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10/01 15:42:28 |
Name | Picard |
Subject | ESG 경영 트렌드 얼마나 갈까요? |
최근 ESG 경영 이라는 트렌드가 화두인데요. 그래서 대기업 갑님들이 ESG 관련된 것들을 을들에게 요구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도 이런저런 요구를 받고 있는데, 대기업님들도 ESG 위원회 꼴랑 만들어 놓고 헤매는데 저희가 이런거 대응할 사람이 있을리가... 그래서 서로 '난 이거 모름' 하고 튕기다가 저한테까지 굴러왔습니다. 이걸 받아야 할지, 저도 솔직히 '공장 무지랭이가 이런걸 어떻게 알아요' 하고 버텨야 할지... 과거 6시그마의 경우에는 그래도 한 20년 갔던것 같고 한때 화두였던 지속가능경영은 반짝 하다 지금 ESG에 흡수된것 같은데요. ESG 로 커리어를 갈아타면 제 밥벌이 연장에 도움이 될까요.. ESG 경영 트렌드 얼마나 갈 것 같으십니까? (이쪽 관련 외부 미팅을 가보면 당연히 '이건 오래 간다. 팀장님도 빨리 이거 잡으셔야 임원도 달고 오래 가신다' 라고 합니다. 이 사람들이야 이걸로 밥먹고 사는 사람들이니.. )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Picard님의 최근 게시물
|
투자 쪽에서 ESG가 연기금, 펀드 등 통해서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이 벌써 10년이 넘은 것 같고, 높은 관심사로 부상한 것은 최근 몇 년인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앞으로 상당 기간은 계속 갈 것이라고 봅니다. 기후 변화 같은 이슈들이 단발성 이슈가 아니니 더 강화되고, 더 많은 기업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겠죠. 다만, 투자 쪽에서도 그 스탠더드 같은 것들은 좀 정비가 필요하다는 얘기들이 나옵니다. 대표적인 것이 UN PRI고, 이걸 베이스로 ESG 투자하는 곳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을 포함해서. 국민연금의 경우 내년까지 전체 투자 자산의 50%로 책임투자 적용 규모를 늘린다고 밝... 더 보기
투자 쪽에서 ESG가 연기금, 펀드 등 통해서 이슈가 되기 시작한 것이 벌써 10년이 넘은 것 같고, 높은 관심사로 부상한 것은 최근 몇 년인 것 같은데, 개인적으로 앞으로 상당 기간은 계속 갈 것이라고 봅니다. 기후 변화 같은 이슈들이 단발성 이슈가 아니니 더 강화되고, 더 많은 기업에 적용되는 방향으로 갈 수밖에 없겠죠. 다만, 투자 쪽에서도 그 스탠더드 같은 것들은 좀 정비가 필요하다는 얘기들이 나옵니다. 대표적인 것이 UN PRI고, 이걸 베이스로 ESG 투자하는 곳들이 많습니다. 우리나라 국민연금을 포함해서. 국민연금의 경우 내년까지 전체 투자 자산의 50%로 책임투자 적용 규모를 늘린다고 밝힌 적이 있습니다.
https://www.unpri.org/
투자 쪽만 보면 최근 에너지 이슈들로 청정에너지 ETF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성적이 안 좋은 상황입니다만. 투자 쪽이 ESG를 강화하면, 기업들도 그쪽으로 갈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산업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적용 속도는 차이가 나겠습니다만.
https://www.unpri.org/
투자 쪽만 보면 최근 에너지 이슈들로 청정에너지 ETF 같은 것들은 상대적으로 성적이 안 좋은 상황입니다만. 투자 쪽이 ESG를 강화하면, 기업들도 그쪽으로 갈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산업이나 기업 규모에 따라 적용 속도는 차이가 나겠습니다만.
자본시장에서부터 강력하게 불어오는 열풍이라 꽤 오래 갈겁니다. 어쩌면 경영패러다임 자체가 좀 바뀔지도...
S는 한 방에 훅 가느냐 마느냐의 문제인 거 같고, E가 핵심이죠. 기후위기가 심각하다보니. E는 다시 C로 모아집니다. 측정가능하니까. G는 이걸 경영전략으로 풀어낼 수 있느냐,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느냐의 문제죠. 지배구조라는 게 결국 이사회다양성부터, 시스템까지를 총괄하는 개념이다 보니.
최소 5년 길게보면 10년, 어쩌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쭈욱...
S는 한 방에 훅 가느냐 마느냐의 문제인 거 같고, E가 핵심이죠. 기후위기가 심각하다보니. E는 다시 C로 모아집니다. 측정가능하니까. G는 이걸 경영전략으로 풀어낼 수 있느냐, 리스크 관리를 할 수 있느냐의 문제죠. 지배구조라는 게 결국 이사회다양성부터, 시스템까지를 총괄하는 개념이다 보니.
최소 5년 길게보면 10년, 어쩌면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쭈욱...
이건 오래 갈겁니다. 어쩌면 평생이죠. 아 물론 10년쯤 되면 더이상 ESG라는 말은 쓰지 않을겁니다. 그때쯤 되면 ESG는 이미 다 깔고 들어가는거고 거기에 대응하지 못한 기업은 존속하지 못할테니까요. 우리가 노동법을 지키는 기업을 특별히 무슨 친노동 경영이라고 지칭 하지 않듯이요. 특히 계시는 산업군 같은 경우 필수 불가결합니다. 아 물론 그렇다고 무슨 기업들이 다 친환경, 친사회, 친정부 기업이 되서 착한 기업이 된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노동법을 지키는 모든 기업이 갑질 없고 직원 대우를 잘하는 건 아니니까요.
어떻게 하면 적은 비용으로 ESG를 지키는 척 하느냐가 대두가 되겠죠. 지금 모든 회사들이 어떻게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을지 연구하고 계산 하듯이요.
어떻게 하면 적은 비용으로 ESG를 지키는 척 하느냐가 대두가 되겠죠. 지금 모든 회사들이 어떻게하면 세금을 줄일 수 있을지 연구하고 계산 하듯이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