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09/14 16:52:05
Name   [익명]
Subject   육아휴직후 복직했을때 어느정도까지 페널티가 용인되나요?

후배가 이런 저런 사정으로 육아휴직을 하고 이번주에 복직을 합니다.
(저희 팀은 아닙니다.)

후배가 육아휴직을 쓸때 팀장이 '지금 우리 팀이 사람도 모자라고 너의 커리어를 봐도 그렇고 팀장으로서 휴직을 쓰게 할 수 없다' 라면서 결재를 안해줘서 팀장 결재 없이 사업부장이랑 인사팀장 결재만 받고 휴직 들어갔고요.
그래서 이 친구 팀장이 대노해서 내가 아무리 사람이 없어도 얘는 안 받는다. 와도 자리 없다. 어차피 복직 안할거 아니냐.. 라고 했답니다.  (회사가 보수적이라 남자가 육아휴직을 쓰면 이직 준비 하는 경우가 90% 입니다. 10%가 복직을 해도 커리어가 망하고요)

그런데, 조직개편이 되면서 옆팀에 인원이 충원되었습니다. 정말 복귀할 자리가 없어진거죠. 물리적으로도 원래 쓰던 자리를 다른 사람이 쓰고 있고, 원래 하던 업무도 (당연히) 다른 사람이 하고 있습니다.

지난주에 이 친구가 복직 준비 한다고 와서 인사하고 서류 작성하러 왔는데.. 팀장은 눈도 안마주치고 냉랭하고 서류 사인도 '쓸때는 내 사인 받고 했냐?' 라면서 안해줬대요. 그리고 며칠 지났고, 낼모레면 복직인데 자리도 아직 없고, 슬쩍 물어보니 관리팀에 자리 준비해야 한다는 말도 안한것 같습니다. 이 친구는 복직하면 당장 앉을 자리도 없는거죠.

그래서 '갈데 없으면 우리팀 와라' 라고 하고 인사팀에도 얘기 했는데, 공장장이 OK 를 안하는 것 같습니다.
저희도 인원이 부족하지만 지원부서고, 주력부서로 보내려는 것 같아요. (휴직한 본인은 원부서 복귀 안될바에는 저희 팀이 낫다고 생각하고요)
저희 팀원들은 '받아줬다가 저 팀이랑 관계 틀어지면 앞으로 힘들어 집니다.' 라고 반대하고요.
(사실 그것보다 자기들보다 고참이 오는게 싫은것 같기도 합니다. 아무래도 후배나 신입을 받고 싶은게 인지상정이니)

개인적인 측은지심외에 회사가 육아휴직후 복직자에게 대놓고 차별을 하면 안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휴직전 소속부서 복귀가 원칙으로 알고 있고요.
이거 이렇게 돌아가도 법적으로 문제가 안되나요?
이 회사에서 육아휴직을 쓴다는 것 자체가 상당히 독한 맘 먹지 않으면 안되는데, 한번 맘 먹었던 사람이 한번 더 먹고 직장내 괴롭힘 같은걸로 신고하면 문제 되는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듭니다.

일단 복직하면 바로 추석연휴니 자리 없이 회의실이나 휴게실에 멍하니 있다 퇴근할 것 같고, 자리는 언제 마련해줄지도 모르는 상황에 본인이 원치 않는 부서로 발령날 것 같은데, 이게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건가요?




0


주식하는 제로스
원치 않는 부서정도까지는 어쩔수 없는데 그게 객관적으로 생활상 불이익이 된다면 부당한 인사처분으로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자리 없이 방치하는 것은 말씀하신 것처럼 직장내 괴롭힘의 전형적인 유형이기도 하고요.. 다만 일시적인 거라면 그자체로 바로 문제가 되지는 않을겁니다. 어느정도 기간이 경과해야 문제가 되지요.
3
떡라면
요즘 직장내 괴롭힘에 민감한데 너무 막하는군요.
장기적인 괴롭힘으로 인한 정신적인 피해로 일상생활에 지장이 올 정도라면 진단을 받고 산재 신청도 가능합니다.
J_Square
조직개편으로 인원 충원 되었다면 그 팀장 손은 떠났다고 봐야하구요. 인사팀에서 조율하도록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실무적으로 임금보장 되고 유사 수준의 업무강도가 유지된다면 고평법상 위법사항은 아닙니다.
다만 통상 2주~1월 이상 합리적 이유 없이 대기발령 상태 준하게 내버려두면 취업청구권이니 부당인사권 행사니 하는걸로 넘어갈수 있고, 아예 이 자체만으로 육아휴직자 불이익 처분으로 해석되어 회사에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정도는 인사팀에서 아마 알거라서 어떻게든 할거고요.

다만 그 전팀장이 하는 짓들이 구체적으로 증명된다면 ... 더 보기
조직개편으로 인원 충원 되었다면 그 팀장 손은 떠났다고 봐야하구요. 인사팀에서 조율하도록 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실무적으로 임금보장 되고 유사 수준의 업무강도가 유지된다면 고평법상 위법사항은 아닙니다.
다만 통상 2주~1월 이상 합리적 이유 없이 대기발령 상태 준하게 내버려두면 취업청구권이니 부당인사권 행사니 하는걸로 넘어갈수 있고, 아예 이 자체만으로 육아휴직자 불이익 처분으로 해석되어 회사에 문제가 생길수 있습니다. 이정도는 인사팀에서 아마 알거라서 어떻게든 할거고요.

다만 그 전팀장이 하는 짓들이 구체적으로 증명된다면 직장내 괴롭힘 가능성이 있고, 그 과정에서 결재 안해줘서 후배님이 정신적 고통을 받았다는 사정이 인정되면 거의 빼박 직장내 괴롭힘이니 전팀장 입단속부터 시키는 것이 좋겠습니다.
2
헌혈빌런
와 댓글보니 일단은 맞고나서 대응해야하는거군요 ㅠㅠ
윤지호
일단 피해사실이 있어야 피해사실을 증명할 수 있는 증거가 생기고 그 증거를 가지고 고소고발이 가능해지는 거겠죠
헌혈빌런
네 물론 당연한 말씀이긴 합니다.

모르고 맞았으면...어 맞았네? 대응해야지 하겠는데

맞는게 예고되는 상황에서 미리 할 수 있는게 없다는게 좀 안타깝네요.
망손꽝손
정말 안타깝네요…ㅠㅠ 육휴로 이렇게까지 하다니… 출휴면 자기 부서로 돌아가는데 육휴는 꼭 그렇진 않았어요. 부서장이 자리 지켜주면 돌아갈 수 있고, 안 지켜주면 비는 곳으로 들어갔어요…
꿀래디에이터
팀장이 그런 소리 하는거 녹음은 다 따두세요
안타깝네요..
자세한 내용들은 윗 댓글에서도 많이 언급되었고,
최근에도 이러한 사례들이 적지않게 발견되고 있어서 정말 안타깝네요.

다행히 제가 근무한 회사들에서는 이러한 근기법 내 제도들이 잘 준수되고,
복직후에도 큰 문제없이 동일한 성격의 업무부여와 업무강도로 진행되었었는데,
모성보호, 자녀육아에 대한 인식 전환 재고가 이렇게 어렵나 싶은 생각이 듭니다.
너부리
육아휴직은 청구자가 원할 경우에는 회사가 무조건 승인하여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 아닌가 보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367 법률여권과 비자 재발급에 따른 리스크 검토 6 개랑이 21/10/02 3978 0
12365 법률장거리 파견시에도 실업급여신청이 가능한가요? 2 헌혈빌런 21/10/02 4077 0
12343 법률복비를 내는 사람이 제가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7 [익명] 21/09/29 6046 0
12308 법률(오징어게임) 이런 경우에 드라마 제작사에게 법적 책임이 있나요? 5 똘빼 21/09/25 4029 0
12276 법률소송비용액 확정 판결 이후에 진행 절차.. 어제내린비 21/09/17 4247 0
12262 법률자동차 가벼운 접촉 사고 어떻게 대처하는 게 좋았을까요? 6 INFJ 21/09/15 8001 0
12259 법률육아휴직후 복직했을때 어느정도까지 페널티가 용인되나요? 11 [익명] 21/09/14 4364 0
12252 법률상대방이 녹음기를 들이 밀며 기억이 정확한지 압박할때는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요!? 4 [익명] 21/09/13 3762 0
12236 법률이런 경우도 거리두기 위반인가요? 4 헌혈빌런 21/09/10 4569 0
12134 법률일하는 곳에서 남의 부주의로 인한 상해를 입었을때 6 헌혈빌런 21/08/26 4113 0
12119 법률여직원이 임원으로부터 협박 비슷한걸 받는 것 같습니다 3 [익명] 21/08/24 3854 0
12108 법률상속인간 증여와 세금. 6 Regenbogen 21/08/23 4352 0
12092 법률채권추심 민사소송 해보신분?? 9 copin 21/08/20 4506 0
12047 법률부동산 개인간 월세계약 질문입니다. 5 심해냉장고 21/08/12 4205 0
11996 법률주택 추가 매수관련 궁금한점이 많습니다! 8 다음 21/08/04 4629 0
11955 법률오피스텔 중도금 대출 전환 질문 1 불타는밀밭 21/07/28 2689 0
11947 법률업무용 기숙사에서 월세 안 내고 안 나가면서 연락 안 되는 세입자 5 [익명] 21/07/26 4016 0
11943 법률자금 차용 관련 질문입니다 7 [익명] 21/07/26 3479 0
11903 법률주차장 문콕사고 진행후기 및 추가 질문 15 곰곰이 21/07/16 10331 0
11877 법률부모님 명의로 되어 있는 자동차를 제 앞으로 옮기려는데 3 불타는밀밭 21/07/11 3753 0
11876 법률스피커폰 통화 고지 후 녹취록을 근거로 고소가능 여부. 5 Regenbogen 21/07/11 5232 0
11873 법률접촉사고 관련 질문입니다. 1 [익명] 21/07/10 3584 0
11860 법률약국 약사가 좀 이상한 것 같은데... 그냥 무시하면 되나요? 11 리페이스 21/07/08 4421 0
11852 법률자전거로 횡단보도 주행하다 사람과 접촉사고를 냈는데요... [익명] 21/07/07 3927 0
11842 법률주차장 문콕사고 어떻게 대응해야 할까요 8 곰곰이 21/07/05 691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