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17 14:57:18 |
Name | 사십대독신귀족 |
Subject | 코로나 백신 접종 후 소염제는 언제 부터 복용가능한가요? |
뉴스에 타이레놀류 를 추천하는 게 소염제 성분이 백신의 성능을 떨어뜨릴 수 있어서 라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평상 시 부터 목이나 허리가 많이 안 좋아서 종종 정형외과에서 근육이완제와 진통소염제를 처방받는데요. 백신이야 접종 한 지 50시간이 넘었고 부작용도 첫날 조금 말고는 크게 없어서 목이 너무 아파 움직이기 힘든 데 정신이 팔려서 처방받은 록소프린정 (록소프로펜나트륨수화물) 을 무심코 먹었습니다. 뉴스에서 말하는 이부프로펜 류를 가급적 먹지 말아야하는 건 접종 후 어느 정도 시점이 지나서일까요?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사십대독신귀족님의 최근 게시물
|
정확히 결론이 나온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코로나19 백신 이전의 백신에도 적용되던 것이 소염진통제가 면역형성에 지장을 줄 수 있고, 꼭 먹어야 되면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이 그나마 낫다였던 것 같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제약 특히, 타이레놀이 부족하다 보니 약사회 등에서는 접종 후 발열이나 통증 등이 있을 때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복용해도 된다고 하고,
당국이나 전문가들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권고는 아프지도 않은데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해서 이부프로펜이든 아스피린이든 미리 먹는 것... 더 보기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제약 특히, 타이레놀이 부족하다 보니 약사회 등에서는 접종 후 발열이나 통증 등이 있을 때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복용해도 된다고 하고,
당국이나 전문가들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권고는 아프지도 않은데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해서 이부프로펜이든 아스피린이든 미리 먹는 것... 더 보기
정확히 결론이 나온 것은 아닌 것으로 알고, 코로나19 백신 이전의 백신에도 적용되던 것이 소염진통제가 면역형성에 지장을 줄 수 있고, 꼭 먹어야 되면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성분이 그나마 낫다였던 것 같습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제약 특히, 타이레놀이 부족하다 보니 약사회 등에서는 접종 후 발열이나 통증 등이 있을 때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복용해도 된다고 하고,
당국이나 전문가들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권고는 아프지도 않은데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해서 이부프로펜이든 아스피린이든 미리 먹는 것은 하지 말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면역형성 문제 외에 부작용을 가려버리는 효과도 있어서 그렇게 권고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보통의 경우 기저질환으로 인한 약들은 면역이 덜 형성될(?) 가능성이 있어도 평상시처럼 복용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권하고 있습니다.
저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인 아크로펜정, 생약제제 소염진통제인 조인스정, 항혈소판제인 오팔몬정 등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데,
백신 접종 전후로 2주 정도 안 먹다가(접종일 기준으로는 10일 지났습니다.) 목과 어깨 통증이 심해서 오늘부터 다시 먹고 있습니다. 담당 선생님께 여쭤보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안 아프면 먹지 말라고 하시더라구요. 아프면 먹고.
저랑 비슷한 경우인 것도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위는 CDC의 경우입니다.
아세트아미노펜 단일제제약 특히, 타이레놀이 부족하다 보니 약사회 등에서는 접종 후 발열이나 통증 등이 있을 때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등 복용해도 된다고 하고,
당국이나 전문가들의 공통적이고, 기본적인 권고는 아프지도 않은데 부작용 예방(?) 차원에서는 아세트아미노펜을 포함해서 이부프로펜이든 아스피린이든 미리 먹는 것은 하지 말 것을 권하고 있습니다. 면역형성 문제 외에 부작용을 가려버리는 효과도 있어서 그렇게 권고하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보통의 경우 기저질환으로 인한 약들은 면역이 덜 형성될(?) 가능성이 있어도 평상시처럼 복용하는 것을 기본적으로 권하고 있습니다.
저는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인 아크로펜정, 생약제제 소염진통제인 조인스정, 항혈소판제인 오팔몬정 등을 처방받아 먹고 있는데,
백신 접종 전후로 2주 정도 안 먹다가(접종일 기준으로는 10일 지났습니다.) 목과 어깨 통증이 심해서 오늘부터 다시 먹고 있습니다. 담당 선생님께 여쭤보는 것이 가장 좋을 것 같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안 아프면 먹지 말라고 하시더라구요. 아프면 먹고.
저랑 비슷한 경우인 것도 같아서 적어봤습니다.
위는 CDC의 경우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