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7/15 12:02:06 |
Name | 쿠도 |
Subject | 중국 역사 책 읽다보면 |
성이니 씨족이니 뭐니뭐니.. 대체 그사람들 이름은 무엇인가요?? 서양사람들처럼 뭐시기뭐시기 폰 땡땡땡 이런 느낌인가요? 할일이 없어 이문열 초한지를 읽기 시작했습니다. “우임금의 이름은 문명이요, 성은 사, 씨는 하후이다” 이렇게 나오니 대체 이사람 이름은 뭐야?? 뭐라고 부르는거지?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알려주세요 역덕후님들!! 0
|
성도 부계이고 씨도 부계입니다.
모계혈통으로 전달된 무언가는 없고요
다만 원시공동체 사회에는 아버지가 누구인지 알기어려우니 혈통으로 전달될 무언가는
모계로 전달되었지 않을까라고 생각되는거 같아요.
성의 글자또한 계집녀가 들어가서 그렇게 말하는 분들이 계신거 같아요.
역사적으로 성이 모계로 전달된건 본 적이 없습니다.
성은 부계로 전달됩니다 물론 씨도 마찬가지.
모계혈통으로 전달된 무언가는 없고요
다만 원시공동체 사회에는 아버지가 누구인지 알기어려우니 혈통으로 전달될 무언가는
모계로 전달되었지 않을까라고 생각되는거 같아요.
성의 글자또한 계집녀가 들어가서 그렇게 말하는 분들이 계신거 같아요.
역사적으로 성이 모계로 전달된건 본 적이 없습니다.
성은 부계로 전달됩니다 물론 씨도 마찬가지.
근데 역사시대 이전에 성이 있었을지도 의문입니다.
그냥 어쩌다 보니 성과 씨를 쓰고 있었죠.
그리고 이전시대 성과 씨도 구전이든 목적이든 여튼 복원을 하는데
역사 시대 이전 신화시대까지 복원해서 거슬러 올라가서 성과 씨를 할당하는데
우 임금도 그러한경우고요 이건 부계로 만든겁니다.
결국 역사에 기록된 고대 신화적 인물도 성과 씨가 다 부계전달입니다.
다군님께 드리는 이야기가 아니고
모계가 성 부계가 씨라는 말은 사실 걍 간편하게 차이점을 설명해주려는 말인데
간편하지도 않고 제 생각에는 실질과도 좀 동떨어져있습니... 더 보기
그냥 어쩌다 보니 성과 씨를 쓰고 있었죠.
그리고 이전시대 성과 씨도 구전이든 목적이든 여튼 복원을 하는데
역사 시대 이전 신화시대까지 복원해서 거슬러 올라가서 성과 씨를 할당하는데
우 임금도 그러한경우고요 이건 부계로 만든겁니다.
결국 역사에 기록된 고대 신화적 인물도 성과 씨가 다 부계전달입니다.
다군님께 드리는 이야기가 아니고
모계가 성 부계가 씨라는 말은 사실 걍 간편하게 차이점을 설명해주려는 말인데
간편하지도 않고 제 생각에는 실질과도 좀 동떨어져있습니... 더 보기
근데 역사시대 이전에 성이 있었을지도 의문입니다.
그냥 어쩌다 보니 성과 씨를 쓰고 있었죠.
그리고 이전시대 성과 씨도 구전이든 목적이든 여튼 복원을 하는데
역사 시대 이전 신화시대까지 복원해서 거슬러 올라가서 성과 씨를 할당하는데
우 임금도 그러한경우고요 이건 부계로 만든겁니다.
결국 역사에 기록된 고대 신화적 인물도 성과 씨가 다 부계전달입니다.
다군님께 드리는 이야기가 아니고
모계가 성 부계가 씨라는 말은 사실 걍 간편하게 차이점을 설명해주려는 말인데
간편하지도 않고 제 생각에는 실질과도 좀 동떨어져있습니다.
그냥 어쩌다 보니 성과 씨를 쓰고 있었죠.
그리고 이전시대 성과 씨도 구전이든 목적이든 여튼 복원을 하는데
역사 시대 이전 신화시대까지 복원해서 거슬러 올라가서 성과 씨를 할당하는데
우 임금도 그러한경우고요 이건 부계로 만든겁니다.
결국 역사에 기록된 고대 신화적 인물도 성과 씨가 다 부계전달입니다.
다군님께 드리는 이야기가 아니고
모계가 성 부계가 씨라는 말은 사실 걍 간편하게 차이점을 설명해주려는 말인데
간편하지도 않고 제 생각에는 실질과도 좀 동떨어져있습니다.
어느만큼 아시고싶은지 모르겠는데 질문 하신 부분은 엄청 어려운 부분입니다.
설명에도 많은 공력이 필요합니다.
일단 아래글 읽어보시고
https://redtea.kr/?b=3&n=5423
궁금한 부분을 말씀해주세요
설명에도 많은 공력이 필요합니다.
일단 아래글 읽어보시고
https://redtea.kr/?b=3&n=5423
궁금한 부분을 말씀해주세요
우리나라는 성씨가 들어왔을대부터 이미 성씨가 같은 개념이던거 같고요
중국은 전국시대말~전한때 사라지는 거같습니다. 삼국지에 보면 없는 개념이잖아요
관련개념을 가장 오래도록 보관한 나라는 일본입니다.
묘지와 우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성 씨의 개념과 같습니다.
근데 댓글님께서는 사실 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실수가 있는게
크킹 쫌 해보셨잖아요? ㅋ 유럽의 가문창설개념과 비슷합니다.
내가 까페가문 인데 크킹으로 이것저것 사도의 길? 아니 정도의 길을 걷다보면 당연히 사생아를 낳고 걔를 핏줄로 인정하면 새가문이 창설... 더 보기
중국은 전국시대말~전한때 사라지는 거같습니다. 삼국지에 보면 없는 개념이잖아요
관련개념을 가장 오래도록 보관한 나라는 일본입니다.
묘지와 우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성 씨의 개념과 같습니다.
근데 댓글님께서는 사실 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실수가 있는게
크킹 쫌 해보셨잖아요? ㅋ 유럽의 가문창설개념과 비슷합니다.
내가 까페가문 인데 크킹으로 이것저것 사도의 길? 아니 정도의 길을 걷다보면 당연히 사생아를 낳고 걔를 핏줄로 인정하면 새가문이 창설... 더 보기
우리나라는 성씨가 들어왔을대부터 이미 성씨가 같은 개념이던거 같고요
중국은 전국시대말~전한때 사라지는 거같습니다. 삼국지에 보면 없는 개념이잖아요
관련개념을 가장 오래도록 보관한 나라는 일본입니다.
묘지와 우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성 씨의 개념과 같습니다.
근데 댓글님께서는 사실 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실수가 있는게
크킹 쫌 해보셨잖아요? ㅋ 유럽의 가문창설개념과 비슷합니다.
내가 까페가문 인데 크킹으로 이것저것 사도의 길? 아니 정도의 길을 걷다보면 당연히 사생아를 낳고 걔를 핏줄로 인정하면 새가문이 창설되잖아요?
그 새가문을 씨라고 보시면됩니다. 사생아 너는 저기 어디 부르봉에가서 공작하면서 지내도록해라
거기서 작위를 토대로 하나의 번성한 가족을 만들면
그러면 부르봉 가문이 창설되는겁니다.
이러면 부르봉은 새로 창설된 씨지만 혈통적으로는 까페라서 성은 까페인겁니다.
저 당시의 중국식으로 부르면 이름 루이/ 씨 부르봉/ 성 까페 이렇게 되야하는거죠
물론 유럽은 이렇게 하진 않았죠. 부르봉으로만 불렀던거죠.
사실 중국도 씨로만 불렀지만 성도 기록에 남겨뒀던거죠
가문 분가, 방계가문중에 가장 유명한 가문으로 예로 든거지 부르봉이 사생아 가문이란건 아닙니다
(크킹은 사생아로만 가문이 창설되는데 사실은 그게 아니라서)
사생아 가문으로 유명한건 보퍼트 가문인데 그건 모르실까봐 가장 유명한 방계가문을 예로 든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질문에 대한 대답은
중국과 우리나라는 가문창설로 새로운 성씨 창설이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방계도 같은 성씨여서 왕조로 굳이 나누지 않더라고요.
중국은 전국시대말~전한때 사라지는 거같습니다. 삼국지에 보면 없는 개념이잖아요
관련개념을 가장 오래도록 보관한 나라는 일본입니다.
묘지와 우지의 차이에 대해서 알아보시면 성 씨의 개념과 같습니다.
근데 댓글님께서는 사실 이 개념을 정확하게 이해하실수가 있는게
크킹 쫌 해보셨잖아요? ㅋ 유럽의 가문창설개념과 비슷합니다.
내가 까페가문 인데 크킹으로 이것저것 사도의 길? 아니 정도의 길을 걷다보면 당연히 사생아를 낳고 걔를 핏줄로 인정하면 새가문이 창설되잖아요?
그 새가문을 씨라고 보시면됩니다. 사생아 너는 저기 어디 부르봉에가서 공작하면서 지내도록해라
거기서 작위를 토대로 하나의 번성한 가족을 만들면
그러면 부르봉 가문이 창설되는겁니다.
이러면 부르봉은 새로 창설된 씨지만 혈통적으로는 까페라서 성은 까페인겁니다.
저 당시의 중국식으로 부르면 이름 루이/ 씨 부르봉/ 성 까페 이렇게 되야하는거죠
물론 유럽은 이렇게 하진 않았죠. 부르봉으로만 불렀던거죠.
사실 중국도 씨로만 불렀지만 성도 기록에 남겨뒀던거죠
가문 분가, 방계가문중에 가장 유명한 가문으로 예로 든거지 부르봉이 사생아 가문이란건 아닙니다
(크킹은 사생아로만 가문이 창설되는데 사실은 그게 아니라서)
사생아 가문으로 유명한건 보퍼트 가문인데 그건 모르실까봐 가장 유명한 방계가문을 예로 든겁니다.
그리고 말씀하신 질문에 대한 대답은
중국과 우리나라는 가문창설로 새로운 성씨 창설이 안되어서 그렇습니다.
방계도 같은 성씨여서 왕조로 굳이 나누지 않더라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