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6/30 08:36:12수정됨 |
Name | [익명] |
Subject | 30대 초반 진로 고민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차넷에 갓 가입한 햇병아리입니다. ^^ 나이먹어서 진로 고민을 하는 것이 부끄러워 살짜쿵 익명으로 글을 올립니다. ^^;; 최근에 진로 고민으로 밤잠을 설치다가 인생 선배님들께 조언을 구하고자 이른 아침에 글을 올립니다. 저는 30대 초반의 여성이고, 일본어과 졸업 후 쭉 전공과 관련없는 총무 일을 해왔습니다. 1. 택시회사에서 비서 업무 및 4대보험 관리 2. 공공기관 관리사무소 총무 (용역) 3. 비영리법인 총무 시간제 (재직중) 위의 항목들은 제가 그간 해왔던 일입니다. 누구나 금방 할 수 있는 일이라서 경력으로 보기에도 힘든 수준입니다. 업무량도 많지 않아서 편하게 일했지만, 가끔 잡부라는 생각이 들 때 현타가 옵니다. 그래서 좀 더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 오랫동안 할 수 있는 일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온갖 생각들로 갈피를 잡지 못해 방황 중입니다. 혼자 고민하는 것보다는 객관적으로 보았을 때 답이 나오지 않을까 싶은 생각에 글을 올립니다. 아래 항목은 제가 생각해본 진로 방향입니다. 1. 물리치료사, 간호사 저는 타인에게 직접적으로 도움을 주거나 제가 알고 있는 것을 설명해주는 일에 보람을 느낍니다. 그런 점에서 물리치료사가 적성에 맞을 것 같았으나 물리치료학과에 입학하여 졸업을 하면 30대 후반인데 취업이 힘들다고 반대하시는 분들이 많더군요. ㅠㅠ 간호사 역시 마찬가지고요. 2. 공무원 맡은 일에 요령피우지 않고 성실히 하는 편이고, 내성적인 성격 때문인지 공무원이 딱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공부만 할 수 있는 여건은 안돼서 공부와 병행하기 위해 짧게 파트타임 일을 구해서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워낙 박터지는 곳이다보니 합격은 못하고 나이만 먹게 되는건 아닐지 두렵습니다..^^;; 3. 사무직 관련 자격증 취득 아예 새로운 시도를 하는 것보다는 지금보다 좀 더 전문적인 업무를 할 수 있도록 관련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더 나을지 고민입니다. 더 나아가서 어떤 자격증을 취득하는게 향후 진로에 더 도움이 될지도 고민입니다.. 참고로 그동안 취득한 자격증은 전산회계1급, 전산세무2급, 컴활2급, 한국사1급, JLPT1급입니다. 요즘 밤잠을 설치고 있어 더욱 횡설수설한 것 같습니다. ^^;;; 혼자 고민한다고 답이 나올 것 같지 않아서 부끄럽지만 글을 올립니다. 꼭 위 항목들이 아니어도, 진로에 대해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또 그외에 제게 해주실 말씀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ㅡ^ 0
|
나이 먹어도 여성으로서 사무실에서 계속 일할 수 있는 업종이 회계인 것 같습니다. 회계-특히 제조나 건설-쪽은 커리어가 되고, 속칭 경단녀 취업도 제일 잘 되는 쪽이 회계라고 하더라고요.
숫자에 밝은 편이면 회계쪽을 더 배워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무원시험도 추천은 드리지만, 이건 떨어질 생각을 하고 공부하면 안 되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든 붙어서 끝장을 보아야 한다고..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떨어질 것이 두렵다면 아예 처음부터 안 쳐다보는 것이 좋은것같습니다.
숫자에 밝은 편이면 회계쪽을 더 배워 자격증을 취득하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공무원시험도 추천은 드리지만, 이건 떨어질 생각을 하고 공부하면 안 되는 시험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떻게든 붙어서 끝장을 보아야 한다고.. 전 그렇게 생각합니다. 떨어질 것이 두렵다면 아예 처음부터 안 쳐다보는 것이 좋은것같습니다.
앗.... 사실 잘 가르쳐주는 회사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정도 나이에는 내가 자격증도 있고 바로 투입되어 일할 수 있다는걸 보여줘야 하는것이지 가르쳐주면 잘 배울 수 있다고 하면 그것은 완전 쌩 신입을 뽑는 것이기 때문에 회사 인사팀에서도, 실무부서에서도 꺼릴 것 같습니다 ㅠㅠ
회계가 취업이 잘 되는 것도,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바로 경력자 업무에 투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 차근차근 가르쳐주며 키울 생각은 안 하는 파트에요.....
그리고 주변 공뭔 셤 보는 친구들 보면, 공무원셤에서 단기간에 합격을 하는 친구들... 더 보기
회계가 취업이 잘 되는 것도,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바로 경력자 업무에 투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 차근차근 가르쳐주며 키울 생각은 안 하는 파트에요.....
그리고 주변 공뭔 셤 보는 친구들 보면, 공무원셤에서 단기간에 합격을 하는 친구들... 더 보기
앗.... 사실 잘 가르쳐주는 회사는 거의 없는 것 같습니다 특히 이정도 나이에는 내가 자격증도 있고 바로 투입되어 일할 수 있다는걸 보여줘야 하는것이지 가르쳐주면 잘 배울 수 있다고 하면 그것은 완전 쌩 신입을 뽑는 것이기 때문에 회사 인사팀에서도, 실무부서에서도 꺼릴 것 같습니다 ㅠㅠ
회계가 취업이 잘 되는 것도,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바로 경력자 업무에 투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 차근차근 가르쳐주며 키울 생각은 안 하는 파트에요.....
그리고 주변 공뭔 셤 보는 친구들 보면, 공무원셤에서 단기간에 합격을 하는 친구들은 영어를 잘 하는 친구들이었습니다. 수능영어 최소 3등급, 토익 최소 800점대는 나오는 친구들이었고 영어에서 합격기간 차이가 많이 났어요. 영어를 잘 하신다면 공무원셤이 더 수월하실 수 있겠습니다.
회계가 취업이 잘 되는 것도, 자격증을 가지고 있으면 바로 경력자 업무에 투입시킬 수 있기 때문이지 차근차근 가르쳐주며 키울 생각은 안 하는 파트에요.....
그리고 주변 공뭔 셤 보는 친구들 보면, 공무원셤에서 단기간에 합격을 하는 친구들은 영어를 잘 하는 친구들이었습니다. 수능영어 최소 3등급, 토익 최소 800점대는 나오는 친구들이었고 영어에서 합격기간 차이가 많이 났어요. 영어를 잘 하신다면 공무원셤이 더 수월하실 수 있겠습니다.
네 채용사이트 둘러보면 한숨만 나옵니다.
그래도 20대 때는 연락이 많이 왔는데, 지금은 연락 오는 곳이 거의 없네요ㅠㅠ
그래서 몰리듯이 공무원 시험 준비를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사기업에서 안 뽑아주니까요ㅎㅎ..
그런데 회계파트가 처음부터 경력자를 요하는 곳이었군요?
저는 단계를 밟아나가고 싶다는 심정으로 구직했었는데
그런 회사가 안보이더라구요..
처음부터 목표를 잘못 잡았었네요=ㅅ=..
공시는 영어가 관건이란 말 익히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영어 점수는 아주 작고 귀엽습니다.. ㅎㅎㅎ
그래서 토익 점수... 더 보기
그래도 20대 때는 연락이 많이 왔는데, 지금은 연락 오는 곳이 거의 없네요ㅠㅠ
그래서 몰리듯이 공무원 시험 준비를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사기업에서 안 뽑아주니까요ㅎㅎ..
그런데 회계파트가 처음부터 경력자를 요하는 곳이었군요?
저는 단계를 밟아나가고 싶다는 심정으로 구직했었는데
그런 회사가 안보이더라구요..
처음부터 목표를 잘못 잡았었네요=ㅅ=..
공시는 영어가 관건이란 말 익히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영어 점수는 아주 작고 귀엽습니다.. ㅎㅎㅎ
그래서 토익 점수... 더 보기
네 채용사이트 둘러보면 한숨만 나옵니다.
그래도 20대 때는 연락이 많이 왔는데, 지금은 연락 오는 곳이 거의 없네요ㅠㅠ
그래서 몰리듯이 공무원 시험 준비를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사기업에서 안 뽑아주니까요ㅎㅎ..
그런데 회계파트가 처음부터 경력자를 요하는 곳이었군요?
저는 단계를 밟아나가고 싶다는 심정으로 구직했었는데
그런 회사가 안보이더라구요..
처음부터 목표를 잘못 잡았었네요=ㅅ=..
공시는 영어가 관건이란 말 익히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영어 점수는 아주 작고 귀엽습니다.. ㅎㅎㅎ
그래서 토익 점수를 800점대로 올려놓고나서 공시 준비를 할지 말지 결정해볼까 싶기도 하네요..
그래도 20대 때는 연락이 많이 왔는데, 지금은 연락 오는 곳이 거의 없네요ㅠㅠ
그래서 몰리듯이 공무원 시험 준비를 생각하게 되더라고요.
사기업에서 안 뽑아주니까요ㅎㅎ..
그런데 회계파트가 처음부터 경력자를 요하는 곳이었군요?
저는 단계를 밟아나가고 싶다는 심정으로 구직했었는데
그런 회사가 안보이더라구요..
처음부터 목표를 잘못 잡았었네요=ㅅ=..
공시는 영어가 관건이란 말 익히 들었습니다.
그런데 제 영어 점수는 아주 작고 귀엽습니다.. ㅎㅎㅎ
그래서 토익 점수를 800점대로 올려놓고나서 공시 준비를 할지 말지 결정해볼까 싶기도 하네요..
네 저도 조무사 검색해봤어요
그런데 대부분 조건이 열악하더라구요..ㅠㅠ
긴 근무시간에 비해 최저임금 수준이고,
연차가 쌓여도 월급은 계속 제자리라고 조무사 하지 말란 글을 많이 봐서 겁이 덜컥 -_-;;
제 상황에서 조건을 따지는게 아직 정신 못차렸나봐요ㅎㅎ..
와 남편분이 개원하시고, 조무사 따서 일하시면 근무환경이 좀 낫겠네요~^^
아는 동생은 지금은 사무직 근무하고 있지만, 나중을 위해서 언젠간 조무사 자격증 따고 싶다곤 하더라구요
처우는 열악하다곤 하나, 따놓으면 언젠간 활용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더 ... 더 보기
그런데 대부분 조건이 열악하더라구요..ㅠㅠ
긴 근무시간에 비해 최저임금 수준이고,
연차가 쌓여도 월급은 계속 제자리라고 조무사 하지 말란 글을 많이 봐서 겁이 덜컥 -_-;;
제 상황에서 조건을 따지는게 아직 정신 못차렸나봐요ㅎㅎ..
와 남편분이 개원하시고, 조무사 따서 일하시면 근무환경이 좀 낫겠네요~^^
아는 동생은 지금은 사무직 근무하고 있지만, 나중을 위해서 언젠간 조무사 자격증 따고 싶다곤 하더라구요
처우는 열악하다곤 하나, 따놓으면 언젠간 활용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더 ... 더 보기
네 저도 조무사 검색해봤어요
그런데 대부분 조건이 열악하더라구요..ㅠㅠ
긴 근무시간에 비해 최저임금 수준이고,
연차가 쌓여도 월급은 계속 제자리라고 조무사 하지 말란 글을 많이 봐서 겁이 덜컥 -_-;;
제 상황에서 조건을 따지는게 아직 정신 못차렸나봐요ㅎㅎ..
와 남편분이 개원하시고, 조무사 따서 일하시면 근무환경이 좀 낫겠네요~^^
아는 동생은 지금은 사무직 근무하고 있지만, 나중을 위해서 언젠간 조무사 자격증 따고 싶다곤 하더라구요
처우는 열악하다곤 하나, 따놓으면 언젠간 활용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더 고민해봐야겠네요
약학대학원은 관련 전공 아니어도 취업이 잘되나요??
약학이면 약국에서 일하게 되는건가요??
그런데 대부분 조건이 열악하더라구요..ㅠㅠ
긴 근무시간에 비해 최저임금 수준이고,
연차가 쌓여도 월급은 계속 제자리라고 조무사 하지 말란 글을 많이 봐서 겁이 덜컥 -_-;;
제 상황에서 조건을 따지는게 아직 정신 못차렸나봐요ㅎㅎ..
와 남편분이 개원하시고, 조무사 따서 일하시면 근무환경이 좀 낫겠네요~^^
아는 동생은 지금은 사무직 근무하고 있지만, 나중을 위해서 언젠간 조무사 자격증 따고 싶다곤 하더라구요
처우는 열악하다곤 하나, 따놓으면 언젠간 활용할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어요
더 고민해봐야겠네요
약학대학원은 관련 전공 아니어도 취업이 잘되나요??
약학이면 약국에서 일하게 되는건가요??
일단, 공무원 시험을 뚫으면야 좋겠지만, 그 기간동안 투자대비 성과가 나올 수 있느냐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미 전산회계, 전산세무 자격증이 있으시다고 하니 회계경리쪽으로 알아보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보통 회계 총무를 같이 할 수 있는 사람 1명 정도를 많이 뽑으니까요. 그쪽으로 경력을 쌓으면 길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직도 엄청 잦고 채용도 잦은 분야니까요. 문제는 첫 경력을 쌓을 수 있느냐는 건데, 어쩔수 없이 연봉을 낮추면서 들어가시는 방법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 더 보기
이미 전산회계, 전산세무 자격증이 있으시다고 하니 회계경리쪽으로 알아보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보통 회계 총무를 같이 할 수 있는 사람 1명 정도를 많이 뽑으니까요. 그쪽으로 경력을 쌓으면 길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직도 엄청 잦고 채용도 잦은 분야니까요. 문제는 첫 경력을 쌓을 수 있느냐는 건데, 어쩔수 없이 연봉을 낮추면서 들어가시는 방법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 더 보기
일단, 공무원 시험을 뚫으면야 좋겠지만, 그 기간동안 투자대비 성과가 나올 수 있느냐가 문제인 것 같습니다.
이미 전산회계, 전산세무 자격증이 있으시다고 하니 회계경리쪽으로 알아보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보통 회계 총무를 같이 할 수 있는 사람 1명 정도를 많이 뽑으니까요. 그쪽으로 경력을 쌓으면 길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직도 엄청 잦고 채용도 잦은 분야니까요. 문제는 첫 경력을 쌓을 수 있느냐는 건데, 어쩔수 없이 연봉을 낮추면서 들어가시는 방법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한 2년 정도는 최저연봉수준으로 받으면서 경험을 쌓는다 생각하시고 어느정도 일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직장을 알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미 전산회계, 전산세무 자격증이 있으시다고 하니 회계경리쪽으로 알아보시는게 제일 좋을 것 같습니다.
작은 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은 보통 회계 총무를 같이 할 수 있는 사람 1명 정도를 많이 뽑으니까요. 그쪽으로 경력을 쌓으면 길이 있을 것 같습니다.
이직도 엄청 잦고 채용도 잦은 분야니까요. 문제는 첫 경력을 쌓을 수 있느냐는 건데, 어쩔수 없이 연봉을 낮추면서 들어가시는 방법밖에 없지 않나 싶습니다.
한 2년 정도는 최저연봉수준으로 받으면서 경험을 쌓는다 생각하시고 어느정도 일을 가르칠 수 있는 사람이 있는 직장을 알아보시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