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11/09 15:36:41 |
Name | [익명] |
Subject | 이직 고민 중입니다 (전문계약직) |
너무 감사하게도 좋은 조건으로 이직 제안이 왔습니다. 제안 받은 조건이 좋기는 한데 여러가지로 걸리는게 있어서 허심탄회하게 이야기 하고 싶어 질문글을 올립니다. 몇번의 질문글을 통해 정보를 깔 수록 좋은 조언이 나오는 것같아 최대한 오픈하겠습니다. 제안 받은 조건을 적어보겠습니다. 괄호는 현직입니다. 경력 : 10년차 기본 연봉: 8500 (7000) 예상 인센티브 : 2000 (1000) 고용형태 : 전문계약직 (정규직) 출근 시간 : 8시 (9시) 퇴근 시간 : 동일 통근 거리 : 1시간10분 (1시간) 기타 복지 : 장단점이 있으나 이직할 직장이 약간 더 좋은걸로 알고 있음 전반적으로 금전적인 대우는 확실히 플러스이나 제일 걸리는건 계약직인 것 입니다. 제안 받은 회사의 업종이 금융권이라 모든 경력직 채용이 전문계약직이라 업계 특성상 어쩔 수 없긴 합니다. 걸리는건 해당 회사는 정규직 제안이 거의 없고 무기계약직 형태로 계속 다닌다는 불안감이 있습니다. 다행인 점은 웬만하면 자발적이지 않은 이상 계약해지는 되지 않는다는 점이고요. 워라벨은 퇴근은 동일하고 야근 없는 것도 비슷하지만 출근 시간이 압박인데 이건 업계 특성이라 어쩔 수 없습니다... (점심시간이 좀 널널해서 은근 근무시간은 비슷할 것 같습니다.) 비전은 금융권으로 한번 진입하면 같은 업계로의 이직이 훨씬 쉬워진다는 점이 있습니다. 제가 목표로 했던 직종이기도 하고 해보고 싶었던 일이긴 합니다. 현직도 일은 괜찮은데 요즘 좀 나태해지고 있습니다. 요즘 이쪽 경력자가 귀하다 보니 회사 내에서 대우는 괜찮습니다. 현상태 아이가 둘이고 외벌이이고 고로 매우 돈이 필요한 상황은 맞습니다. 만약 정규직이었으면 크게 고민안하고 갔을텐데... 그냥 현직에서 적당히 고인물로 살아가는 것도 나쁘진 않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저도 나이를 먹었나 봅니다. 1년전이면 고민안하고 도전했을 것 같습니다. 연봉 협상의 여지는 조금 더 있을 수 있는데... 사실 저정도가 상한선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현재는 매일매일 기분이 달라지기는 하는데 그래도 40되기 전에 한번 도전해보자라는 생각이 51대49 정도로 앞섭니다. 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0
|
그래서 생각보다는 연봉상승이 높지 않을 수도 있겠다 생각하고는 있습니다.
그래도 어차피 연봉이 오르면 겪을 구간이라 빨리 오르는게 더 낫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도 어차피 연봉이 오르면 겪을 구간이라 빨리 오르는게 더 낫다 정도로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연봉 상승분이 인센제외 1500인데 7000 으로 8시간 일하기가 8500으로 9시간 일하기가 되는 거네요. 통근은 왕복 1시간 10분인거겠죠? 설마 편도면 ㄷㄷㄷ;;;;
과세 구간도 올라가고 일도 더하면서 연봉이 오르는 거라 크게 상승하는 건 아닌거 같아서 연봉 상승은 큰 메리트가 안 느껴지고 통근은 10분 늘어지는거야 조금 더 부지런하면 될 것 같긴 합니다.
금융권으로 가서 이직이 쉬워지면 연봉도 더 잘오를 것 같아서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저야 자영업이라 뭐라 할 입장이 안되는 것 같긴 한데 일 한 시간 더 일찍 시작하는건 사실 꽤나 큰 압박이라 전 그냥 고인물에서 안주할 것 같네요..
과세 구간도 올라가고 일도 더하면서 연봉이 오르는 거라 크게 상승하는 건 아닌거 같아서 연봉 상승은 큰 메리트가 안 느껴지고 통근은 10분 늘어지는거야 조금 더 부지런하면 될 것 같긴 합니다.
금융권으로 가서 이직이 쉬워지면 연봉도 더 잘오를 것 같아서 나쁘진 않아보입니다..
저야 자영업이라 뭐라 할 입장이 안되는 것 같긴 한데 일 한 시간 더 일찍 시작하는건 사실 꽤나 큰 압박이라 전 그냥 고인물에서 안주할 것 같네요..
출근이 1시간 댕겨지면서 전체 근무시간이 1시간 늘어난다는게 특이하네요.
글과 답변에서 그 부분은 크게 고민하시지 않는 듯하니, 연봉 상승과 원하시던 업종으로의 이직할 수 있는 찬스라 저라면 이직을 추천드릴 것 같습니다. 결국 샐러리맨의 복지는 연봉이더라구요. (최근 워라밸의 중요시 정도가 많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AI쪽에 계시다면, 이직하신 후 그 업종과 맞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약 2-3년정도만 근무하시고 다른 업종으로 가시기도 크게 어려워보이지 않아서 리스크도 그리 크지는 않은 것 같구요.
다만, 하루에 1시간 늘어나는 근무시간이 1달, 1년 단위로 보면 결코 몸에 가는 부담이 적지 않으실거에요. 건강관리도 꾸준히 잘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글과 답변에서 그 부분은 크게 고민하시지 않는 듯하니, 연봉 상승과 원하시던 업종으로의 이직할 수 있는 찬스라 저라면 이직을 추천드릴 것 같습니다. 결국 샐러리맨의 복지는 연봉이더라구요. (최근 워라밸의 중요시 정도가 많이 상승하기는 했지만..)
AI쪽에 계시다면, 이직하신 후 그 업종과 맞지 않다고 판단했을 때 약 2-3년정도만 근무하시고 다른 업종으로 가시기도 크게 어려워보이지 않아서 리스크도 그리 크지는 않은 것 같구요.
다만, 하루에 1시간 늘어나는 근무시간이 1달, 1년 단위로 보면 결코 몸에 가는 부담이 적지 않으실거에요. 건강관리도 꾸준히 잘 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혹시 한x 또는 삼x 계열 금융사인가요?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더 보기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더 보기
혹시 한x 또는 삼x 계열 금융사인가요?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어떤지요? 향후 이직 가능성을 보자면 그쪽이 더 나을것 같은데요..
요즘 두나무나 토스등은 처우가 천장 뚫고 천상계로 가는느낌이어서 충분히 가능할것 같은데요..
저도 비슷한 경력이고 얼마전 머리사냥꾼 통해서 제의 받았는데요,
연봉+인센으로 1.5억, 그리고 현재 스톡옵션 보전하는 조건으로 맞춰줄수 있는지 물어봤었고 충분히 가능하다고 답변 받았습니다.
고민해보고 나서도 저는 결국 전문계약직이 맘에 걸려서 안갔는데, 그래도 마음에 끌리시면 좀더 받고 옮기시는걸로 딜 해보시는게 어떨까요..
(위에 말씀드린 두군데는 요즘 이런 조건으로도 뽑는걸로 좀 소문이 나있습니다)
금융권 말고 다른 IT서비스(네이버 카카오 라인 토스등)쪽으로 가보시는건 어떤지요? 향후 이직 가능성을 보자면 그쪽이 더 나을것 같은데요..
요즘 두나무나 토스등은 처우가 천장 뚫고 천상계로 가는느낌이어서 충분히 가능할것 같은데요..
말씀하신 그룹사는 아니지만 상당히 큰 그룹사이긴 합니다. 보여주신거 보니까 얘네 좀 짜게 부른거 아니야 라는 생각이... 뭐 현직 기준으로 책정했을테니 어쩔 수 없나 싶긴하고 연봉협상 고민좀 해봐야겠습니다.
다른 IT 서비스는 완전히 고려를 안하고 있는건 아닌데 아무래도 일적으로는 좀 하드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금융쪽은 정신적인 압박과 보수적인 문화가 있다고 듣기는 했지만 그래도 업무 시간적인 면에서 워라벨은 좀 잘 지켜지는 편이라고 들어서요. 토스쪽 오퍼는 받았었는데 업무 강도가 상당하다는 소문만 듣고 포기했었던 적이 있네요. 네이버/카카오는 지인들이 좀 있는데 그렇게 좋게 얘기 안하더라고요...
다른 IT 서비스는 완전히 고려를 안하고 있는건 아닌데 아무래도 일적으로는 좀 하드 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금융쪽은 정신적인 압박과 보수적인 문화가 있다고 듣기는 했지만 그래도 업무 시간적인 면에서 워라벨은 좀 잘 지켜지는 편이라고 들어서요. 토스쪽 오퍼는 받았었는데 업무 강도가 상당하다는 소문만 듣고 포기했었던 적이 있네요. 네이버/카카오는 지인들이 좀 있는데 그렇게 좋게 얘기 안하더라고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