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2/06/10 19:49:51 |
Name | [익명] |
Subject | 이직 8개월차인데 또다시 이직을 고민중입니다. |
저는 8개월 전에 반도체쪽의 누구나 알만한 외국계 기업으로 이직을 했습니다. 처음에는 항상 꿈이었던 외국계 기업 연구소로 이직해서 기분이 매우 좋았지만 본격적으로 업무를 시작하면서 다시 이직을 고민 할 만큼 불만이 쌓이기 시작했습니다. 분명 장점도 많은 회사인데 단점을 견딜수가 없네요 저는 이 상황에서 다시 이직을 하는 것이 맞을까요? 아니면 좀더 버텨볼까요? 이직하고 1년도 못채우고 나가는게 자존심 상하기도 하고 다시 이직 준비하는게 두렵기도 해서 고민이 됩니다. 1. 지식과 노하우를 배울 만한 전문가가 없다 --> 한국 연구소에 연구인력 저 혼자임, 매니저 전문성 없음 2. 미국 본사에서의 한국 연구소 투자 계획 철회 --> 설비 투자 및 인력충원계획 무기한 보류 3. 매니저와 성향이 안맞음 (가장 중요) --> 매니저가 전문성이 없고 결벽증임, 제 전임자도 매니저와 싸우고 나감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0
|
좋은 점들을 안써주셔서 섣불리 말하기 어렵지만..
1번에서 연구인력이 혼자라는 걸 보고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는 지 걱정되었어요. 혼자서도 반도체 공정 챔버를 만들기도 하고, ML로 이미징 기술을 연구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미팅하고 리뷰해 줄 동료들은 필요한데. 특히나 퍼포먼스를 봐줘야 할 매니저가 전문성이 없다는 건 큰 일이고요. 매니저는 아마 한국 오피스의 제너럴 매니저 같은 직책이신듯 한데. 외국계 기업이 랩을 외국에 차리면 간단한 테스트나 KC인증업무만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떠넘겨지신 상황이... 더 보기
1번에서 연구인력이 혼자라는 걸 보고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는 지 걱정되었어요. 혼자서도 반도체 공정 챔버를 만들기도 하고, ML로 이미징 기술을 연구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미팅하고 리뷰해 줄 동료들은 필요한데. 특히나 퍼포먼스를 봐줘야 할 매니저가 전문성이 없다는 건 큰 일이고요. 매니저는 아마 한국 오피스의 제너럴 매니저 같은 직책이신듯 한데. 외국계 기업이 랩을 외국에 차리면 간단한 테스트나 KC인증업무만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떠넘겨지신 상황이... 더 보기
좋은 점들을 안써주셔서 섣불리 말하기 어렵지만..
1번에서 연구인력이 혼자라는 걸 보고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는 지 걱정되었어요. 혼자서도 반도체 공정 챔버를 만들기도 하고, ML로 이미징 기술을 연구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미팅하고 리뷰해 줄 동료들은 필요한데. 특히나 퍼포먼스를 봐줘야 할 매니저가 전문성이 없다는 건 큰 일이고요. 매니저는 아마 한국 오피스의 제너럴 매니저 같은 직책이신듯 한데. 외국계 기업이 랩을 외국에 차리면 간단한 테스트나 KC인증업무만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떠넘겨지신 상황이 아닐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단 한 명 뽑는 자리에 석박 연구원으로 가실 정도이니 이미 능력은 충분하실꺼고. 처음 이직할 때 사용하신 경력사항으로도 충분히 다른 좋은 자리를 찾으실 수 있을꺼에요. 지금 당장 이직을 결심하시든 아니면 좀 나중에 하시든 전혀 자존심 상해하실 필요는 없다고 응원드립니다.
1번에서 연구인력이 혼자라는 걸 보고는 제대로 된 프로젝트를 하는 지 걱정되었어요. 혼자서도 반도체 공정 챔버를 만들기도 하고, ML로 이미징 기술을 연구하기도 하지만, 그런 경우에도 미팅하고 리뷰해 줄 동료들은 필요한데. 특히나 퍼포먼스를 봐줘야 할 매니저가 전문성이 없다는 건 큰 일이고요. 매니저는 아마 한국 오피스의 제너럴 매니저 같은 직책이신듯 한데. 외국계 기업이 랩을 외국에 차리면 간단한 테스트나 KC인증업무만 하는 경우가 많아서 그런 프로젝트에 떠넘겨지신 상황이 아닐까 걱정되기도 합니다.
단 한 명 뽑는 자리에 석박 연구원으로 가실 정도이니 이미 능력은 충분하실꺼고. 처음 이직할 때 사용하신 경력사항으로도 충분히 다른 좋은 자리를 찾으실 수 있을꺼에요. 지금 당장 이직을 결심하시든 아니면 좀 나중에 하시든 전혀 자존심 상해하실 필요는 없다고 응원드립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