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12/22 18:47:35 |
Name | 아침커피 |
Subject | NFT 거래소 어디가 좋을까요? |
사진 파일을 NFT로 등록해야 할 일이 생겼습니다. 평소에 NFT는 커녕 코인도 안 했어서 어느 거래소가 좋은지, 거래소를 고를 때 무엇을 염두에 두어야 하는지 등등 모르는 것이 너무나도 많네요. NFT 거래소는 다 비슷비슷한가요, 아니면 유명한 곳이 있나요? 한 거래소에만 사진 파일을 등록하면 될까요, 아니면 거래소별로 다 등록을 해야 하나요? 제가 모르는 게 많아서 질문도 잘 못 하겠는데 ㅠ 무엇이든 이쪽 분야에 대해 알려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아침커피님의 최근 게시물
|
일단 블록체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듯 합니다...ㅎ 알아보시면 또 무궁무진해서...
가장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는 https://www.opensea.io 입니다만 이쪽은 ETH 네이티브라 수수료가 좀 비싸고요(전송까지 고려하면)
제일 싸게 가능한 곳은 https://krafter.space/ko/explore 여길꺼에요. 카카오 클레이튼 기반이구요.제가 할 때는 일단은 민팅(NFT화하는 것)자체는 무료였습니다.
가장 거래량이 많은 거래소는 https://www.opensea.io 입니다만 이쪽은 ETH 네이티브라 수수료가 좀 비싸고요(전송까지 고려하면)
제일 싸게 가능한 곳은 https://krafter.space/ko/explore 여길꺼에요. 카카오 클레이튼 기반이구요.제가 할 때는 일단은 민팅(NFT화하는 것)자체는 무료였습니다.
쉽게 생각하면 달러기반 거래소 엔화기반 거래소 원화기반 거래소 이런 식으로 있습니다.
같은 달러 안에도 여러 거래소가 존재하고요. [선별형]거래소(아티스트를 선발해서 업로드합니다)와 [비선별형](누구나 올릴 수 있습니다) 구분 됩니다. 위에 언급드린 OpenSea가 [비선별형]거래소 중 가장 큽니다. 거래량이 가장 크고 유입량도 많고, 코인 사용자가 아주 많은 이더리움기반(다른 코인도 지원하긴 합니다만)이라서요.
같은 달러 안에도 여러 거래소가 존재하고요. [선별형]거래소(아티스트를 선발해서 업로드합니다)와 [비선별형](누구나 올릴 수 있습니다) 구분 됩니다. 위에 언급드린 OpenSea가 [비선별형]거래소 중 가장 큽니다. 거래량이 가장 크고 유입량도 많고, 코인 사용자가 아주 많은 이더리움기반(다른 코인도 지원하긴 합니다만)이라서요.
1. 일단 코인을 정한다. 그 코인 기반 거래소들을 알아본다.
2. NFT는 하나의 '증서'역할이기 때문에 '원본 파일'(이미지.텍스트.GIF.동영상 등등)이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해 NFT를 발행한다.
3. NFT를 발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트랜잭션'(네트워크 상 작업)이기 때문에, 해당 코인이 돌아가는 네트워크에 수수료를 지불해야한다. 이유는 블록체인은 특정한 업체가 특정 서버를 운영하는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P2P 형태의 노드(서버역할을 대신함)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드를 운영해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것
4. 이 ... 더 보기
2. NFT는 하나의 '증서'역할이기 때문에 '원본 파일'(이미지.텍스트.GIF.동영상 등등)이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해 NFT를 발행한다.
3. NFT를 발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트랜잭션'(네트워크 상 작업)이기 때문에, 해당 코인이 돌아가는 네트워크에 수수료를 지불해야한다. 이유는 블록체인은 특정한 업체가 특정 서버를 운영하는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P2P 형태의 노드(서버역할을 대신함)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드를 운영해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것
4. 이 ... 더 보기
1. 일단 코인을 정한다. 그 코인 기반 거래소들을 알아본다.
2. NFT는 하나의 '증서'역할이기 때문에 '원본 파일'(이미지.텍스트.GIF.동영상 등등)이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해 NFT를 발행한다.
3. NFT를 발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트랜잭션'(네트워크 상 작업)이기 때문에, 해당 코인이 돌아가는 네트워크에 수수료를 지불해야한다. 이유는 블록체인은 특정한 업체가 특정 서버를 운영하는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P2P 형태의 노드(서버역할을 대신함)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드를 운영해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것
4. 이 수수료는 해당 네트워크의 코인(이더리움.테조스.클레이튼 등)으로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발행자는 해당 네트워크의 코인을 담는 지갑과 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업비트.코인원 등의 거래소에 가입을 먼저 해야하고 지갑을 만들어야한다. 코인별로 가격이 다르며 해당 코인을 지갑으로 전송(출금)하려면 최소 전송금액(최소송금액)과 송금 수수료(보통 고정 수수료이다. 0.02ETH 1TRX 1KLAY등)를 알아야 한다.
2. NFT는 하나의 '증서'역할이기 때문에 '원본 파일'(이미지.텍스트.GIF.동영상 등등)이 있어야 하고 이에 대해 NFT를 발행한다.
3. NFT를 발행한다는 것은 하나의 '트랜잭션'(네트워크 상 작업)이기 때문에, 해당 코인이 돌아가는 네트워크에 수수료를 지불해야한다. 이유는 블록체인은 특정한 업체가 특정 서버를 운영하는게 아니라, 전세계 사람들이 P2P 형태의 노드(서버역할을 대신함)를 운영하는 것이기 때문에 노드를 운영해주는 대가로 지불하는 것
4. 이 수수료는 해당 네트워크의 코인(이더리움.테조스.클레이튼 등)으로 지불하게 된다. 따라서 발행자는 해당 네트워크의 코인을 담는 지갑과 코인을 보유하고 있어야한다. 업비트.코인원 등의 거래소에 가입을 먼저 해야하고 지갑을 만들어야한다. 코인별로 가격이 다르며 해당 코인을 지갑으로 전송(출금)하려면 최소 전송금액(최소송금액)과 송금 수수료(보통 고정 수수료이다. 0.02ETH 1TRX 1KLAY등)를 알아야 한다.
복잡한가요? 요약하면
1. NFT는 증서역할이고, 해당 코인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것이다. 우리가 증서를 여러개 만들지 않듯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인 네트워크에서만 발행하시면 됩니다.
2. 이를 위해선 코인과 이 코인을 담을 전자지갑이 필요합니다. 코인은 코인원.업비트 등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제도에 의해 실명계좌를 연동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은 모두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 계좌를 연결하셔야 하고, 코인원은 NH농협은행 계좌를 연결합니다. 비대면으로 계좌개설 이후 21일가량 신규 계좌개설이 불가합니다. 또한 최초 원화자산을 거래소에 입금하신 후 7... 더 보기
1. NFT는 증서역할이고, 해당 코인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것이다. 우리가 증서를 여러개 만들지 않듯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인 네트워크에서만 발행하시면 됩니다.
2. 이를 위해선 코인과 이 코인을 담을 전자지갑이 필요합니다. 코인은 코인원.업비트 등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제도에 의해 실명계좌를 연동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은 모두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 계좌를 연결하셔야 하고, 코인원은 NH농협은행 계좌를 연결합니다. 비대면으로 계좌개설 이후 21일가량 신규 계좌개설이 불가합니다. 또한 최초 원화자산을 거래소에 입금하신 후 7... 더 보기
복잡한가요? 요약하면
1. NFT는 증서역할이고, 해당 코인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것이다. 우리가 증서를 여러개 만들지 않듯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인 네트워크에서만 발행하시면 됩니다.
2. 이를 위해선 코인과 이 코인을 담을 전자지갑이 필요합니다. 코인은 코인원.업비트 등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제도에 의해 실명계좌를 연동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은 모두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 계좌를 연결하셔야 하고, 코인원은 NH농협은행 계좌를 연결합니다. 비대면으로 계좌개설 이후 21일가량 신규 계좌개설이 불가합니다. 또한 최초 원화자산을 거래소에 입금하신 후 72시간 동안 가상자산 입출금이 제한됩니다.
= 비대면 계좌 개설하시고, 코인거래소 가입하셔서 연동하시고, 72시간 기다려야합니다.
3. 코인별로 최소 출금량과 수수료가 정해져 있다.(이더리움과 같은 코인은 최소 출금량이 크고, 수수료도 비쌉니다. 따라서 저렴한 코인을 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추천은 테조스(XTZ). 클레이튼(KLAY)가 있습니다).
4. 테조스는 https://www.hicetnunc.art 를 추천드립니다. 클레이튼은 위의 KrafterSpace를 추천합니다. 이벤트가 끝나지 않았다면 클레이튼의 경우 자체 NFT 거래 활성화를 위해 NFT발행시 필요한 수수료를 해당 플랫폼 측에서 지불해주고 있습니다.또한 기억으로는 KaiKas 지갑이라는 것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어플 혹은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가능. 특별히 판매수익 혹은 재판매수익을 기대하시는게 아니라면 KrafterSpace 이용하시는 편이 거래소 이용 안 하셔도 되고 여러모로 편합니다.
1. NFT는 증서역할이고, 해당 코인네트워크에서 발행되는 것이다. 우리가 증서를 여러개 만들지 않듯이, 일반적으로 하나의 코인 네트워크에서만 발행하시면 됩니다.
2. 이를 위해선 코인과 이 코인을 담을 전자지갑이 필요합니다. 코인은 코인원.업비트 등에서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제도에 의해 실명계좌를 연동시켜야 합니다. 이 과정은 모두 비대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습니다. 업비트는 케이뱅크 계좌를 연결하셔야 하고, 코인원은 NH농협은행 계좌를 연결합니다. 비대면으로 계좌개설 이후 21일가량 신규 계좌개설이 불가합니다. 또한 최초 원화자산을 거래소에 입금하신 후 72시간 동안 가상자산 입출금이 제한됩니다.
= 비대면 계좌 개설하시고, 코인거래소 가입하셔서 연동하시고, 72시간 기다려야합니다.
3. 코인별로 최소 출금량과 수수료가 정해져 있다.(이더리움과 같은 코인은 최소 출금량이 크고, 수수료도 비쌉니다. 따라서 저렴한 코인을 이용하시는 편이 좋습니다. 추천은 테조스(XTZ). 클레이튼(KLAY)가 있습니다).
4. 테조스는 https://www.hicetnunc.art 를 추천드립니다. 클레이튼은 위의 KrafterSpace를 추천합니다. 이벤트가 끝나지 않았다면 클레이튼의 경우 자체 NFT 거래 활성화를 위해 NFT발행시 필요한 수수료를 해당 플랫폼 측에서 지불해주고 있습니다.또한 기억으로는 KaiKas 지갑이라는 것만 설치하시면 됩니다. 모바일 어플 혹은 크롬 확장프로그램으로 가능. 특별히 판매수익 혹은 재판매수익을 기대하시는게 아니라면 KrafterSpace 이용하시는 편이 거래소 이용 안 하셔도 되고 여러모로 편합니다.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정말로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혹시 니프티 게이트웨이 ( https://niftygateway.com/ ) 라는 곳은 평판이 어떤지 여쭤볼 수 있을까요?
큽...NFT 구매 가이드 정도는 티탐에 써 볼수도 있겠읍니다. 국제송금코인도...
일단은 제 개인 medium 블로그 부터 가꾸고...ㅠㅜㅎㅎㅎ
일단은 제 개인 medium 블로그 부터 가꾸고...ㅠㅜㅎㅎㅎ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