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12/02 08:04:44수정됨
Name   알겠슘돠
Subject   어느 대선후보의 정책을 보고 든 심각한 의문입니다.
만약 그 후보의 정책대로 최저임금제가 폐지되어서
임금이 하향평준화가 되어버리고 그에따라 기준 중위소득이 줄어드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각종 급여들도 줄어들어 버릴수 있는 것일까요?
(지금의 지급액 결정은 기준 중위소득에 비례한 일정 비율로 책정된 금액을 주는 것이니...)

ps.어째 일반인들에게 이득이 되는 것은 반영 속도가 거북이가 되고,
일반인들에게 손해가 되는 것은 반영 속도가 토끼가 되는 것이 현실이니...




0


강백호덩크
반대로 생각 해보시면 됩니다.
이번 정부 들어서 최저 임금이 올라가서 임금이 상향 평준화 되었던가요?
적정한 최저임금이 아니라라고 생각하는것과 최저임금 자체를 폐지하자는건 좀 다르지 않나요?
1. 최저임금 폐지는 임금이 하향평준화되도록 만든다. (X)
2. 기준 중위소득이 줄어든다 : 그럴 개연성이 높음. (근로자 확대)
3. 기초생활수급자 재원이 줄어든다 : 논리적으로 큰 상관은 없음.
매뉴물있뉴
[임금이 하향평준화가 되어버리고 그에따라 기준 중위소득이 줄어드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각종 급여줄도 줄어들어]

까지 가기 전에 일년쓰라고 책정해둔 복지예산이 2개월만에 소진된다거나 하는 일들이 먼저 나타납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만 보더라도, 최저임금은 헌법에 명시된 사상이기 때문에
제아무리 대통령이 결심한다고 해도 하루아침에 없애거나 할수 없고
최저임금을 없애려고해도 여러가지 변칙적인 조항으로 해야할겁니다.
그것도 대통령이 결심하고나면 여간해서는 기재부에서 반... 더 보기
[임금이 하향평준화가 되어버리고 그에따라 기준 중위소득이 줄어드는 일이 발생하게 된다면
기초생활보장제도의 각종 급여줄도 줄어들어]

까지 가기 전에 일년쓰라고 책정해둔 복지예산이 2개월만에 소진된다거나 하는 일들이 먼저 나타납니다.

그리고 정치적으로만 보더라도, 최저임금은 헌법에 명시된 사상이기 때문에
제아무리 대통령이 결심한다고 해도 하루아침에 없애거나 할수 없고
최저임금을 없애려고해도 여러가지 변칙적인 조항으로 해야할겁니다.
그것도 대통령이 결심하고나면 여간해서는 기재부에서 반대할것이고
기재부를 통과한뒤에도 국회를 거쳐야 하고, 헌재에서 위헌심판도 버텨야하고......

최저임금을 어떻게 낮추느냐, 어떻게 높이느냐 에 대한 디테일이 훨씬 더 중요합니다.
그냥 아무렇게나 저렇게 뱉을수 있는 정책이 아닙니다.
알겠슘돠
아마도 다음 총선에서 인원 구조만 바뀌면 턱이 확 줄어들겠지요.
(늙은 사람이 젊은 사람보다 많은 국내 인구 구조가 막강하게 작동한다면...)
매뉴물있뉴
최저임금 폐지는 윤정부 내에 어렵고
윤정부 출범후 총선에서 국힘이 승리한 뒤에
그 국힘이 다시 정권을 재창출하고나면
그 다음 정부의 초기(2027년정도)에 일어나지 않을까...
근데 그때까지 그 담론을 계속 유지하고 발전시킬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나이스젠틀스위트
최저임금이 올라가더라도 상향 평준화가 되지는 않지만 내려가면 반드시 그 기준선으로 재편됩니다.
기업은 그래도 되면 반드시 그렇게 합니다.
3
솔직히 사람들이 좀 먹고 살만해야
사회적 갈등도 덜하고
정치도 좀 여유있게 참여하고 할텐데
수요공급 곡선에 의해 기업 및 자영업자의 수요와 노동자의 공급이 맞는 선에서 자연스럽게 임금이 결정되는
경제학 원론에서 공부하던 아름다운 자본주의 국가는 애초에 초기 자본주의에서 실패하지 않았나요?
2
겨울삼각형
그 결과 대공황 -> 2차대전 으로 이어지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74 경제차량사고로 인한 자차 보험 내용 문의 2 [익명] 22/01/01 4120 0
12754 경제돈이 생겼습니다. 중도금 대출을 갚는게 좋을까요? 22 [익명] 21/12/29 5458 0
12751 경제중소기업 입사자가 하면 좋은 것? 14 [익명] 21/12/28 3692 0
12745 경제올해가 가기 전에 중개형 ISA에 가입하려 합니다. 4 Yossi 21/12/27 4050 0
12743 경제제2금융권 대출 질문. 6 침묵의공처가 21/12/27 3982 0
12732 경제NFT 거래소 어디가 좋을까요? 11 아침커피 21/12/22 4774 0
12725 경제40대 1인 가구, 자산격차에 대해 어찌 느끼고 계시나요? 17 [익명] 21/12/21 5203 0
12723 경제스물 둘에 1억을 모았습니다. 40 [익명] 21/12/21 5444 0
12721 경제호주나 유럽 주식 매매하는 분도 있으신지요...? 2 홍당무 21/12/20 4061 0
12694 경제부알못의 궁금증 - 그냥 양도세 제로, 보유세 풀로 올리면 어찌되려나요? 24 21/12/16 4518 0
12666 경제휴가비 어느정도 쓰십니까? 30 [익명] 21/12/10 4082 0
12634 경제어느 대선후보의 정책을 보고 든 심각한 의문입니다. 10 알겠슘돠 21/12/02 6106 0
12633 경제부동산 관련 거래세 정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36 과학상자 21/12/01 4502 0
12625 경제청년 주택 청약 및 청약 일반 정보 17 kaestro 21/11/29 4348 0
12585 경제주택담보대출 상한금액은 얼마인가요? 2 똘빼 21/11/18 3000 0
12579 경제29살 부동산 조언 여쭙고 싶습니다... 21 [익명] 21/11/16 4727 0
12559 경제쿠코인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3 kogang2001 21/11/12 4734 0
12555 경제주식 리딩방 들어가셔서 이익 보신 분 계신가요? 8 보리건빵 21/11/11 4233 0
12532 경제1주택자인데 오피스텔 청약 당첨이 되었는데 어떻게 운영을 해야할지요? 4 [익명] 21/11/06 4541 0
12503 댓글잠금 경제중국 대만 분쟁과 서울 집값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10 [익명] 21/11/01 4006 0
12496 경제세전 230이면 실수령이 얼마일까요? 12 흑마법사 21/10/31 6826 0
12493 경제BJ 후원을 주식 처럼 할 수 있는 플랫폼 어떨까요? 9 INFJ 21/10/31 3960 0
12492 경제주식 리딩방에서 이해 할 수 없는 행동 6 코카콜라77 21/10/29 4069 0
12398 경제내년 입주 예정인데 지금 신용대출이라도 받아야 할까요? 4 [익명] 21/10/08 3503 0
12353 경제가계부 고수님들 계신가요 (가계부 어플-편* 가계부- 후기도 있어요) 9 NOORY 21/09/30 460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