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8/17 11:27:57
Name   크루아상
Subject   앞으로 부동산 (집값) 어떻게 될까요?
대선도 다가오고 여러 이슈들이 맞물린거 같은데 홍차넷 유저분들 의견이 궁금해서 질문글 올려봅니다.

현상과 부동산에만 집중해주시고 정책 비판은 삼가 부탁드립니다. 댓글 투기장 노노해..

1. 정권이 바뀐다
1-1 거래 관련 세금이 낮아지고 거래가 활발해지면서 집값 상승세가 둔화된다
1-2 거래는 활발히 되는데 2+2 전세 계약이 끝나고 나오는 대기 수요자들의 수요가 폭발하면서 집값은 빠르게 계속 오른다
1-3 수요자들이 눈치를 보면서 집값이 떨어진다...?

2. 정권이 유지된다
2-1 거래량이 계속 묶인다 -> 집값 상승
2-2 거래량이 계속 묶이고 세금 때문에 아무튼 집값이 떨어진다
2-3 수요는 늘고 공급은 줄고 집값이 대폭발한다

이 외 이슈들이나 의견들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0


사십대독신귀족
부알못입니다만

우선, 야당 대선주자들은 거진 공급확대, 규제축소, 임대차3법을 폐지해야한다고 말하고 있는지라 정권이 바뀌면
요 몇 년 처럼 계속 된 상승은 좀 둔화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만 공급이란 게 바로 될 리가 없고 한 번 오른 집값이 조정 받아도 크게 받을까 싶습니다.

반대로 여당 대선주자들은 규제 강화를 말하는 분들이 대다수고 공급마저도 안 하겠다는 분들도 있는데다가 공공임대를 더 늘리겠다고 하고 무엇보다 민주당 쪽이 정권을 잡으면 부동산이 폭등한다가 공식이 된 상황이라 기대심리탓으로도 더 오르지 않을까 싶습니다.
EuropaV
제가 신뢰하는 고수분께서는
이미 공급량을 오랜 세월 착실하게 조져놨기 때문에 세금과 무관하게 폭등할 것이라고 보시더군요
심지어 문재인이 아니라 지옥에서 돌아온 이명박이 정권 잡았어도 폭등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근데 온 우주의 기운이 몰려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듯 공교롭게 서울 시 내 모든 공급이 동시에 터지는 구간이 한번 있거든요?
그게 23말 24초인데 이때는 문재인이 지옥에서 돌아와서 정권잡아도 강력한 조정이 올 수 밖에 없을겁니다.

그 이후로 다시 공급절벽이라고 하는데 뭐 2027쯤이면... 더 보기
제가 신뢰하는 고수분께서는
이미 공급량을 오랜 세월 착실하게 조져놨기 때문에 세금과 무관하게 폭등할 것이라고 보시더군요
심지어 문재인이 아니라 지옥에서 돌아온 이명박이 정권 잡았어도 폭등할 것이라는 이야기를 하시는 분들도 계십니다.

근데 온 우주의 기운이 몰려서 이상한 일이 일어나듯 공교롭게 서울 시 내 모든 공급이 동시에 터지는 구간이 한번 있거든요?
그게 23말 24초인데 이때는 문재인이 지옥에서 돌아와서 정권잡아도 강력한 조정이 올 수 밖에 없을겁니다.

그 이후로 다시 공급절벽이라고 하는데 뭐 2027쯤이면 3기 신도시 슬슬 가시권일테니 시장 심리가 다시 폭등으로 가진 않을겁니다.
8
정권과 상관없이 결국 수요-공급인데 공급이 없으니까 저는 상승봅니다.
일주택자는 당연히 그렇고 다주택자도 매도할 이유가 없어보이네요.
맥주만땅
집값 특히 누구나 살고 싶어하는 곳의 집값이 떨어질 일은 없을 겁니다.

한국이 경제적으로 가장 큰 충격을 받았을 때인 IMF때에도 단기간 하락했을 뿐 입니다.

물론 MB 때 처럼 공급을 확대하면 박근혜 정부 때 처럼 빚내서 집사라고 하는 구간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그 구간도 그리 길지 않았습니다.
1
회색사과
저도 부알못인데 생각하는 바를 적어보자면...


차기 정권이 어디가 됨에 상관 없이 규제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될 것 같습니다.

1. 규제를 풀지 않는다 - 지금처럼 영끌이 계속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대출이 나오는)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그게 하방 버팀목이 되어서 비싼 집들도 차례로 오른다

2. 규제를 푼다 - 지금까지 쌓여 있던 주택 수요, 언제 다시 규제가 생길 지 모른다는 공포감에 진정한 패닉 바잉이 있을 것 같습니다. 순간적인 폭등이 한 번 있고, 수요가 한 번 해소된 이후에는 일시적... 더 보기
저도 부알못인데 생각하는 바를 적어보자면...


차기 정권이 어디가 됨에 상관 없이 규제로만 살펴보면 다음과 같이 될 것 같습니다.

1. 규제를 풀지 않는다 - 지금처럼 영끌이 계속 일어나서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 (대출이 나오는) 주택 가격이 상승하고, 그게 하방 버팀목이 되어서 비싼 집들도 차례로 오른다

2. 규제를 푼다 - 지금까지 쌓여 있던 주택 수요, 언제 다시 규제가 생길 지 모른다는 공포감에 진정한 패닉 바잉이 있을 것 같습니다. 순간적인 폭등이 한 번 있고, 수요가 한 번 해소된 이후에는 일시적인 조정이 있겠지만 폭락이라고 할 수준은 아닐 것 같습니다.

집값을 안정화 시키려면 규제가 아니라 공급을 건드려야 할 것 같은데
재개발/재건축 뻥뻥 허가해주고 짓기 시작해도... 실제 시장에 나오려면 최소 2년은 걸릴 거라고 생각하면
규제를 어찌하는 것과 상관 없이 아직 더 갈 거라고 봅니다.


공급을 틀어막고, 양도세/보유세를 훅 올려놓은 시점에서.. 이미 비가역적인 단계로 넘어갔다고 봅니다.

정권이 넘어간다고해서, 이미 확보된 세수를 낮춰줄 리 없고 [보유세/양도세] 집 가진 사람은 그만큼 올려 팔려고 하겠죠.
"똘똘한 집 한 채"가 정석이 된 시점에... 높은 가격에 안 팔리면 그냥 살면 그만이구요..

조정이야 오겠지만... 16년 이전으로는 아니라고 봅니다.

공급이 미친듯이 풀리는 시점에 리만 브라더스급 사태가 같이 터져서 건설회사들 망해나가고 증권사들 뱅크런 나오는 상황이 나오지 않고서야..
나코나코나
정권이 바뀌기 전에 내년 계약갱신청구권 만료를 앞두고 수요가 급증하면서 한 차례는 또 갭상이 있을거라고 보고요.
그러다가 정권 바뀌면 임대차 3법 등 부동산 악법이 폐지되고, 서울 수도권내 공급이 확대되면서
MB ~ 박근혜 초중반기처럼 상당히 큰 장기 하방이 있을거라고 봅니다.

지금 오세훈 시장 + 야당 대선주자들쪽 부동산 정책을 보면
지방뿐만 아니라 서울 내 노후지구들 대규모 재개발 + 그린벨트 일부 해제하고 택지지구 조성은 국민의힘 당론이나 마찬가지니까요.
주식하는 제로스
인구가 주니까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집값이 내리긴 할겁니다.

근데 그 장기까지 집을 쓸거니까..-_- 실거주 수요자 입장에서는 집을 안 살 이유가 없죠.

부동산에서 5년 10년은 단기예상에 가깝다고 보이고 그런 단기예상은
집값은 계속 오를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급등은 예상하는 것도 아니고 희망하지도 않고..

결국 공급이 없고 수요는 줄어들지 않는 구간이라서, 정권이 바뀌든 안바뀌든
상승폭의 변화는 있을지언정 상승방향 자체가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권이 교체되면 거래는 활성화되면서 가격은 ... 더 보기
인구가 주니까 아주 장기적으로 보면 집값이 내리긴 할겁니다.

근데 그 장기까지 집을 쓸거니까..-_- 실거주 수요자 입장에서는 집을 안 살 이유가 없죠.

부동산에서 5년 10년은 단기예상에 가깝다고 보이고 그런 단기예상은
집값은 계속 오를거라고 생각합니다. 지금처럼 급등은 예상하는 것도 아니고 희망하지도 않고..

결국 공급이 없고 수요는 줄어들지 않는 구간이라서, 정권이 바뀌든 안바뀌든
상승폭의 변화는 있을지언정 상승방향 자체가 꺾이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정권이 교체되면 거래는 활성화되면서 가격은 일시적으로는 더 오르고 1~2년정도면 안정을 찾을 것으로 생각하고

정권이 유지되면 거래가 정지되면서 가격은 외부적으로는 오르는게 보이지 않지만
현재 청약로또처럼 거래성사가 준로또같은 형태가 되는 식으로 거래가 되리라 생각합니다.
(매도자가 매각할 급박한 사정이 생겨서 처분해야 하는 상황의 거래)
겨울삼각형
인구가 줄어도 가구수는 안줄어 듭니다...
cummings
인구감소는 2030년정도, 가구수 감소는 2040년 이후를 예상하긴 하더군요.
20년 뒤면 엄청 먼 미래도 아닌...

장기적으론 일본 코스(지방 하락, 대도시보합, 서울강보합) 따라가지 않을까 싶습니다.
다른곳은 모르겠는데 제주도는 그냥 무지성 구매 하셔도 괜찮습니다. 6개월전에 분양권 피 450주고 산게 지금 피 시세 5000넘었습니다. 코로나 끝날 기미 안보이면 제주도 시세는 그냥 못막습니다.

아 신축아파트도 아니고 그냥 생숙 레지던스입니다.
2
마술사
양도세율이 키포인트라고 봅니다
다주택자 양도세율을 내려주는 순간 그동안 억눌러왔던 매도세가 폭발해서 가격이 조정될겁니다
양도세율 조정이 안되면 세금때문에 팔수가 없어서 매도물량이 적지만 오름세가 유지될거구요
마포뭉이
양도세율도 엄청나지만 보유세도 엄청난데, 그게 올해말부터 크게 오릅니다. 특히 법인은 주택 종부세율이 3%부터 시작하는데, 1년 부동산 수익률이 3% 왔다갔다 하는 상황에 종부세만 내도 1년 수익이 사라지는 상황에서 양도세율이 문제가 아닐 거라고 생각됩니다. 기본적으로 정권 초기에는 어느 정권이든 부동산 가격 어느 정도는 잡으려고 할 것 같아요.
크루아상
다들 소중한 의견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우상향파인데 주변 사람들에게 좀 더 자세히 아는 척을 할 수 있을거 같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39 경제세대주 관련 질문드립니다. 16 copin 21/09/29 4383 0
12334 경제저의 재정상태+미래집구하기에 대해서 조언해줄 어르신횐님을 찾아여 74 흑마법사 21/09/28 3491 0
12325 경제상장폐지와 후속조치에 대한 궁금증 질문드립니다. 3 왼쪽의지배자 21/09/27 4304 0
12300 경제오피스텔 매매 관련 질문. 14 [익명] 21/09/23 4822 0
12266 경제VR, VRCHAT 관련 주식은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6 INFJ 21/09/16 8111 0
12248 경제아파트 궁금증 5 OshiN 21/09/12 4151 0
12241 경제무실적 체크카드 추천좀 부탁드립니다. 13 copin 21/09/11 4656 0
12208 경제재난지원금 대상자 문의 8 DogSound-_-* 21/09/07 3756 0
12180 경제원룸이 경매에 넘어갔읍니다 ㅠ 10 DogSound-_-* 21/09/02 4619 0
12177 경제주택청약통장 연체 일시납 질문입니다. 3 Jack Bogle 21/09/02 4452 0
12146 경제학원강사를 준비하고자 합니다. 14 거위너구리 21/08/28 5136 0
12115 경제신세계상품권 30만원어치를 가장 싸게 살 수 있는 방법이 뭘까요? 16 똘빼 21/08/23 4546 0
12090 경제주택연금 질문입니다. 5 [익명] 21/08/20 4343 0
12085 경제주식 명의 이전 관련하여 질문 올립니다. 2 [익명] 21/08/19 4054 0
12077 경제천만원대 금액 카드 결제시 캐시백? 11 리니시아 21/08/18 5291 0
12068 경제앞으로 부동산 (집값) 어떻게 될까요? 13 크루아상 21/08/17 4424 0
12067 경제저한테 맞는 투자 방법은 어떤게 있을까요? 25 쉬군 21/08/17 4819 0
11983 경제자동차 장기렌트 관련 질문입니다. 8 곰곰이 21/08/02 4655 0
11974 경제한국의 가계부채규모는 굉장히 위험한 수준 아닌가요? 26 Gogoss 21/07/31 5593 1
11963 경제수퍼카 구매 + 연간 유지비가 궁금합니다 10 둥그란인생 21/07/30 4267 0
11952 경제에어컨 사용 방법과 전기료의 관계 5 알겠슘돠 21/07/27 3860 0
11924 경제중고신입에 연봉 2300이면 어떤가여?(내용 추가) 13 [익명] 21/07/21 6151 0
11920 경제3.3이라는 업체 아십니까? 13 하우두유두 21/07/20 4580 0
11902 경제청약통장 납입 관련 질문입니다. 6 化神 21/07/16 4263 0
11884 경제신용카드 추천 부탁드립니다. 5 트린 21/07/12 4341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