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08/31 09:26:40
Name   Picard
Subject   공소시효가 지난 범죄에 대한 증거인멸도 죄가 되나요?

제가 알기로 본인이 본인 죄에 대한 증거 인멸을 하는 것은 증거인멸죄가 성립이 안되고...
남을 시켜서 증거인멸을 하는 경우에는 증거인멸죄가 되고, 본인은 증거인멸 교사죄가 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지금 이준석 대표가 윤리위에서 징계를 받은 이유가 김철근 정무실장을 시켜서 증거인멸을 했다는 건데...
애초에 2012년에 접대 받은건 공소시효가 지났잖아요?
(이걸 지금 2016년 추석까지 끌어와서 포괄로 뮦어서 공소시효가 아직 한발 남았... 아니 한달 남았다고 하고는 있는데)

누구들 말대로 이준석이 증거인멸을 하려고 김철근을 시켜서 각서 써줬다고 쳐봐도...
애초에 공소시효가 지나 증거인멸죄가 성립이 안될것 같고, 그럼 교사죄도 성립이 안될것 같은데...
증거인멸 시도 자체는 올해 1월(?) 이었으니까... 김철근 전 정무실장의 증거인멸죄는 시효가 남아 있는건가?

지난 7월초 윤리위 이후 김철근 이라는 이름이 사라졌는데, 핵관씨들은 이분 포섭 안하고 뭐하나 싶네요.



0


집에 가는 제로스수정됨
사실확인서를 받는 것은 설령 그 내용이 허위라고 가정하더라도 애초에 증거인멸죄가 아닙니다.
공소시효가 지나고 안지나고를 떠나 구성요건에서부터 해당이 없어요. 그래서 그냥 억지라는 것이고.

제155조(증거인멸등과 친족간의 특례)
① 타인의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에 관한 증거를 인멸, 은닉, 위조 또는 변조하거나 위조 또는 변조한 증거를 사용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② 타인의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에 관한 증인을 은닉 또는 도피하게 한 자... 더 보기
사실확인서를 받는 것은 설령 그 내용이 허위라고 가정하더라도 애초에 증거인멸죄가 아닙니다.
공소시효가 지나고 안지나고를 떠나 구성요건에서부터 해당이 없어요. 그래서 그냥 억지라는 것이고.

제155조(증거인멸등과 친족간의 특례)
① 타인의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에 관한 증거를 인멸, 은닉, 위조 또는 변조하거나 위조 또는 변조한 증거를 사용한 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700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개정 1995. 12. 29.>
② 타인의 형사사건 또는 징계사건에 관한 증인을 은닉 또는 도피하게 한 자도 제1항의 형과 같다. <개정 1995. 12. 29.>

제1항은 물적 증거에 대한 멸실ㆍ위조행위를,
제2항은 인적 증거인 증인을 은닉 또는 도피하게 하는 행위를 처벌하는 죄입니다.

그런데 형법상 '위조'는 작성명의의 위조입니다. 따라서 '사실확인서'라는 서류- 물적증거를 위조한다는 것은
작성명의자가 아닌데 서류를 작성했다는 의미입니다. (내용이 허위인것은 허위문서작성죄임. 공문서, 진단서등은 허위작성죄가 있지만 사문서는 애초에 허위작성죄가 없음)
소위 이준석 증거인멸을 주장하는 자들의 주장자체가 뭘 주기로 하고 사실확인서를
본인에게 받았다는 것이지 그 사람이 안 썼는데 그사람 이름의 사실확인서를 이준석쪽에서
가짜로 만들었다는게 아니잖아요? 그래서 애초에 위조가 아니고 1항의 증거인멸죄가 아닙니다.

2항의 인적 증거인멸은 증인을 수사기관/법정에 나오지 못하도록 '은닉/도피'시키는 것을 의미합니다.
허위사실을 말하라 종용하는 것은 증거인멸죄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법정증언이 아니면 위증교사도 되지 않고요.
우리 법제는 사법방해죄를 별도로 두지 않기 때문에 허위사실의 내용에 따라 '위계에 따른 공무집행 방해'
혹은 '범인도피 교사'가 성립할 수는 있으나 이 또한 진범을 두고 다른 사람을 범인으로 허위진술한다던가
거짓자백을 한다던가 하는 매우 적극적인 기망에 한정하는 것이 판례의 태도입니다.
(그리고 문제의 범인도피죄에서 '죄를 범한자'에는 공소시효가 지난 자는 해당하지 않아 역시 성립하지 않습니다..-ㅅ-)

즉 이준석을 공격하는 쪽의 주장은 애초에 그 사실도 아무런 증명이 없음은 물론
그 사실을 그냥 사실로 인정하더라도 아무런 처벌가능성이 없습니다.
3
아하 그렇군요. 이준석은 공소시효가 지나서 아에 기소도 안되는데 김철근만 증거인멸 관련해서 처벌 받으면 웃기겠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비슷한 예로 돈준 사람은 유죄, 받은 사람은 무죄 나오는 케이스도 있으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129 법률원룸(주거용오피스텔) 1년살고 연장할 때, 월세인상 질문입니다. 5 오리꽥 22/11/13 4740 0
14115 법률주식 관련 뻘질문 7 CheesyCheese 22/11/10 3415 0
14080 법률민사소송) 상대방 전화번호를 알 수 있는 방법? 8 [익명] 22/10/31 4661 0
14063 법률8촌 이내 친족 결혼의 헌법재판소 판례 관련 질문 6 Cascade 22/10/27 3820 0
14015 법률부모님 집 담보대출 시 형제 동의를 받는 경우 2 [익명] 22/10/18 3885 0
13999 법률증언만으로 유죄가 나올 수 있나요? 4 Picard 22/10/14 3895 0
13957 법률개인간의 거래에서 환불문제는 어떡해야 하나요? 7 시간아달려라 22/10/06 3621 0
13934 법률해외 가격비교사이트 항공권 예약확정 무응답시 대처 5 공룡대탐험 22/09/30 3597 0
13929 법률공문 양식이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4 물사조 22/09/29 4218 0
13906 법률22년들어 우후죽순 '법조인' 관련 드라마가 쏟아지는 이유??? 9 Groot 22/09/24 3639 0
13877 법률법조넷에 도로교통법 관련 질문 드립니다. 7 wijae 22/09/15 3522 0
13872 법률변제공탁금 고지서가 왔읍니다. 공탁금 일괄수령 방법 1 DogSound-_-* 22/09/14 3706 0
13865 법률소제기 후에 지급명령 신청도 가능한가요? 시간아달려라 22/09/13 2930 0
13858 법률주택임대차보호법 계약갱신 관련 질문 있습니다. CrankyBubble52 22/09/12 3161 0
13852 법률추석 아르바이트중에 곤란한 일이 생겼는데 조언 부탁드려도 될까요?? 2 [익명] 22/09/10 3714 0
13841 법률자연재해중 출퇴근길 산재 처리는 어떻게 될까요? 1 Picard 22/09/06 3709 0
13831 법률1982년 있었던 장영자 사기사건 질문입니다. 7 여우아빠 22/09/04 3812 0
13814 법률공소시효가 지난 범죄에 대한 증거인멸도 죄가 되나요? 2 Picard 22/08/31 3635 0
13794 법률캣직원 징계 가능할까요? 6 [익명] 22/08/26 3891 0
13762 법률가상적인 상속 문제 질문입니다. 9 물사조 22/08/17 3620 0
13725 법률공공입찰 서류제출관련 질문드립니다 7 헬리제의우울 22/08/08 3942 0
13711 법률급여를 현금으로 받았을 경우 주휴수당 청구가 가능할까요? 6 [익명] 22/08/04 3770 0
13701 법률아파트 분양 시 법무법인은 어떻게 수익을 얻나요? 3 아재 22/07/31 6315 0
13668 법률차량용 흡착식 1/4" 마운트 구매 링크 주세요 2 서당개 22/07/24 3705 0
13644 법률법알못 질문입니다 (응급의료법) 3 albendazole 22/07/18 2463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