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9/16 22:17:24 |
Name | [익명] |
Subject | 신입) 회사 선택 질문 |
회사 얘기라 혹시 몰라 익명체크했습니다. 이공계 나이 30초반 미혼 회사 경험 없고 인턴 경험 없습니다 첫 회사에요. 목표는 서울 부모님 집에서 대기업 다니는 거에요 (자동차 관련 산업을 선호하긴 합니다) 1. 현대자동차계열사 '아닌' 자동차 주요 1차 벤더 지역조건 : 환승 없는 집 앞 편도 50분, 부모님 집에서 다닐 수 있음 연봉 : 계약4천초, 성과下, 복지下 -> 강남 현대모비스/ 양재동 현대기아로 이직? 2. 현대자동차 남양연구소 지역조건 : 자취/기숙사 필수, 서울과 2시간 거리 연봉 : 동기들한테 물어보니 5천 근처?, 성과中, 복지上 -> 계열사이기 때문에 강남 현대모비스/ 양재동 현대기아로 이직 불가능 내부이동으로 양재동 본사 가는 것도 현실적으로 힘듬 But 서울 타산업 대기업 본사로 이직 가능 직무는 R&D, 설계 아니고 숫자 다루는 직무에요 이공계+회계 같은 직무 1차 벤더에서 점프는 어렵다는 말도 있고 잘 모르겠습니다ㅠㅠ 현직분들 조언 부탁드려요 1과 2 중 어떤 걸 추천하시나요 0
|
자동차 업계를 잘 몰라서 그런데 보통 이직은 첫회사가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나요?
다시 생각해보니까 글쓴님의 포인트는
(1)부모님집에서 회사를 다니고 싶고
(2)현대/기아차 사업장이나 모비스이면 좋겠는데
(1)+(2)가 당장 안되니 우선 선택할 수 있는 차선책으로는 (1)이겠느냐 (2)이겠느냐 인건가요
그건 본인이 젤 잘 아는 것 아닐까요 (1)이 좋으면 그걸 선택하고 아니면 (2)를 선택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이후 (1)+(2)로 감에 있어서 지금 주어진 조건이랑 뭐가됐든 입사후에 바뀔 조건에 차이가 ... 더 보기
다시 생각해보니까 글쓴님의 포인트는
(1)부모님집에서 회사를 다니고 싶고
(2)현대/기아차 사업장이나 모비스이면 좋겠는데
(1)+(2)가 당장 안되니 우선 선택할 수 있는 차선책으로는 (1)이겠느냐 (2)이겠느냐 인건가요
그건 본인이 젤 잘 아는 것 아닐까요 (1)이 좋으면 그걸 선택하고 아니면 (2)를 선택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이후 (1)+(2)로 감에 있어서 지금 주어진 조건이랑 뭐가됐든 입사후에 바뀔 조건에 차이가 ... 더 보기
자동차 업계를 잘 몰라서 그런데 보통 이직은 첫회사가 중요하게 작용하지 않나요?
다시 생각해보니까 글쓴님의 포인트는
(1)부모님집에서 회사를 다니고 싶고
(2)현대/기아차 사업장이나 모비스이면 좋겠는데
(1)+(2)가 당장 안되니 우선 선택할 수 있는 차선책으로는 (1)이겠느냐 (2)이겠느냐 인건가요
그건 본인이 젤 잘 아는 것 아닐까요 (1)이 좋으면 그걸 선택하고 아니면 (2)를 선택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이후 (1)+(2)로 감에 있어서 지금 주어진 조건이랑 뭐가됐든 입사후에 바뀔 조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을 듯 하네요
다시 생각해보니까 글쓴님의 포인트는
(1)부모님집에서 회사를 다니고 싶고
(2)현대/기아차 사업장이나 모비스이면 좋겠는데
(1)+(2)가 당장 안되니 우선 선택할 수 있는 차선책으로는 (1)이겠느냐 (2)이겠느냐 인건가요
그건 본인이 젤 잘 아는 것 아닐까요 (1)이 좋으면 그걸 선택하고 아니면 (2)를 선택하는 것이지요
그리고 그 이후 (1)+(2)로 감에 있어서 지금 주어진 조건이랑 뭐가됐든 입사후에 바뀔 조건에 차이가 있을 수 있을 듯 하네요
만약 두 곳다 붙으신거라면 미리 축하드립니다.
첫회사 10년+씩 다니는 경우가 더 드뭅니다.
직무를 잘 모르지만, 대부분 내부 조직이동하는 것보다 이직하는게 페이 갭이 훨씬 차이나요.
그리고 직장 만족도는 사람 심리상 가장 가까운 보상의 규모가 영향력이 제일 큽니다. (월급 > 성과금 및 보너스 > 그 다음이 복지나 회사 위치)
일이 빡쳐도 지갑이 위로해주거든요. 이게 커요. 오래 버티게 해주는 원동력이라.
저라면 2번 갈것 같습니다만, 사람마다 기준도 가치관도 다 다르니까 1을 가도 무리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출근을 집에서 하는게 중요할 수도 있죠.
첫회사 10년+씩 다니는 경우가 더 드뭅니다.
직무를 잘 모르지만, 대부분 내부 조직이동하는 것보다 이직하는게 페이 갭이 훨씬 차이나요.
그리고 직장 만족도는 사람 심리상 가장 가까운 보상의 규모가 영향력이 제일 큽니다. (월급 > 성과금 및 보너스 > 그 다음이 복지나 회사 위치)
일이 빡쳐도 지갑이 위로해주거든요. 이게 커요. 오래 버티게 해주는 원동력이라.
저라면 2번 갈것 같습니다만, 사람마다 기준도 가치관도 다 다르니까 1을 가도 무리는 아니라 생각합니다.
출근을 집에서 하는게 중요할 수도 있죠.
두곳 다 붙으셨다면 정말 축하드려요. 모비스, 현대기아가 아닌 남양쪽의 RnD라면 어딘지 예상이 되긴 하는데….이공계+회계면 구매 분야이실까요?
암튼 제 예상이 맞다면, 그 분야 회사의 경영지원에 있었던 입장에서 일단 적어주신 거에 대해서는…
1. 1차벤더에서 점프 : 제가 거기에서 있었던 3년동안, 1차벤더에서 점프해서 현대차 계열사에 갔다거나, 현대/기아/모비스를 갔다는 경우를 본적은 없습니다. 경력직으로 왔으면 아예 연관이 없는 회사에서 왔었구요.
2. 남양연구소 출퇴근 : 남양연구소 통근버스 종류는 진짜 무지막지할텐... 더 보기
암튼 제 예상이 맞다면, 그 분야 회사의 경영지원에 있었던 입장에서 일단 적어주신 거에 대해서는…
1. 1차벤더에서 점프 : 제가 거기에서 있었던 3년동안, 1차벤더에서 점프해서 현대차 계열사에 갔다거나, 현대/기아/모비스를 갔다는 경우를 본적은 없습니다. 경력직으로 왔으면 아예 연관이 없는 회사에서 왔었구요.
2. 남양연구소 출퇴근 : 남양연구소 통근버스 종류는 진짜 무지막지할텐... 더 보기
두곳 다 붙으셨다면 정말 축하드려요. 모비스, 현대기아가 아닌 남양쪽의 RnD라면 어딘지 예상이 되긴 하는데….이공계+회계면 구매 분야이실까요?
암튼 제 예상이 맞다면, 그 분야 회사의 경영지원에 있었던 입장에서 일단 적어주신 거에 대해서는…
1. 1차벤더에서 점프 : 제가 거기에서 있었던 3년동안, 1차벤더에서 점프해서 현대차 계열사에 갔다거나, 현대/기아/모비스를 갔다는 경우를 본적은 없습니다. 경력직으로 왔으면 아예 연관이 없는 회사에서 왔었구요.
2. 남양연구소 출퇴근 : 남양연구소 통근버스 종류는 진짜 무지막지할텐데요… 자취가 필수인지, 집에서 출퇴근은 정말 불가능한지 다시 알아보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3. 계열사(특히, 모비스/현대/기아) 이직 : 불가능한거 맞습니다. 일단 한번 다른 계열사에 들어가고 나서, 다른 계열사로 이직하기는 불가능합니다. 심지어 인사팀장끼리 서로 통보가 가기도 해요. 다만 인적 교류가 아예 없는건 아닙니다.
저는 일단 2를 더 추천합니다. 1로 가면 이직할 때 진짜 까다로워요. 특히 자동차 분야 말고, 다른 분야로 이직하게 되면 정말 어렵습니다. 그 회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든요. 다른 대기업 찾아가서 유명한 1차벤더사 얘기하면 잘 모릅니다. 한온시스템급 아니면요. 그렇다고 1을 선택하셨을 때 그룹사로 이직하는 것도 그 케이스를 본적이 없구요.
반면, 2를 선택했을 때는 정말, 3년동안 딱 한명 봤지만(임원 눈에 들어서) 완성차로 그룹사간 전출을 한 케이스도 있었고, 좀 버티다 이직 시도하려고 할 때도 더 대접이 낫습니다.
그냥 두 회사 어디든 만족하고 남아 있는다면 2가 더더욱 좋죠. 계열사에 대한 대우와 1차 벤더에 대한 대우는 정말 차이가 명확해요. 급여 및 기타 복지에 대한 대우도 마찬가지구요. 물론 출퇴근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는 있고, 남양 환경이 진짜 연구소 나가면 논밭밖에 없긴 하지만 그러한 점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암튼 제 예상이 맞다면, 그 분야 회사의 경영지원에 있었던 입장에서 일단 적어주신 거에 대해서는…
1. 1차벤더에서 점프 : 제가 거기에서 있었던 3년동안, 1차벤더에서 점프해서 현대차 계열사에 갔다거나, 현대/기아/모비스를 갔다는 경우를 본적은 없습니다. 경력직으로 왔으면 아예 연관이 없는 회사에서 왔었구요.
2. 남양연구소 출퇴근 : 남양연구소 통근버스 종류는 진짜 무지막지할텐데요… 자취가 필수인지, 집에서 출퇴근은 정말 불가능한지 다시 알아보실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3. 계열사(특히, 모비스/현대/기아) 이직 : 불가능한거 맞습니다. 일단 한번 다른 계열사에 들어가고 나서, 다른 계열사로 이직하기는 불가능합니다. 심지어 인사팀장끼리 서로 통보가 가기도 해요. 다만 인적 교류가 아예 없는건 아닙니다.
저는 일단 2를 더 추천합니다. 1로 가면 이직할 때 진짜 까다로워요. 특히 자동차 분야 말고, 다른 분야로 이직하게 되면 정말 어렵습니다. 그 회사를 제대로 알지 못하거든요. 다른 대기업 찾아가서 유명한 1차벤더사 얘기하면 잘 모릅니다. 한온시스템급 아니면요. 그렇다고 1을 선택하셨을 때 그룹사로 이직하는 것도 그 케이스를 본적이 없구요.
반면, 2를 선택했을 때는 정말, 3년동안 딱 한명 봤지만(임원 눈에 들어서) 완성차로 그룹사간 전출을 한 케이스도 있었고, 좀 버티다 이직 시도하려고 할 때도 더 대접이 낫습니다.
그냥 두 회사 어디든 만족하고 남아 있는다면 2가 더더욱 좋죠. 계열사에 대한 대우와 1차 벤더에 대한 대우는 정말 차이가 명확해요. 급여 및 기타 복지에 대한 대우도 마찬가지구요. 물론 출퇴근에 대한 문제가 있을 수는 있고, 남양 환경이 진짜 연구소 나가면 논밭밖에 없긴 하지만 그러한 점을 커버할 수 있는 정도의 차이라고 생각합니다.
관련 분야는 잘 모르지만 써주신 내용만 보면 2로 가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연봉을 20% 이상 더 주고 복지도 훨씬 좋은데 다른 선택을 할 이유가 있나 싶네요.
위치도 화성이라 자취나 기숙사 생활하면서 돈 모으다가 청약을 넣는 것도 가능하고, 여력이 된다면 화성시청 인근 신축 보금자리론 끼고 매수하거나 역 근처 분양권 매수하는 것도 가능하죠. 아님 다른데 갭으로 투자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편도 50분 출퇴근은 힘듭니다. 어차피 독립해서 거주해야 한다고 보면 2번이 훨씬 좋네요.
그리고 향후 서해선 개통하면 돈은 더 들... 더 보기
위치도 화성이라 자취나 기숙사 생활하면서 돈 모으다가 청약을 넣는 것도 가능하고, 여력이 된다면 화성시청 인근 신축 보금자리론 끼고 매수하거나 역 근처 분양권 매수하는 것도 가능하죠. 아님 다른데 갭으로 투자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편도 50분 출퇴근은 힘듭니다. 어차피 독립해서 거주해야 한다고 보면 2번이 훨씬 좋네요.
그리고 향후 서해선 개통하면 돈은 더 들... 더 보기
관련 분야는 잘 모르지만 써주신 내용만 보면 2로 가는게 맞는 것 같습니다. 연봉을 20% 이상 더 주고 복지도 훨씬 좋은데 다른 선택을 할 이유가 있나 싶네요.
위치도 화성이라 자취나 기숙사 생활하면서 돈 모으다가 청약을 넣는 것도 가능하고, 여력이 된다면 화성시청 인근 신축 보금자리론 끼고 매수하거나 역 근처 분양권 매수하는 것도 가능하죠. 아님 다른데 갭으로 투자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편도 50분 출퇴근은 힘듭니다. 어차피 독립해서 거주해야 한다고 보면 2번이 훨씬 좋네요.
그리고 향후 서해선 개통하면 돈은 더 들겠지만 기차로 서울진입도 가능합니다. ktx이음 타면 화성시청역에서 여의도역까지 20분 정도 소요될테니 서부권에 집이 있으시면 나중엔 서울 출퇴근도 아마 가능할 것 같네요. 통근버스가 있다면 버스로도 1시간 이내로 도착할 수 있을 겁니다.
위치도 화성이라 자취나 기숙사 생활하면서 돈 모으다가 청약을 넣는 것도 가능하고, 여력이 된다면 화성시청 인근 신축 보금자리론 끼고 매수하거나 역 근처 분양권 매수하는 것도 가능하죠. 아님 다른데 갭으로 투자할 수도 있고요. 그리고 편도 50분 출퇴근은 힘듭니다. 어차피 독립해서 거주해야 한다고 보면 2번이 훨씬 좋네요.
그리고 향후 서해선 개통하면 돈은 더 들겠지만 기차로 서울진입도 가능합니다. ktx이음 타면 화성시청역에서 여의도역까지 20분 정도 소요될테니 서부권에 집이 있으시면 나중엔 서울 출퇴근도 아마 가능할 것 같네요. 통근버스가 있다면 버스로도 1시간 이내로 도착할 수 있을 겁니다.
친구가 모비스의 1차 벤더(이지만 현대기아만 납품하는건 아님) 에서 근무하다가 과장때 모비스로 점프를 하긴 했는데...
사람이라는게 적응의 동물이라 한번 입사하면 이직하기 쉽지 않습니다.
윗쪽분은 첫 직장 10년 이상 다니는 경우가 드물다고 하셨는데 제가 첫 직장인 지금 회사를 십여년째 다니고 있고, 고등학교나 대학 동기들 보면 IT 나 유통쪽 빼면 대부분 첫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저도 몇번 연락을 받긴 했는데, '내가 이거 더 받자고 새 환경에서 적응하느라 추가로 스트레스 받아야 하나?" 라는 고민이 늘 따라오더군요. 얼... 더 보기
사람이라는게 적응의 동물이라 한번 입사하면 이직하기 쉽지 않습니다.
윗쪽분은 첫 직장 10년 이상 다니는 경우가 드물다고 하셨는데 제가 첫 직장인 지금 회사를 십여년째 다니고 있고, 고등학교나 대학 동기들 보면 IT 나 유통쪽 빼면 대부분 첫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저도 몇번 연락을 받긴 했는데, '내가 이거 더 받자고 새 환경에서 적응하느라 추가로 스트레스 받아야 하나?" 라는 고민이 늘 따라오더군요. 얼... 더 보기
친구가 모비스의 1차 벤더(이지만 현대기아만 납품하는건 아님) 에서 근무하다가 과장때 모비스로 점프를 하긴 했는데...
사람이라는게 적응의 동물이라 한번 입사하면 이직하기 쉽지 않습니다.
윗쪽분은 첫 직장 10년 이상 다니는 경우가 드물다고 하셨는데 제가 첫 직장인 지금 회사를 십여년째 다니고 있고, 고등학교나 대학 동기들 보면 IT 나 유통쪽 빼면 대부분 첫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저도 몇번 연락을 받긴 했는데, '내가 이거 더 받자고 새 환경에서 적응하느라 추가로 스트레스 받아야 하나?" 라는 고민이 늘 따라오더군요. 얼마전 연락한 쪽에서는 포지션도 그대로이고 오로지 근무지(지방->서울)랑 급여 7% 인상 제시였는데, 제가 서울 출신이지만 지방근무에 적응을 다 한 상태라 서울 이동은 그닥 메리트가 없었고 (거기다가 어마어마한 집값), 헤드헌터도 7% 인상은 이직 요인이 되긴 약하다고 스스로 인정 하더라고요.
1번을 가면 최종 목표인 자동차 대기업을 가기 위한 텐션이 유지될 것 같고, 2번 가면 현실안주하실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사람이라는게 적응의 동물이라 한번 입사하면 이직하기 쉽지 않습니다.
윗쪽분은 첫 직장 10년 이상 다니는 경우가 드물다고 하셨는데 제가 첫 직장인 지금 회사를 십여년째 다니고 있고, 고등학교나 대학 동기들 보면 IT 나 유통쪽 빼면 대부분 첫회사 다니고 있습니다.
저도 몇번 연락을 받긴 했는데, '내가 이거 더 받자고 새 환경에서 적응하느라 추가로 스트레스 받아야 하나?" 라는 고민이 늘 따라오더군요. 얼마전 연락한 쪽에서는 포지션도 그대로이고 오로지 근무지(지방->서울)랑 급여 7% 인상 제시였는데, 제가 서울 출신이지만 지방근무에 적응을 다 한 상태라 서울 이동은 그닥 메리트가 없었고 (거기다가 어마어마한 집값), 헤드헌터도 7% 인상은 이직 요인이 되긴 약하다고 스스로 인정 하더라고요.
1번을 가면 최종 목표인 자동차 대기업을 가기 위한 텐션이 유지될 것 같고, 2번 가면 현실안주하실 가능성이 높을 것 같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