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8/06 12:54:23수정됨
Name   [익명]
Subject   이직하고싶으면 새 직장을 언제부터 알아봐야할까요?
지금 직장에서 일하는건 좋지만 딱 한가지 불만이 있다면 집에서 너무멀다는것이에요.
가는데 2시간 오는데 2시간 이거든요.
전철도 2번이나 갈아타요. 그것도 사람많은 2호선을 갈아타서 죽을거같아요.
사람이 이렇게 많은줄 몰랐어요.

그래서 그냥 정말 진짜로 별생각없이 다른 회사를 검색해봤는데........
집근처에 지점이 하나 생긴거에요!!!!!!!
심지어 잡코리아에 구인공고도 떴어요!!!!!!!! 마감까지 60일남았대나?
심지어 집에서 10분거리에요!!!!!!!!!!!!!!!





하지만 여기서 문제와 고민이 몇가지 생겨요.


1. 저는 정규직이라서 계약이 내년 2월까지에요.
   중간에 동종업계로 이직하면 불이익이 있다고 계약서에 써있어요.
   그리고 중간에 이직하면 이 업계가 좁아서 ㅠㅠ 소문이 금방날거같아요.
   그리고 지금 직장에서 잘 하고 있는데 상처주고 중간에 도망가듯이 퇴사하고 싶지 않아요 ㅠㅠ

2. 지금 다른 회사에 면접을 보고 내년에 이직할 계획을 세운다면?
   다른 회사에 면접을 일단 보고, 거기에 내년3월부터 일할수 있다고 말했는데, ok하면????
   그럼 지금 회사에는 11월쯤에 저 그만두겠습니다 하면 될까요? 다음 사람을 구할 수 있게?

3. 지금 회사에서는 연봉 세후 약 2700만원 주6일 일하고 있어요.
    다른 회사는 잡코리아에 연봉 세전 3000만원 주5일부터 시작한데는데 협의필요라고 써있어요.
    경력직 3년이상구한다는데 그건문제없어요.(경력 15년차)
    만약 막상 갔는데 아 전에 말한건 구라고 더 적게 줄거에요 하면 우짜죠?
    왜냐하면 이 다른 회사의 다른 지점은 세전 2000이라고 써있거든요..........
    버는 돈이 더 적어져도 집에서 10분거리라면 가는게 나을까요?????

4. 이 업계가 정말정말 좁아서 사장들끼리 다 알고 지내요.
    저는 좀 어.......좋게말하면 열일하고 나쁘게말하면 오지랖넓고 요란하고 시끄러운데
    어..................잘 모르겠네 ㅠㅠ 지금 사장님이 유일하게 그동안 다녔던 회사 중에서 그나마 잘 맞는 상사라서.....

5. 다른 회사가 지금 회사보다 분위기가 좋을지, 업무강도가 비슷하거나 낮을지 모르겠어요.
    보통 이 다른 회사에 대한 업계인들의 평가는 존내빡세다거든요............. 저는 쉬엄쉬엄 하고싶어요.....
    지금 회사에 있는것도 정말 편의를 많이 봐주고 쉬엄쉬엄 하는편이고 부담없고 짬도있어서 땡땡이도 눈치껏하고.......
    먼거빼곤 정말 편한데 ㅠㅠㅠㅠㅠㅠ




고민이 됩니다..........
아 이거 글쓰기 체크 뭔가 이상해여 자동삭제랑 익명이랑 같이해주세요 ㅠㅠㅠㅠㅠ



0


제가 이직 경험이 없어서 이해가 안가는데.. 계약기간이 명시되어 있는데 정규직인가요?
[글쓴이]
어.... 원래 정규직은 1년마다 연봉얘기하면서 계약서 쓰지않나요? 저는 그렇게 했는데.....;;
다람쥐
연봉계약을 하는거랑 근로계약 자체를 1년마다 하는거랑은 달라요
[글쓴이]
4대보험하는데 정규직인거같아요 아마도?
다람쥐
연봉계약이랑 근로계약이랑 달라요.
4대보험이랑 정규직 계약직도 관계없고요.
정규직이시면 연봉계약이 내년 2월까지인거랑 상관 없이 아무때나퇴사하셔도 상관없습니다. 계약직이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지만 선생님이 계약기간을 신경쓰셔서요. 정규직이면 정년까지 계약인거고 연봉계약이랑 퇴사시점은 무관해요
일단 선생님이 정규직이신건지요?

그리고 2번 관련, 내년 3월부터 일할 사람을 지금 뽑는 회사는 아마 없을겁니다...... 있더라도 아주 아주 드물겠죠 오래 기다려줘도 3개월 아닌가 싶네요. 지금 면접보고 붙으면 한달정도 있다가 가 ... 더 보기
연봉계약이랑 근로계약이랑 달라요.
4대보험이랑 정규직 계약직도 관계없고요.
정규직이시면 연봉계약이 내년 2월까지인거랑 상관 없이 아무때나퇴사하셔도 상관없습니다. 계약직이어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하지만 선생님이 계약기간을 신경쓰셔서요. 정규직이면 정년까지 계약인거고 연봉계약이랑 퇴사시점은 무관해요
일단 선생님이 정규직이신건지요?

그리고 2번 관련, 내년 3월부터 일할 사람을 지금 뽑는 회사는 아마 없을겁니다...... 있더라도 아주 아주 드물겠죠 오래 기다려줘도 3개월 아닌가 싶네요. 지금 면접보고 붙으면 한달정도 있다가 가 줘야죠. 퇴사는 한달 앞두고 통보하면 됩니다.

근데 세전 이천은 좀 아닌거같아요 최저임금은 될까 모르겠네요
하시는 업무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는데 같은 회사 다른 지점이 왜 이렇게 페이차이가 나는건지도 잘 모르겠고요. 말만 지점이고 취급 브랜드만 같지 사실상 독립사업체 아닌가 싶기도 한데요
일단 하시는 업무에 대한 특성을 좀 알아야 할 것 같고
글쓴님이 정규직인건지 계약직인건지에 따라서도 답변이 다르게 달릴 것 같아요
1
[글쓴이]
매년 재계약하고 연봉아주조금씩오르고 4대보험들면 정규직이 아...닌가요? ㅠㅠ
다람쥐
아니죠...^^;;; 정규직도 연봉계약은 해요
계약직은 계약 자체를 회사가 재계약 안할수도 있는거고요
계약직도 매년 재계약하고 연봉 올려주고 사대보험 다 듭니다.
글쓴님은 정규직을 뭐라고 이해하고 계신가요?

정규직이시면 연봉계약만 내년 2월이고 실제적인 계약은 정년까지에요 정년 이전에 그만두면 언제 그만두든 다 똑같은것이니 선생님 말씀대로 중간에 이직해서 소문날까봐, 상처줄까봐 걱정일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정년 전에 이직하는건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선생님이 그 회사에서 정년 채우실 것 아니잖아요 연봉 재계약시까지 기다릴 필요가 전혀 없습니다 ^^;;;;
정중아
일단 정규직이 맞으신지 명확하게 해주셔야 할것같아요. 매년 계약하신다는게 근로계약인지, 연봉계약인지…근로계약이고, 근로 기간에 정함이 있으면 정규직이 아닙니다 ㅠㅠ
[글쓴이]
매년 계약서 새로쓰고 근로규칙적혀있고 연봉도 써있는데.......근로기간이 정해져있는데 1년단위로 그래서 1년마다 새로 계약서 쓰는데 4대보험을 받아도 그럼 정규직이 아닌가요?ㅠㅠ
4대 보험이면 적법성을 따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4대 보험이 아니면 적법하지 않게 고용하는 거구요

정규직, 계약직 기준은 근로기간이 기준입니다.
입사시 최초 계약으로 계속 이루어지면 정규직입니다.
2년 안 기간으로 근로 계약이 이루어지면 계약직입니다.
2년 넘어가도 계속해서 계약이 자동 연장되는경우는 무기계약직입니다.

연봉 계약은 근로 계약이랑 다릅니다. 기간이 없고 연봉만 협상합니다.

이직 결정전에 연봉계약이랑 모든 상황을 협의하고 완료 되었을때 이직하셔야 합니다. 즉 근로계약, 연봉계약에 대한 합의가 ... 더 보기
4대 보험이면 적법성을 따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4대 보험이 아니면 적법하지 않게 고용하는 거구요

정규직, 계약직 기준은 근로기간이 기준입니다.
입사시 최초 계약으로 계속 이루어지면 정규직입니다.
2년 안 기간으로 근로 계약이 이루어지면 계약직입니다.
2년 넘어가도 계속해서 계약이 자동 연장되는경우는 무기계약직입니다.

연봉 계약은 근로 계약이랑 다릅니다. 기간이 없고 연봉만 협상합니다.

이직 결정전에 연봉계약이랑 모든 상황을 협의하고 완료 되었을때 이직하셔야 합니다. 즉 근로계약, 연봉계약에 대한 합의가 끝난 상태라는거죠. 그전에 퇴사 밝히고 옮기고 나서 계약하면서 덜 주겠다 하면 안됩니다. 그리고 이직은 근로자의 권리입니다. 해고가 회사의 권리인것처럼요. 그냥 마무리 과정이 깔끔하면 됩니다. 인수인계 잘하구요.
[글쓴이]
아 4대 보험은 그냥 적법성만 따지는 거군여..... 전 1년단위로 계약서를 썼으니 계약직이고....

글쿠나....
아침커피
이게 다 케바케라서 n개월 전에는 회사에 말 해야 한다 등의 구체적인 숫자를 말씀드리는 것은 어려울 것 같고요 ㅎ 방법론을 따져보자면 "내가 퇴사해도 회사에 무리를 주지 않을 정도" 로 지금 회사에 말씀을 해 주시면 추후에도 현 회사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실 수 있을 거예요. 예를 들어 현 회사가 요즘 일이 없다면 (-_-) 한 달 후에 나가겠다고 말씀하셔도 될 것이고, 반대로 현 회사가 요즘 너무 바쁘다면 3개월이나 4개월 후에 나갈 것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이 좋을 수 있겠지요. 법적인 부분이 아니라 글쓴이님의 4번 관심사 (이 업계가 좁아요) 에 대한 말씀을 드렸습니다 ㅎ
[글쓴이]
앗 맞아여 업계가 너무 좁아서 ㅠㅠ 답변감사드립니다.....
윤지호
https://www.youtube.com/watch?v=UmHdefsaL6I
PSY - RIGHT NOW M/V


...죄송합니다
[글쓴이]
ㅠㅠ
직장이 좋으면 집을 옮기시는걸 추천드려요
[글쓴이]
집은 지금 살고있는 지역이 엄청좋아서......그리고 현 직장 근처는 4기신도시지정이라 돈도없구 구할수도 없어요 ㅠㅠ
J_Square
그 회사에서 2년 이상 일하셨으면 기간제셨어도 정규직 대우 맞습니다.
이게 논점이 될 질문은 아닌거 같은데 ;;

1. 업계 관행이 뭔가 있다면 그것을 따르는 것이 평판에 좋겠고요. 일반적인 경우에 이직은 원래 좀 기존회사랑 데면데면해지는건 있지요. 회사에 불만없고 그냥 개인사정이라고만 하시거나 어쨌든 회사 싫다는 어필만 안 하시면 되겠습니다.

2. 보통은 1달 정도가 말미입니다. 채용 결정 후 6~7개월 말미를 주는 회사는 일반적인 이직은 아니구요.

나머지는.. 뭐 업계에 따라 다 다른거라 주변에 믿을만한(입무거운) 동료에게 물으시는게 더 좋겠네요 .
[글쓴이]
올해로 7년 일하고 있습니다 ㅠㅠ
회사에는 불만이 없는데 먼 것이 문제라서.... 근데 그건 개인사정이라고 교통문제는 알아서해야하는거아니냐 라고 몇번까여서;;;;;
말미를 길게 주는 회사는 역시 없겠죠? ㅠㅠ...
저도 업계 사람들끼리 정말정말 좁은, 하나 건너면 다 아는 쪽에서 일하고 있는데 소문나셔도 괜찮습니다. 그 소문이 돈 들고 도망쳤다 이런게 아닌 이상요.

그리고 소문 나지도 않습니다. 레퍼런스 체크를 하지 않는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괜찮습니다.

이직하는거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상처주는 행동 아닙니다. 그런 걱정이라면 마음 놓고 이직하시면 됩니다. 중간에 도망치는거 아닙니다. 중간도 아니고 도망도 아닙니다. 업무 인수 인계 잘 하시고 후임 구할 시간만 주시면 됩니다.

제가 있는 곳은 이직이 잦은 업계이기도 한데 좋은데 이직... 더 보기
저도 업계 사람들끼리 정말정말 좁은, 하나 건너면 다 아는 쪽에서 일하고 있는데 소문나셔도 괜찮습니다. 그 소문이 돈 들고 도망쳤다 이런게 아닌 이상요.

그리고 소문 나지도 않습니다. 레퍼런스 체크를 하지 않는다면 거짓말이겠지만 괜찮습니다.

이직하는거 남아있는 사람들에게 상처주는 행동 아닙니다. 그런 걱정이라면 마음 놓고 이직하시면 됩니다. 중간에 도망치는거 아닙니다. 중간도 아니고 도망도 아닙니다. 업무 인수 인계 잘 하시고 후임 구할 시간만 주시면 됩니다.

제가 있는 곳은 이직이 잦은 업계이기도 한데 좋은데 이직하면 오히려 다들 축하해줍니다. 왜냐면 좋은 조건으로 이직은 내가 하고 싶은 것이기도 하니까요. 빌어먹을 곳에서 탈출한다는 것 자체로 축하받을 일이니까요.

제 지인이었다면 무조건 이직 준비하라고 했을 겁니다.

약간 쎄게 말하면 일하신 연차에 비해서 연봉, 출퇴근 거리 문제가 크다고 생각됩니다.
[글쓴이]
그런가요......
용기를 내서 준비해보겠습니다.
출퇴근이 솔직히 너무 압박이에요 ㅠㅠ 돈도 돈이고...
좀 쎄게 말하는 것 같긴 한데 무조건 이직하셔야 합니다.

출퇴근 시간과 연봉만큼 중요한 건 없습니다.

업계소문, 상처, 도망 이런 생각 안 하셔도 됩니다. 정말입니다.

횐님이 하시는 이직은 그런 것과 거리가 백만광년은 떨어져있습니다.
[글쓴이]
회원님 말듣고 이력서 보내보았습니다 ㅠㅠ
1일3똥
소문날 일 없고, 소문난다 해도 아무 영향 없습니다.
최우선으로 고려하실 사항은 집근처 회사가 구인공고에 쓰인대로 대우를 해주느냐로 보이네요.
[글쓴이]
그게 제일 걱정이에요 하도 나중에 말바꾸는 경우가 많아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013 진로이직하고싶으면 새 직장을 언제부터 알아봐야할까요? 25 [익명] 21/08/06 4988 0
11980 진로회사 선택과 관련하여 고견을 구하고 싶습니다. (완료) 11 [익명] 21/08/01 4910 0
11934 진로연봉 1000만원을 낮춰서 이직하는게 괜찮은지 모르겠습니다 13 [익명] 21/07/22 8242 0
11890 진로월급에서 저축 얼마하시나요? 25 copin 21/07/13 3946 0
11887 진로신입사원에게 추천해주실 것들이 있을까요? 57 아이캔플라이 21/07/12 4640 0
11868 댓글잠금 진로컴활 자격증 따보신 분 계신가요 2 [익명] 21/07/09 4211 0
11804 진로30대 초반 진로 고민입니다 29 [익명] 21/06/30 6619 0
11801 진로주식회사의 주주와 대표의 관계는 어떻게 설정되나요? 13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6/29 5234 0
11775 진로논리력이 부족한 사람은 어떤 직무를 택하는 게 좋을까요? 23 [익명] 21/06/24 4661 0
11748 진로코스트코 취업 질문입니다. 부탁드려요 6 [익명] 21/06/20 6901 0
11727 진로직장을 가진 자가 사업자등록증을 낼 수 있나요? 7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6/14 4727 0
11674 진로병원 인턴 계속 해야할까요 13 [익명] 21/06/06 5066 0
11658 진로30대 중반에 신입 개발자 취업 가능할까요? 17 윤지호 21/06/03 3502 1
11656 진로대기업 인적성 계속 떨어지면 그냥 포기해야 하나요? 20 [익명] 21/06/02 6752 0
11609 진로조금은 고민되는 친구들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15 [익명] 21/05/25 5018 0
11565 진로딥러닝 개발자입니다 웹 개발해보고 싶어요 8 2막4장 21/05/19 4908 0
11489 진로헤드헌터와 이직을 함께 해 보신 분 계실까요? 14 매일이수수께끼상자 21/05/04 5971 0
11418 진로백수도 아닌데 너무 한가한 삶이 불안합니다. 27 샨르우르파 21/04/25 6760 0
11322 진로공무원 시험준비는 어떻게 하는건가요? 8 [익명] 21/04/09 4097 0
11313 진로조언 감사합니다. 24 라이너혼 21/04/08 5034 0
11276 진로강소기업 의료기기 기술영업 어떨까요? 5 [익명] 21/04/02 3845 0
11274 진로직장생활 중 현타 올때 어떻게 하시나요? 27 [익명] 21/04/01 5285 0
11252 진로전공을 고르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11 거위너구리 21/03/27 4483 0
11213 진로대학원생의 일상? 13 쿠팡 21/03/20 5965 0
11122 진로2년제 기계설계과 진로문제 6 [익명] 21/03/02 423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