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11/09 15:36:41
Name   [익명]
Subject   이직 고민 중입니다 (전문계약직)
너무 감사하게도 좋은 조건으로 이직 제안이 왔습니다.
제안 받은 조건이 좋기는 한데 여러가지로 걸리는게 있어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하고 싶어 질문글을 올립니다.
몇번의 질문글을 통해 정보를 깔 수록 좋은 조언이 나오는 것같아 최대한 오픈하겠습니다.
제안 받은 조건을 적어보겠습니다. 괄호는 현직입니다.

경력 : 10년차
기본 연봉: 8500 (7000)
예상 인센티브 : 2000 (1000)
고용형태 : 전문계약직 (정규직)
출근 시간 : 8시 (9시)
퇴근 시간 : 동일
통근 거리 : 1시간10분 (1시간)
기타 복지 : 장단점이 있으나 이직할 직장이 약간 더 좋은걸로 알고 있음

전반적으로 금전적인 대우는 확실히 플러스이나 제일 걸리는건 계약직인 것 입니다.
제안 받은 회사의 업종이 금융권이라 모든 경력직 채용이 전문계약직이라 업계 특성상 어쩔 수 없긴 합니다.
걸리는건 해당 회사는 정규직 제안이 거의 없고 무기계약직 형태로 계속 다닌다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다행인 점은 웬만하면 자발적이지 않은 이상 계약해지는 되지 않는다는 점이고요.
워라벨은 퇴근은 동일하고 야근 없는 것도 비슷하지만 출근 시간이 압박인데 이건 업계 특성이라 어쩔 수 없습니다...
(점심시간이 좀 널널해서 은근 근무시간은 비슷할 것 같습니다.)
비전은 금융권으로 한번 진입하면 같은 업계로의 이직이 훨씬 쉬워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제가 목표로 했던 직종이기도 하고 해보고 싶었던 일이긴 합니다.
현직도 일은 괜찮은데 요즘 좀 나태해지고 있습니다. 요즘 이쪽 경력자가 귀하다 보니 회사 내에서 대우는 괜찮습니다.
현상태 아이가 둘이고 외벌이이고 고로 매우 돈이 필요한 상황은 맞습니다.
만약 정규직이었으면 크게 고민안하고 갔을텐데... 그냥 현직에서 적당히 고인물로 살아가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나이를 먹었나 봅니다. 1년전이면 고민안하고 도전했을 것 같습니다.
연봉 협상의 여지는 조금 더 있을 수 있는데... 사실 저정도가 상한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는 매일매일 기분이 달라지기는 하는데 그래도 40되기 전에 한번 도전해보자라는 생각이 51대49 정도로 앞섭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0


맥주만땅
이것은 저희와 이야기 할 것이 아니라 사모님 함께 이야기 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사모님도 마음의 준비가 되셨는지를 알아보셔야.
[글쓴이]
사모님께서 결정을 저에게 미루셨습니다. 아니 정확히는 미루다기 보다는 돌려주셨지요. 저는 사모님께서 결정해주시기 바랬거든요.
'장단점이 너무 명확해서 판단이 어렵고 결국 일하는건 너니 너님께서 결정해.' 어떤 결정이든 존중한다. 라고 하시네요 ㅠㅠ
다람쥐
금융은 전문계약직 많죠. 치열하게 일하는만큼 돌아오고요.
여태까지 한 직장에서 오래 근무하시는 편이었나요? 어차피 다시 또 이직하실 예정 아니신지요. 아니라면 좀 더 젊을 때 도전하고싶으시다 하면 이직 추천드려요. 아직 30대이시고 지금 직장에서 정년까지 계실 것도 아닌 것 같아서요.
[글쓴이]
전직장에서 6년 현직장에서 3년을 일했습니다. 성향은 사실 옮기기 보다는 정착하고자 하는 약간 느슨한 성격이에요. 하지만 살다보니 필요에 의해서 나름 치열하게 살고 있습니다. 원래는 오래 일할 생각은 없었는데 현직에 적응하기도 했고 인정받고 대우해주다 보니 여기 계속 있어도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조심스럽게 자라나긴 했습니다. 그런데 여기도 객관적으로 보면 경력직이 끝까지 일하기에 좋은 회사는 아닌거 같아요.
옮기게 되면 한번은 더 옮길 수도 있겠다 싶긴해요. 그때는 연봉 보다는 다른 것을 쫓을 수도 있겠네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주어진 이야기로만 보면 이직이 나을 듯..?
단점은 무기계약직이라 고용보장이 100%가 아니다. 그래도 왠만하면 안짤린다.
장점은 목표로 했던 금융권이고 같은 업계로의 이직이 쉽다.
무기계약직이라는 단점은 더 좋은 업계내에서 이직이 쉬워진다는 장점 앞에 별로 큰 리스크가 아닌 듯 싶습니다.
큰 삽질 안하면 유지되는 무기계약직이고,
큰 삽질을 할지도 모른다는 것이 리스크인데, 그 정도 삽질을 원래 직장에서 안한다는 보장도 없고
사건 발생 시 원래 직장에선 이직이 더 불리하니까요.
[글쓴이]
사실 말못할 리스크가 하나 더 있긴 한데 이거는 말하면 회사가 그대로 노출되서 ㅋㅋ
여튼 그 리스크도 결국 정년까지 계속 다닐게 아니면 상관 없긴 합니다.
결국 문제는 다다음 이직을 제 마음속에서 열어 놓고 있느냐가 관건이겠네요.
꼭 연봉이 아니더라도 제 스스로의 발전을 위해서면 옮기긴 해야 할거 같다고 생각하고 있었어요.
조언 감사합니다!
인센티브포함 과세표준이 1구간 올라가는 것 같은데, 잘 검토해보시길 바랍니다.
이거 애매한 구간에서 피보는 사람 은근 많습니다...
애매하게 올라가면 그 애매하게 올라간 부분에 대해서만 세율이 높아지는거라 아래구간이랑 거의 차이 안납니다.
[글쓴이]
그래서 생각보다는 연봉상승이 높지 않을 수도 있겠다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그래도 어차피 연봉이 오르면 겪을 구간이라 빨리 오르는게 더 낫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1
어떤 직종이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저는 이직이 쉽지 않은 직종이여서 고민이 많거든요
[글쓴이]
AI 관련 직무입니다. 이쪽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부족해서 대우를 받고 있긴한데 그래도 금융권 이직은 쉽지 않더군요...
사모님이 미루었다는걸 보아, 믿음이 가는 배우자라고 생각하신 것 같아요. 어떤 선택이던, 미래에 또 다른 좋은 선택을 하시지 않을까 생각되네요. 계약이 몇년 단위 갱신인지 잘 모르겠네요. 3년정도는 다닐 수 있다면, 그리고 3년후에 40초반보다 어리다면 다녀볼만 하지 않나 싶습니다 :) 저는 음... 사실 환경변화를 좋아하지 않는 편이라 현 직장이 미래를 담보 할 수 있다면 이직을 안할거 같긴 합니다 ㅎㅎ
[글쓴이]
계약은 1년단위 입니다만 거의 계약해지 당하는 경우는 없다고 합니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정환없이 동료들 모두 전문계약직이라 차별도 없다고...
whenyouinRome...
근데 연봉 상승분이 인센제외 1500인데 7000 으로 8시간 일하기가 8500으로 9시간 일하기가 되는 거네요. 통근은 왕복 1시간 10분인거겠죠? 설마 편도면 ㄷㄷㄷ;;;;
과세 구간도 올라가고 일도 더하면서 연봉이 오르는 거라 크게 상승하는 건 아닌거 같아서 연봉 상승은 큰 메리트가 안 느껴지고 통근은 10분 늘어지는거야 조금 더 부지런하면 될 것 같긴 합니다.
금융권으로 가서 이직이 쉬워지면 연봉도 더 잘오를 것 같아서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저야 자영업이라 뭐라 할 입장이 안되는 것 같긴 한데 일 한 시간 더 일찍 시작하는건 사실 꽤나 큰 압박이라 전 그냥 고인물에서 안주할 것 같네요..
[글쓴이]
통근은 당연히 편도 1시간10분입니다. 지하철로 가면 되니 통근거리 자체는 크게 걱정하진 않지만 출근 시간이 압박이긴 합니다. 차라리 퇴근시간이 늘면 걱정안할텐데...
말씀하신대로 워라벨 생각하면 금융권은 일이 똑같아도 압박감이 심하다고 들어서 사실 근무시간 + 스트레스 하면 저 연봉이 이득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다만 앞으로 커리어를 고민하고 있습니다...
출근이 1시간 댕겨지면서 전체 근무시간이 1시간 늘어난다는게 특이하네요.
글과 답변에서 그 부분은 크게 고민하시지 않는 듯하니, 연봉 상승과 원하시던 업종으로의 이직할 수 있는 찬스라 저라면 이직을 추천드릴 것 같습니다. 결국 샐러리맨의 복지는 연봉이더라구요. (최근 워라밸의 중요시 정도가 많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AI쪽에 계시다면, 이직하신 후 그 업종과 맞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약 2-3년정도만 근무하시고 다른 업종으로 가시기도 크게 어려워보이지 않아서 리스크도 그리 크지는 않은 것 같구요.

다만, 하루에 1시간 늘어나는 근무시간이 1달, 1년 단위로 보면 결코 몸에 가는 부담이 적지 않으실거에요. 건강관리도 꾸준히 잘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쓴이]
사실 현직이 특이한게 좀 짧은 편이고 이직할 곳의 근무시간이 일반적입니다. 사실 그 부분이 고민이 되는거라 지금 머리싸매고 갈등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 한시간이 퇴근시간으로 가는 것은 받아들이기가 좀 편한데 빠른 출근으로 가는 것이 걱정입니다. 제가 아침형 인간은 아니라서요...
Brown&Cony
혹시 한x 또는 삼x 계열 금융사인가요?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더 보기
혹시 한x 또는 삼x 계열 금융사인가요?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어떤지요? 향후 이직 가능성을 보자면 그쪽이 더 나을것 같은데요..
요즘 두나무나 토스등은 처우가 천장 뚫고 천상계로 가는느낌이어서 충분히 가능할것 같은데요..
[글쓴이]
말씀하신 그룹사는 아니지만 상당히 큰 그룹사이긴 합니다. 보여주신거 보니까 얘네 좀 짜게 부른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뭐 현직 기준으로 책정했을테니 어쩔 수 없나 싶긴하고 연봉협상 고민좀 해봐야겠습니다.
다른 IT 서비스는 완전히 고려를 안하고 있는건 아닌데 아무래도 일적으로는 좀 하드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금융쪽은 정신적인 압박과 보수적인 문화가 있다고 듣기는 했지만 그래도 업무 시간적인 면에서 워라벨은 좀 잘 지켜지는 편이라고 들어서요. 토스쪽 오퍼는 받았었는데 업무 강도가 상당하다는 소문만 듣고 포기했었던 적이 있네요. 네이버/카카오는 지인들이 좀 있는데 그렇게 좋게 얘기 안하더라고요...
Brown&Cony
제가 생각하기에도 어느것을 중요하게 생각하실지에 따라서 다를것 같습니다. 후회없는 선택 하시길 기원합니다
근무시간과 통근시간을 보아... 체력 한계를 넘어서는 구간에 들어서는 걸로 보입니다.
나이가 들면.. 점점 체력이 떨어지고, 가정에 써야 하는 시간과 문제들도 늘어나기 마련이라.. 회사일이 점점 쉬워져야 밸런스가 맞는데, 더 힘들어진다면 그걸 보상하고도 남을 충분한 뭔가가 있어야 괜찮다고 생각합니다.
현재 연봉을 보아, 거기에 연봉 1,2천 늘어난다고 뭐가 달라질것 같진 않아지만, 업무량/강도가 늘어난다면 부작용은 분명히 눈에 띄게 달라질거라고 예상합니다.
[글쓴이]
말씀하신대로 걱정이 됩니다. 사실 1년전에 오퍼 왔으면 바로 갔을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요즘은 한해 한해 차이가 크네요.
연봉 1~2천 더 받는다고 사는거 달라지지 않을거 같다가도 요즘 쪼달리는거 생각하면 1~2천이아니라 월 몇십짜리 배달 알바라도 해야 하는거 아닌가 싶을때가 있어서 조금이라도 더 버는게 낫지 않나 싶기도 하고 마음이 갈대처럼 흔들리네요...
파란아게하
'저라면' 평생 직장은 없다 생각해서
이직고고 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869 진로Istj, isfj분들 어떤 직무하고 계세요? 11 얼그레이밀크티 22/01/21 5876 0
12783 진로연봉협상 11 [익명] 22/01/03 4216 0
12719 진로32세, 물리치료과 진학을 고민중입니다. 현직자님들 한마디 부탁드려요 : ) 10 씨엘로 21/12/20 4847 0
12692 진로휴직 사유가 우울증일 경우 이직 할 때 문제가 될까요? 3 [익명] 21/12/15 5531 0
12688 진로예비창업가 커리어 컨설팅펌 vs 벤쳐캐피탈 심사역 20 [익명] 21/12/15 4591 0
12686 진로개발자 한국 연봉 2배 vs 구글 본사 29 [익명] 21/12/15 5630 0
12599 진로취업 고민 8 [익명] 21/11/22 4431 0
12567 진로공기업 or 공무원 준비는 평균 기간이 어떻게 될까요? 9 셀레네 21/11/14 5623 0
12550 진로이직 고민 중입니다 (전문계약직) 23 [익명] 21/11/09 7051 0
12544 진로이공계 최고 자격증? 33 한겨울 21/11/08 6051 0
12456 진로군대 시간동안 할 일? 7 [익명] 21/10/23 3729 0
12371 진로컴공을 복전하려 합니다. 14 분투 21/10/02 4281 0
12359 진로ESG 경영 트렌드 얼마나 갈까요? 17 Picard 21/10/01 4034 0
12279 진로진로 상담(해외 이직)부탁드립니다. 24 [익명] 21/09/17 4364 0
12274 진로신입) 회사 선택 질문 11 [익명] 21/09/16 6080 0
12238 진로이직 고민 입니다 (옮긴다 vs 안옮긴다) 7 [익명] 21/09/11 4407 0
12221 진로VC로 커리어 변경, 얼마나 포기할 수 있을까요? 11 [익명] 21/09/08 3829 0
12170 진로이직 고민 6 리키 21/09/01 3320 0
12165 진로여러분들이라면 면접가실껀가요? 17 [익명] 21/08/31 4453 0
12158 진로친절한 답변 남겨주신 분들 모두 감사합니다. 16 [익명] 21/08/29 5904 0
12157 진로방통대 재편입을 하려고 합니다. 4 거위너구리 21/08/29 4996 0
12098 진로대학 졸업 후 본의 아니게 3년의 공백기가 주어진다면 어떤 일을 하시겠습니까? 9 아마존 21/08/22 3467 0
12075 진로박사 초봉 아시는분 11 치킨마요 21/08/18 5605 0
12054 진로일상에서 삶이 벅차게 다가오는 순간, 어떻게 도움을 받아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32 [익명] 21/08/15 5575 0
12024 진로월급1/2 깎고 이직하는 것이 과연 옳은것일까요? 21 [익명] 21/08/08 497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