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2/16 10:26:32
Name   DogSound-_-*
Subject   경조사 선물범위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DogSound입니다

저의 아버지께서 지난 13일 갑자기 돌아가셔서 장례식을 어제 모두 무사히 마쳤읍니다.

그러다 보니 많은 조의금이 들어왔는데요

보통 경조사(결혼, 돌, 장례 등)시 부조하면 답례품을 드리잖아요?

그동안 저는 드리는 입장이였으니까... 이에 대해 별 생각이 없었는데

이제 받는 입장이 되니까 답례품 범위를 어떻게 해야될지 잘 몰라서요

궁금한 것은
1. 같은 회사 부서 내에서 조의금을 주신분도 계시고 안주신분도 계시니 선택적으로 드릴 수 없고
그냥 다 드리려고 하는데..
-> 다 드려라 vs 선택적으로 드려라 요런상황입니답..
2. 답례품 금액 범위를 얼마 정도 잡아야 할까요?? 친구한테 물어보니까 3~4천원 내 범위로 잡으라고 하더라구요
   그리고 네이버 검색해보니까 핑크소금이 많이 뜨길래 이걸로 하려고 하는데 더 좋은게 있을까요?
3. 이번에 장례식을 치루고 보니까 상조회사가 아주 중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읍니다.
   상조회사 선택시 그냥 메이저(보람, 프리드, 등등)로 하는게 나을지 아니면 그냥 하던곳(다음세계 상조?)에서 하는게 나을지 궁금합니다

ps. 제가 솔직히 아버지랑 사이가 좋은편은 아니였읍니다. 가끔 올라오면 매번 싸움나고 막 그랬거든요
    그런데 임종소식 들었을 때, 어제 입관할때, 화장터 들어가고 나올 때 눈물이 돌았습니다
    여러분들은 잘 하시겠지만 그래도 부모님께 효도하세요! =)




1


보통 결혼식은 신혼여행 다녀와서 회사 가면 떡을 돌리거나 수건같은거 돌리는거 많이 봤읍니다.

장례식은 그냥 감사 문자정도만 하고 선물??답례품?? 이런거 돌리는거 본적 단 한번도 없었읍니다;;
행복한고독
말씀하신 금액 정도면 될 거 같네요.

저는 아이 돌 때 티스푼 세트했는데, 머그잔이나 손톱깎이 세트, 수건 등등 받아봤는데 가격대는 대략 언급하신 수준이네요.

다만 조사이기 때문에 제가 언급한 답례품 보다는 핑크소금 괜찮을 거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장인어른 돌아가셨을 때 커피 돌렸는데, 그 이유가 와주셔서 감사하다는 의미와 제가 없는 동안 제일을 분담해주시는 분들에 대한 감사인사 정도로 커피 돌렸네요.)


그리고 그 정도 금액이 부담이 크지 않다면 선별보다는 전부다 드리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이번에 오... 더 보기
말씀하신 금액 정도면 될 거 같네요.

저는 아이 돌 때 티스푼 세트했는데, 머그잔이나 손톱깎이 세트, 수건 등등 받아봤는데 가격대는 대략 언급하신 수준이네요.

다만 조사이기 때문에 제가 언급한 답례품 보다는 핑크소금 괜찮을 거 같습니다.
(참고로 저는 장인어른 돌아가셨을 때 커피 돌렸는데, 그 이유가 와주셔서 감사하다는 의미와 제가 없는 동안 제일을 분담해주시는 분들에 대한 감사인사 정도로 커피 돌렸네요.)


그리고 그 정도 금액이 부담이 크지 않다면 선별보다는 전부다 드리는 게 좋을 듯 합니다.

이번에 오지 못해서 서운하더라도 이번 기회에 좋은 관계 맺으시는 것도 좋지 않을까 싶네요.
1
경사인 경우에는 돌리는데, 조사인 경우에는 돌리는 걸 못본 것 같습니다. 감사메일/문자/전화는 합니다.
1
주변에서 조사일때 답례품 하는건 못 본 거 같습니다. 감사 연락 정도면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1
다람쥐
제가 있는 곳에서는 음식 많이 돌리네요 떡같은거요
저도 조사의 경우에는 주변에서 감사 메일/문자로 하는것만 겪어봤네요.
그정도로 충분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꾸정
요즘은 코로나때문인지 뭐때문인지 조사인데 답례하더라구요? 커피 기프티콘 받는 경우 종종 봤습니다. 감사인사 돌리면서 깊티 돌리는것도 나쁘지 않은듯 해요!
조사에 답례품? 했는데...위 댓글 보니 감사인사와 스타벅스 커피 기프티콘 받은 적이 있네요. 코로나시즌이었는데 직접 가서 그런가 봅니다..
조사의 경우 경상도 역은 그자리에서 차비조로 답례금 봉투 드리는거 외에는 답례품 따로 돌리는건 못봤습니다. 보통 정중하게 인사하시고... 일찍 와주신 분이나 좀 특별한 분께는 따로 시간 내서 식사 하거나 차마시는 정도는 종종 봤네요.
저는 어려서 그런가(34살이면 어린것도 아닌거 같은데...), 아니면 이쪽의 문화가 그런건지 경사의 경우에도 사례는 한번 받아봤고, 감사 인사도 드문드문 받아봤습니다. 조사도 감사인사 한번 정도 받은게 다 이네요.
녹색문
저도 마찬가지 조사 치르고, 문자나 전화로 인사만 드렸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56 경제삼촌께서 차를 주신다고 합니다. 30 OshiN 22/04/17 4207 0
13244 경제재개발 질문입니다 3 [익명] 22/04/13 4085 0
13225 경제기금 운용 상품 좀 알려주세요 4 moqq 22/04/07 3637 0
13164 경제여러분이라면 어떻게 하시겠어요?(재테크 관련) 13 [익명] 22/03/25 4297 0
13130 경제전자주총 찬반투표는 기명인가요? 1 [익명] 22/03/18 4279 0
13107 경제환헤지와 환노출 상품의 유불리가 파악이 안됩니다. 7 Alynna 22/03/14 4247 0
13095 경제매매가보다 높은 오피스텔 질문 20 거소 22/03/11 4508 0
13090 경제기존에 타던 차량을 팔아야 하는데요 10 전국 홍차넷 협회 22/03/10 4730 0
13004 경제중고 자전거 싸고 빨리 구할 수 있는 오프라인 판매처 6 면이면옥 22/02/21 4275 0
12986 경제신차 구매할 때 카드할부는 대출에 안잡히나요? 8 SUVMAX 22/02/16 2855 0
12984 경제경조사 선물범위 질문드립니다. 11 DogSound-_-* 22/02/16 5561 1
12981 경제금융생활 관련해서 질문을 드립니다 15 아마존 22/02/15 3131 0
12978 경제주식을 처음 해볼려구 하는데요 18 따뜻한이불 22/02/15 4813 0
12963 경제경제 책 추천 부탁드립니다 2 쿠도 22/02/11 4050 0
12956 경제부모님 용돈 문제.. 18 잘될거야 22/02/10 6127 0
12952 경제주식 초보의 사소한 질문드립니다. 2 Might 22/02/09 4613 0
12951 경제급하게 30만원 정도를 소비해야합니다. 24 크루아상 22/02/09 4209 0
12934 경제시골 관광지 가게들은 어디서 매매 되나요? 1 [익명] 22/02/06 3949 0
12921 경제1억원 투자해서 배당주 월배당받기 vs 부동산 월세받기 어떤 차이가 있을지요...? 13 홍당무 22/02/02 5742 0
12910 경제예금 적금 쓸만한 제2 금융권을… 12 따뜻한이불 22/01/31 4618 0
12879 경제외국돈으로 직접 주식 구매가 가능한곳? 4 혼돈의2022년 22/01/25 3798 0
12876 경제조용한 저렴한 단독주택은 어디서 매물을 찾아야 하나요? 12 혼돈의2022년 22/01/23 5253 0
12832 경제여자사람후배 선물용 추천 부탁드립니당 ㅠㅠ 17 미슐랭 22/01/15 4596 0
12825 경제취업규칙 질문입니다 4 [익명] 22/01/14 4030 0
12781 경제아파트 대출 관련 질문입니다. 5 [익명] 22/01/03 3730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