 당황한건지 뒷차 욕을 하고 어쩌고 하길래 지금 여기서 누가 잘했네 잘못했네 따져봐야 의미 없어서 보험사 불러서 수습부터 하고 과실 비율은 나중에 보험사 담당자와 함께 이야기 하자 이러고 정리했습니다.
보험사 전화하고 상대방이 뭐라 해도 쫄지 마세요.
매뉴물있뉴
글만 봤을때는 20대 초반에 걸리는 어린분 같으신데
그 상대방 택시기사가
사회경험없어보이는 어린 운전자가 있으니까
불법이 아닌 선에서 최대한 상대방을 위협하고
자기 책임을 덜 지려고 쑈한것 같습니다.

그런 상황이면, 보험사 부르고
보험사에 웬만한건 전담 시키면 되는데
다만 보험사 직원도 사람인지라
상대방이 진상이면, 상대방의 부당한 요구를
부당하게 수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는만큼
보험사의 일처리 방침이 적절한지는 감시할 필요가 있읍니다
철든 피터팬
택시는 양아치들이 많아서 중앙선 침범하고도 우겨댈 사람들이라...보험사 부르시구요
일단 내려서 내가 박은거면 상대 차주 건강상태 체크해줍니다. 술냄새 나는지도 슥 보시고...사진 찍으면서 주변 통제 하시고...아마 알아서 비켜가긴할건뎌/..사진은 근접샷 전체적인 느낌 잘 직이주세요. 블박 있다곤하지만 사진도 중요합니다. 보험사 부르시고 기다리시면서 사제 렉카들 디펜스하세요. 갓길로만 빼자는거 걸게 냅두면 지들이 받고싶은 돈 빋을때까지 차 놔주지도 않을뿐더러 공업사도 지들이 정함...보험사 렉카 기다리세요
나코나코나
무조건 보험사 부르시면서 렉카도 필요할 거 같다고 하시고
보험사 차량 오기 전에는 혼자 몇차선씩 다 먹고 있는 거 아니면 차 건드리지도 마세요.
일단 이거 빼야된다고 하는 사람 있을텐데 어차피 보험사 담당자도 금방 옵니다.
아이고, 답변 달아주신걸 댓글 확인하고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못드렸네요. 답변 주신 선생님들 모두 감사드립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824 법률친구가 아동 폭력으로 신고당했습니다. 4 [익명] 21/07/03 4548 0
11818 법률모텔에서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했는데.. 6 [익명] 21/07/01 5243 0
11799 법률사원이 1인만 남은 경우 총회의 개최 가능 여부 10 J_Square 21/06/29 4366 0
11762 법률월세 계약시 주의사항 질문입니다 9 거소 21/06/22 3851 0
11731 법률오피스텔 대출금을 갈아타고 싶습니다. 3 [익명] 21/06/15 4119 0
11711 법률PT 계약 개시 전 100% 환불 받고 싶습니다. 11 dongri 21/06/11 16494 0
11704 법률주차 분쟁 관련 질문 7 쿠팡 21/06/10 4290 0
11678 법률전세를 살고 있는데 집주인의 전입신고를 요청받았습니다 19 [익명] 21/06/07 8160 0
11665 법률전입신고와 전월세 신고제? 어떻하면 좋을까요 3 [익명] 21/06/04 4423 0
11662 법률제가 운영하는 음식점에 허위주문(?)이 들어왔습니다 5 똘빼 21/06/04 5294 1
11612 법률실입주 요건으로 중도금 대출 받은 경우 입주시 전세를 준다면? 3 [익명] 21/05/26 7182 0
11572 법률이런 경우 아파트 cctv 조회 가능할까요? 2 [익명] 21/05/20 3925 0
11557 댓글잠금 법률특정한 건물의 건축비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1 [익명] 21/05/18 4017 0
11553 법률임금체불 사업주가 돈을 2/3만 줬는데 무슨 속셈일까요 3 [익명] 21/05/17 4232 0
11544 법률교통사고 나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10 쿠팡 21/05/16 4200 0
11527 법률개인사업자에게 소송하는 방법 문의드립니다 4 헬리제의우울 21/05/13 4277 0
11485 법률인테리어 블로그의 현장 도용 사례 7 [익명] 21/05/03 4318 0
11475 법률임대차 3법 관련해서 마찰이 있습니다 15 [익명] 21/05/02 4175 0
11462 법률근로하지 않은 곳에서 사업소득을 5년간 신고해왔습니다. 2 [익명] 21/04/30 3846 0
11460 법률여가부의 가족 개념 확대에 대해서 궁금한 점 있습니다 20 [익명] 21/04/30 4516 0
11403 법률이런 상속에 대해 제발 좀 가르쳐주세요ㅠㅠ 2 강수 21/04/22 4091 0
11309 법률월세입자입니다. 세살고 있는 집에 집주인도 전입이 되있네요. 16 루키루키 21/04/07 5608 0
11296 법률임차인 질권에 대한 의무? 3 [익명] 21/04/05 4186 0
11280 법률타인의 진료내역에 관한 자문을 구하는데 해줘도 되는 건가요? 5 떡라면 21/04/03 3400 0
11267 법률유산 상속권에 관한 질문입니다. 2 불타는밀밭 21/03/30 344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