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5/25 23:13:09
Name   [익명]
Subject   조금은 고민되는 친구들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요즘 친구 관계에 대해서 조금 많이 고민되는 부분들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닉네임을 공개하면 특정될 수 있을듯 해서 익명으로 글을 씁니다.

오래알고 지낸 친구들이 있어요. 이 친구들이 오프라인에서 만난 인연중에는 제일 오래 알고 지내는 그룹입니다.
이 친구들은 처음엔 지금보다는 순수한 친구들이었는데, 점점 시간이 지날 수록 인터넷 커뮤니티를 오래 하면서 말투들이 이상하게 변했습니다.
몇년전부터는 흔히 말하는 어린 친구들이 하는 말투나 아니면 제 기준에선 조금은 안좋은 커뮤니티에서 자주 쓰는 말투들을 쓰고 있어요.
그래서 사실 모임에도 원래는 3번나갈꺼 한번만 나가거나,, 거의 잘 나가지 않고, 최근에는 코로나로 인해 자연스럽게 더 만나지 않고 있어요.

이 친구들은 욕은 기본이고 성적인 표현들을 스스럼 없이 하기도 합니다.
홍차넷에 글을 쓰기도 민망한 그런 표현들이에요.

제 기준에서는 정도에 따라 심한 친구도 있고 안쓰는 건 아니지만 그나마 좀 덜 한 친구도 있어요.
정도가 심한 친구는 거의 일베에서나 쓸만한 말투를 쓰고 있습니다.

그런데 언젠가 여자친구가 제 친구들 카톡방을 보게 됐는데 심한 친구가 쓴 카톡들을 보고 일베하는거 아니냐고 묻더라구요.
왜 그런 친구들하고 관계를 지속하냐고 묻기도 했구요.
저는 그런 말투를 쓰지 않고, 어떻게 잘 넘어가긴 했지만,, 이런 일을 직면하니까 제가 다 부끄럽더라구요.

이 친구들은 그런걸 깊게 생각하지 않고 이게 잘못됐다라고도 생각하지 않는거 같아요.

그래서 제가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어요.
인연을 끊어야 하나 라는 생각도 들기도 하지만,,
그전에 이런 부분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친구들한텐 말을 해본적이 없거든요.
그래서 나이가 한두살 먹은것도 아닌데 그런 말투는 이제 안썼으면 좋겠다라고 말해보고싶기도 합니다.

곰곰히 생각해봤는데 제가 할 수 있는 방법이 3가지 정도 있더라구요.

1. 그냥 개선하려고 하지 말고 단톡도 나가고 인연을 끊는다.
2. 굳이 트러블 일으키진 말고 오프라인 모임은 하지 말고 단톡은 유지한다.
3. 개선해보려고 하고, 통하지 않거나 이상하게 생각한다면 그때 다시 생각해본다.

그런데, 제가 그런 말을 할 권리가 있는지도, 이게 잘 하는 방법인지도 잘 모르겠어서 질문글을 올려요.

어떻게 보면 사회생활인데, 이런 부분은 아직도 어렵네요.
의견 부탁드립니다.



0


Cascade
친구를 바꾸려 하지 마세요. 마음에 안 들면 안 만나는 거죠
마음 가는대루 하시면 됩니다
저도 그런 친구들 있어요
그리고 절망적인건, 그게 한국 평균이라는 거..ㅋㅋ
마카오톡
저는 제 친구들이 별로 안부끄러워서 ㅎㅎ
여친이 제 카톡창을 보지 못하겠지만 같은경우가 벌어져도 같이 욕할겁니다
내친구는 나이 쳐먹고 아직도 십대 남자애들같은 말투 쓴다고 아우 쪽팔려. 그러고는 한두마디 덧붙히겠죠.
'내가 얼마나 마음 넓은지 알겠지? 너도 안심해! 난 내친구도 안버리지만 너도 안버려!'

전 제 친구들이 뭘하든 별로 안부끄러워요 ㅎㅎ 부족한면이 있고 내가 감싸주어야할 부분이 있는게 제 친구들이고
그게 저의 의무이자 기쁨입니다.

대신 친구들 앞에선 겁나 갈굼머신이에요.
박근혜 지지했다가 너 요즘 ... 더 보기
저는 제 친구들이 별로 안부끄러워서 ㅎㅎ
여친이 제 카톡창을 보지 못하겠지만 같은경우가 벌어져도 같이 욕할겁니다
내친구는 나이 쳐먹고 아직도 십대 남자애들같은 말투 쓴다고 아우 쪽팔려. 그러고는 한두마디 덧붙히겠죠.
'내가 얼마나 마음 넓은지 알겠지? 너도 안심해! 난 내친구도 안버리지만 너도 안버려!'

전 제 친구들이 뭘하든 별로 안부끄러워요 ㅎㅎ 부족한면이 있고 내가 감싸주어야할 부분이 있는게 제 친구들이고
그게 저의 의무이자 기쁨입니다.

대신 친구들 앞에선 겁나 갈굼머신이에요.
박근혜 지지했다가 너 요즘 가스통 안무겁냐 부터 시작해서 박사모로 만들고
반대로는 머리 봉합수술 잘됐냐부터 시작해서 이쪽계열은 글쓰기가 좀 무섭네요. 뭐 여튼. 꼭 정치 뿐아니고 ㅋ

잘 놀리고 친구들도 잘 맞아주고 저도 놀림당하고 잘 맞아주면서 그러면서 삽니다.
내 친구들의 그런 면을 모른척하는것도 내몫이고, 내 연인이 그런 친구들을 뒀다하면 떠나는것도 그사람몫이고. 하지만 진실을 다 안보이면서 사실이 드러났을 때 여친 안버린다고 말하는 건 허세죠, 여친이야말로 버릴까말까 고민할텐데. 전 친구던 연인이던 그들의 결정에 맡기고 내가 생각하는 옳은 방향대로 결정하고 행동하는게 맞다고 생각해요
1
마카오톡
엥 이게 무슨 허세인가요 ㅎㅎㅎㅎ
허세가 먼지 모르시나
예 허세는 제가 단어를 잘못 썼네요. 널 안버린단 말이 그 입장에서 할말은 아닌 것 같다고 말하고 싶었습니다
마카오톡
단점이 있는 친구를 두는게 단점만 있는게 아니고 장점이 있다는걸 알려주는 농담인거고
그 입장에서 할 말이라 하는 겁니다.
늑대를불러야지
무엇을 중요하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르다고 봐요. 제 친구도 그런 애들 있는데, 전 그냥 만나요. 저한테는 친구를 만남으로써 오는 즐거움, 위안, 공유되는 추억에 따른 기쁨 이런 것들이 더 중요하거든요. 정치적 성향이나 말투 이런 건 부차적인 것이고요. 물론 그것이 중요한 사람도 있는 거죠. 어떤 걸 우선하느냐에 따라 관계를 지속할 수도, 끝낼 수도 있다고 봅니다.
3
헌혈빌런
저는 끝냈습니다

정기축구모임 그만두고

단톡 나가고, 술자리도 같이 안한지 몇년 됐어요

다만 몇명은 1년에 한두번 생일이나 연말쯤 연락오는데

뭐 왔으니 이야기하는 정도고

아마 이렇게 가다보면 끝나겠죠 뭐
매뉴물있뉴수정됨
제 경험을 풀어보자면
그 예전에 티비조선에 어떤 탈북자가 등장해서
내가 5 18때 광주에 잠입해서 폭도들을 선동했다
라는 허위주장을 했었던 내용을 일베에서 보고
열렬한 일게이가 되었었던 친구가 있긴 한데요;ㅎ

그친구의 일생을 지금와서보면,
"그 친구에게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진 그 시기"가
그렇게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한 일이년정도..?;

말하자면 티비조선이 그 허위 보도로 인해
방통위에서 징계를 먹었다거나
그 탈북자의 신원조회나 북한에서 그 사람의 출신성분자체가
어디 남파공작원 같을것을 할... 더 보기
제 경험을 풀어보자면
그 예전에 티비조선에 어떤 탈북자가 등장해서
내가 5 18때 광주에 잠입해서 폭도들을 선동했다
라는 허위주장을 했었던 내용을 일베에서 보고
열렬한 일게이가 되었었던 친구가 있긴 한데요;ㅎ

그친구의 일생을 지금와서보면,
"그 친구에게 오프라인과 온라인의 경계가 희미해진 그 시기"가
그렇게 오래가지는 않았습니다.
한 일이년정도..?;

말하자면 티비조선이 그 허위 보도로 인해
방통위에서 징계를 먹었다거나
그 탈북자의 신원조회나 북한에서 그 사람의 출신성분자체가
어디 남파공작원 같을것을 할만한 출신이 아니었다거나
하는 사실 같은 것은
일베를 통해 전파되지 않는다는걸
몰랐던거죠.

커뮤니티라는게, 묘한 속성이 있어서
한번 커뮤니티안에서 어떤 특정 여론이 한번 형성되면
그 특정 여론이 마치 사회 전체의 여론인것처럼
커뮤니티 이용자들을 세뇌시키는 속성이 있는데
제 경험상으로는 그게 그렇게 오래 안갑니다.
그 녀석은 지금 기준으로는 그냥 평범한 이대남.
문재인을 초기에는 열렬히 지지했으나
지금은 실망해있는 넘나 평균남입니다.
그시절 이야기를 꺼내면 민망해 죽으려고 해요; ㅋㅋ

저는 그런면에서,
1 2 3 어느쪽으로 하셔도 크게 상관없을거라고 생각합니다 ㅎ
2
바라스비다히
과거에 함께했던 시간들과 그렇게 쌓아올려왔던걸 떠올려보세요.
지금 모습으로 함께할 미래가 그걸 무너뜨릴것 같은 느낌이 드실 수 있겠습니다만 과거의 모습이 현재와 같지 않듯, 현재의 모습이 미래와 같지 않을 수 있습니다.
원래 인터넷이란게, 무식해서 용감한 사람들의 말찬치라서 거기에 동화된 사람들이라면 그냥 그 수준이구나 하시면 됩니다. 어차피, 말 한두디로 사람을 변화시킬순 없습니다.
그리고, 사람은 동조화되기 마련이라서... 그런 사람들과 어울린다면 영향도 받겠지만 수준도 비슷한게 아닌가 의심이 들고 당연히 색안경으로 보이는게 자연스러운 거겠지요... 그냥 적당히 거리를 두면 될것 같습니다. 아니면 다른 사람들을 찾아도 됩니다만, 대게 괜찮은 사람들은 인간관계를 널리 갖으려고 하지 않는 경향이 있어서 좋은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드는게 쉬운건 아닌것 같습니다.
저도 어릴때 사귄 친구들이랑 상스러운 얘기들 하는 방이 있는데 종종 그냥 나갑니다
친구들도 그냥 나갈 때가 있어요
거기서 하는 말들은 진심이 아니고 그냥 길티플레져의 일종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그 방이 보여지지 않아야 할 때나 기록들을 지우고 싶으면 그냥 나가요
그다음 나중에 다시 불러달라고 하죠
알료사
김택용이 철구 대하듯 하면 될듯 손절은 안하고 거리는 둔다. 걔가 찾아와 재밌을땐 놀고 동화되진 않는다.
[글쓴이]
여러 부분에서 공감 되는 말씀들이었고 덕분에 제 생각도 정리할 수 있었어요.
많은 의견을 주셔서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013 진로이직하고싶으면 새 직장을 언제부터 알아봐야할까요? 25 [익명] 21/08/06 4985 0
11980 진로회사 선택과 관련하여 고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완료) 11 [익명] 21/08/01 4909 0
11934 진로연봉 1000만원을 낮춰서 이직하는게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13 [익명] 21/07/22 8241 0
11890 진로월급에서 저축 얼마하시나요? 25 copin 21/07/13 3942 0
11887 진로신입사원에게 추천해주실 것들이 있을까요? 57 아이캔플라이 21/07/12 4638 0
11868 댓글잠금 진로컴활 자격증 따보신 분 계신가요 2 [익명] 21/07/09 4209 0
11804 진로30대 초반 진로 고민입니다 29 [익명] 21/06/30 6619 0
11801 진로주식회사의 주주와 대표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나요? 13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6/29 5229 0
11775 진로논리력이 부족한 사람은 어떤 직무를 택하는 게 좋을까요? 23 [익명] 21/06/24 4660 0
11748 진로코스트코 취업 질문입니다. 부탁드려요 6 [익명] 21/06/20 6899 0
11727 진로직장을 가진 자가 사업자등록증을 낼 수 있나요? 7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6/14 4725 0
11674 진로병원 인턴 계속 해야할까요 13 [익명] 21/06/06 5064 0
11658 진로30대 중반에 신입 개발자 취업 가능할까요? 17 윤지호 21/06/03 3501 1
11656 진로대기업 인적성 계속 떨어지면 그냥 포기해야 하나요? 20 [익명] 21/06/02 6751 0
11609 진로조금은 고민되는 친구들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15 [익명] 21/05/25 5016 0
11565 진로딥러닝 개발자입니다 웹 개발해보고 싶어요 8 2막4장 21/05/19 4907 0
11489 진로헤드헌터와 이직을 함께 해 보신 분 계실까요? 14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5/04 5969 0
11418 진로백수도 아닌데 너무 한가한 삶이 불안합니다. 27 샨르우르파 21/04/25 6758 0
11322 진로공무원 시험준비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8 [익명] 21/04/09 4097 0
11313 진로조언 감사합니다. 24 라이너혼 21/04/08 5033 0
11276 진로강소기업 의료기기 기술영업 어떨까요? 5 [익명] 21/04/02 3844 0
11274 진로직장생활 중 현타 올때 어떻게 하시나요? 27 [익명] 21/04/01 5282 0
11252 진로전공을 고르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11 거위너구리 21/03/27 4480 0
11213 진로대학원생의 일상? 13 쿠팡 21/03/20 5964 0
11122 진로2년제 기계설계과 진로문제 6 [익명] 21/03/02 423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