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1/12/21 01:44:23
Name   [익명]
Subject   스물 둘에 1억을 모았습니다.
부모님 도움 없이, 순수 창작 사업으로 모았습니다.
모은 것 까진 좋은데요.
1억을 어떻게 굴려야할지... 이게 참 고민이네요.
부동산이고 주식이고 들어가자니 너무 올라버려서...
뭘 어떻게 투자해야하나 고민입니다. ㅠㅠ



0


부럽네요

저라면 나스닥에 적립식으로 투자 하겠습니다.
3
[글쓴이]
나스닥이군요.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그저그런
https://youtu.be/RmqUjHaJQvY?t=241
"미국주식, 채권, 부동산 ETF 추천"(홍춘욱 박사)

부럽습니다!
[글쓴이]
달러 및 미국 국채투자도 있군요 ㅎㅎ 알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구밀복검
저라면 40% 저축(현금비중 유지)하고 나머지는 나스닥QQQ 에센피SPY 장기채TLT 중기채IEF에 25%씩 균등 비율로 할당해서 넣겠읍니다. 이렇게 해놓고 떨어지는 건 추가매수하고 오른 건 일부 매도해서 리밸런싱으로 비중 맞추고..
요즘 장이 불안불안해서 들어가기 좀 꺼려지기는 하죠.
10
[글쓴이]
사업 및 생활을 위해 유용해야하는 자금이 있는만큼 제시해주신 구체적인 저축 비율과 분산투자가 너무 마음에 듭니다. 조언주신 것들 차분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투자에서 가장 안전한 방법 정석인것 같아요. 콕 찝어서 말씀해주셔서 귀에 쏙 들어옵니다.ㅎㅎ 복건님이 투자에도 재능이 있으신가봅니다.
구밀복검
사실 수익률은 별로 안 나오는 방법입니다만 처음 시작할 땐 리스크를 정신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울 수가 있으니까요.
천천히 관망하면서 변동성 높은 자산의 비율을 올리는 연습을 해 보는 게 좋다 생각합니다.
위의 방법이 말씀처럼 초보들에게 가장 조심스런 접근법 같아요. 저 같은 이에게 필요한.. :)
순수 노동의 수율이 좋네요. 일이 즐거우시다면 현재 자본금은 all weather로 분산해버리고, 하던 일에 더 집중하시는 걸 추천합니다.
3
[글쓴이]
사계절 포트폴리오에 묻어둔 채 신경 끄고.
하던 일에 집중하는 것도 현답인 것 같습니다.
좋은 조언 감사드립니다!
늑대를불러야지
아예 투자용 자금만 따로 배정해서 QQQ 또는 SPY에 거치식으로 한꺼번에 적립하는 게 수익률이 더 좋긴 합니다.
[글쓴이]
그렇군요! 조언 감사드립니다 ㅎㅎ
Jack Bogle
선생님 정말 고생 많으셨읍니다. 그 누구보다 본인소유 1억의 가치를 잘 아실겁니다. 잃지 마심씨오.
9
[글쓴이]
옙 더 모을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본인에게 투자하는 게 수익률이 가장 좋을 것 같네요
[글쓴이]
원래도 투자금이라곤 인건비밖에 없는 분야다보니 ㅋㅋ;; 더 좋은 작업환경 만들기위하여 재투자도 열심히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사이시옷
우와... 선생님 창작사업이란게 뭔지 여쭈어봐도 될까요? 대단하십니다.
[글쓴이]
별건 아니구 게임 만들고 있습니다. ㅎㅎ...
지금 비싸보여도 5년 뒤엔 더 올라있겠죠.
코수피 제외..
부동산 여러채?
[글쓴이]
1억으로 부동산을 만질수가 없어서요 엉엉...
공부가 필요하지만 할 수 있는 건 있습니다.
썩상, 썩빌, 구축 등등으로요.
오쇼 라즈니쉬
만일 주식하시려면 현금들고 폭락장 기다렸다가 들어가심이
물론 주식시장이 뭔지는 알아야 하니까 100만원 정도로 연습하시고요
1
[글쓴이]
작년초에 50들고 단타 맛봤다가 본전만 챙겨서 나온 뒤론 주식장이 무섭습니다 ㅋㅋㅋ 단타말고 중장기를 봐야하는데 그 정도의 사고회전이 안되는 것 같더라구요 ㅠㅠ 경제기사나 여러 지표들 열심히 보면서 파악해보겠습니다!
[글쓴이]
히히 종종 확인하고있긴 합니다
올웨더는 자산이 많이 쌓였을때 최대한 방어적으로 하는 전략이기 때문에 20대 초반에는 별로 추천하지 않습니다.
20대 초반이면 시간이 많기 때문에 변동성은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미국장이면 1,2년간 장이 안좋아도 그냥 5-10년 홀딩하면 우상향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미국 대기업들을 모아둔 나스닥(qqq)이나 snp (voo 나 spy) 분할매수뒤 쭉 홀딩하는게 낫습니다.
Time in market beats timing the market 입니다.
저라면 국채나 올웨더나 어렵게 생각할필요 없이 몇달치 견딜 긴급자금만 현금 놔두고 qqq, voo 반반 분할매수하겠습니다.
게다가 20대 초반에 1억이면 인컴포텐셜이 높다는 얘기기때문에 1억정도는 없는셈치고 다 주식에 묻어두셔도 됩니다.
[글쓴이]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조언 감사드립니다! 마소의 우상향 그래프가 뇌리를 스쳐지나가네요 =ㅅ= qqq voo spy 분할매수 고려해보겠습니다!
그정도로 사업수완 좋으시면 그냥 잘하시는거 쭉 하면 될꺼같아용
[글쓴이]
사업소득이 안정적인 인컴이 아니다보니 현재 돈을 얼마들고있던 불안감이 있습니다 ㅠㅠ 그래서 금융소득쪽도 기웃기웃 거리는 늅늅이 입니다요...ㅋㅋㅋ
실거주할 똘똘한 한채부터 마련하세요.
뭐든 할라면 본진이 있어야죠.
[글쓴이]
똘똘한 한채를 마련하기엔 1억이 너무 적은것 같습니다 ㅠㅠ... 2년내로 마련할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겠어요...
syzygii
ㅊㅋㅊㅋ
1
[글쓴이]
감사합니다 ㅎㅎ
다니엘
1억이면 전세끼고 몇억짜리 집도 살수 있죠
[글쓴이]
갭투자는 리스크 때문에 시도하기가 참 무섭네요 ㅎㅎ;; 그래도 관련해서 공부해보겠습니다
케이크
우와와와아아앙
위에서 말했듯 '긴 시간 필요 없는 돈이면' 나스닥 같은곳 매수가 정답이고

아니라면 그 돈을 가지고 '무언가 해볼 생각' 을 하는걸 추천드립니다.
(저라면 여기서 더 모아서 대출 땡기고 집을 샀을거 같네요)
[글쓴이]
1억이 그리 큰 돈이 아니다보니 사용처가 참 고민이 됩니다. 사업 리스크 때문에 어느정도의 자산유동성은 챙겨놓아야 하다보니... 현금화가 쉬운 주식시장이 끌리긴 하네요.

돈을 가지고 무언가 해볼 생각을 한다. 이것도 참 중요한 것 같습니다. 사실 돈을 모아서 경제적 자유를 쟁취하는게 꿈입니다만, 나를 위한 목표 외에 다른 꿈이 없다보니 추진력도 떨어지고 사람 구하기도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돈을 버는 방법은 얼추 알았으니, 많은 팀원들이 열광할 수 있는 대의를 위해 노력하며 사업을 키워나가는 방향성도 고려해보야햐 할 시점이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ㅎㅎ...
주식시장은 현금화가 쉽다고 생각하면 애매한게..

나스닥만 해도 '길게 보면 오른다' 인거지

반년뒤에 돈이 필요할떄는 -10% 일수도 있습니다. ..

그래서 주식시장은 '당장 쓸일 없는 돈'을 넣어두는걸.. 추천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2774 경제차량사고로 인한 자차 보험 내용 문의 2 [익명] 22/01/01 4120 0
12754 경제돈이 생겼습니다. 중도금 대출을 갚는게 좋을까요? 22 [익명] 21/12/29 5458 0
12751 경제중소기업 입사자가 하면 좋은 것? 14 [익명] 21/12/28 3692 0
12745 경제올해가 가기 전에 중개형 ISA에 가입하려 합니다. 4 Yossi 21/12/27 4050 0
12743 경제제2금융권 대출 질문. 6 침묵의공처가 21/12/27 3982 0
12732 경제NFT 거래소 어디가 좋을까요? 11 아침커피 21/12/22 4774 0
12725 경제40대 1인 가구, 자산격차에 대해 어찌 느끼고 계시나요? 17 [익명] 21/12/21 5203 0
12723 경제스물 둘에 1억을 모았습니다. 40 [익명] 21/12/21 5443 0
12721 경제호주나 유럽 주식 매매하는 분도 있으신지요...? 2 홍당무 21/12/20 4061 0
12694 경제부알못의 궁금증 - 그냥 양도세 제로, 보유세 풀로 올리면 어찌되려나요? 24 21/12/16 4518 0
12666 경제휴가비 어느정도 쓰십니까? 30 [익명] 21/12/10 4082 0
12634 경제어느 대선후보의 정책을 보고 든 심각한 의문입니다. 10 알겠슘돠 21/12/02 6106 0
12633 경제부동산 관련 거래세 정책에 대한 질문입니다. 36 과학상자 21/12/01 4502 0
12625 경제청년 주택 청약 및 청약 일반 정보 17 kaestro 21/11/29 4348 0
12585 경제주택담보대출 상한금액은 얼마인가요? 2 똘빼 21/11/18 3000 0
12579 경제29살 부동산 조언 여쭙고 싶습니다... 21 [익명] 21/11/16 4727 0
12559 경제쿠코인 쓰시는 분 있으신가요?? 3 kogang2001 21/11/12 4734 0
12555 경제주식 리딩방 들어가셔서 이익 보신 분 계신가요? 8 보리건빵 21/11/11 4233 0
12532 경제1주택자인데 오피스텔 청약 당첨이 되었는데 어떻게 운영을 해야할지요? 4 [익명] 21/11/06 4541 0
12503 댓글잠금 경제중국 대만 분쟁과 서울 집값의 상관관계에 대해서 10 [익명] 21/11/01 4006 0
12496 경제세전 230이면 실수령이 얼마일까요? 12 흑마법사 21/10/31 6825 0
12493 경제BJ 후원을 주식 처럼 할 수 있는 플랫폼 어떨까요? 9 INFJ 21/10/31 3960 0
12492 경제주식 리딩방에서 이해 할 수 없는 행동 6 코카콜라77 21/10/29 4069 0
12398 경제내년 입주 예정인데 지금 신용대출이라도 받아야 할까요? 4 [익명] 21/10/08 3503 0
12353 경제가계부 고수님들 계신가요 (가계부 어플-편* 가계부- 후기도 있어요) 9 NOORY 21/09/30 460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