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2/11/11 13:39:52
Name   [익명]
Subject   부부관계에서의 피곤함
개인신상에 민감한 문제라 익명을 걸었습니다.
저는 남편이고 결혼생활이 매우 지치고 힘드네요.
그 누군가 불행한 가정은 저마다의 이유로 불행하다 했던가요?

저는 부지런하고 책임감 갖고 사회생활 하며 생활에 충실한 남편입니다.
하지만 아내의 결혼에 대한 기대치는 매우매우 높았고 평범한 남자일 뿐인 저는 그 기대를 충족시키지 못했죠.
결혼 후 1년 2년 지나며 아내의 결혼에 대한 환상이 낮아지기는 하였지만 근본은 바뀌지 않더군요.

저 나름 결혼 초 욱하는 성격도 엄청나게 많이 고치고 이제는 먼저 싸움을 걸거나 잔소리는 일절 하지 않습니다.
아내가 저의 힘든면을 이야기했고 진심을 다해 그런부분을 제 스스로 고쳤습니다.
아내도 많이 성장한 남편의 모습을 고맙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근본적으로 남자 여자의 차이 때문인지 아내가 감정적으로 사소한 포인트에서 서운한 부분은 제가 해결할 수가 없더군요.
그러한 사소한 것들이 쌓여서 저에게 서운한 점을 토로하면 억울하고 황당한 저의 감정과 생각을 억누르고 '미안하다' '그렇게 생각한줄 몰랐다' '고치겠다'
라는 대답으로 아내의 마음을 진정시켜줍니다.

하지만 답답하고 억울하고 서운한 제 마음을 토로할 순 없습니다.
제가 느끼는 부정적인 감정이나 스트레스를 조금이라도 와이프에게 털어놓으면 오히려 저에게 공격을 합니다.
'오빠는 나한테 이렇게 해놓고 왜 나한테 그런이야기 하느냐?!!' 라는 식이죠.

그러다보니 지칩니다.
평생을 이렇게 서운해하는 것을 들어주고 나의 지친마음은 내 스스로 위로해야하고.
친구들에게 하소연 하는것도 한두번이고, 시원한 맥주로 먼지가득한 제 마음을 씻어내리는 것도 한계가 있구요.

선배님들. 원래 결혼 이런건가요?
그냥 제가 입 꾹 닫고 아내가 서운하고 힘들다고 하면 그냥 다 들어주고 미안하다고 계속 하고, 힘든 제 마음은 제가 알아서 건강한 방법으로 해결하면서 50년 살고. 그런거죠?



0


듣보잡
일단 심정이 이해가 가서 위로드리겠읍니다... 그렇게 사는 사람도 있고 아닌 사람도 있고 각자 케이스마다 다 다르겠죠. 원래 그런 건 세상에 아무 것도 없읍니다. 정답도 없읍니다. 견딜 만 하면 그대로 사는 거고 사람이 바뀔 여지가 있으면 서로 노력하는 거고 바뀔 여지도 없고 못 견디겠다 하면 헤어질 수도 있는 거죠. 저 같으면 애가 없다면 이혼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해 볼 것 같은데 이것도 단지 제 생각일 뿐입니다.
내친구는탐라뿐
전 그냥 하늘은 아시겠지...라고 생각합니다.
하우두유두
선생님 부부상담을 받아보시는건 어떨까요. 선생님은 초인이 아닙니다. 전문가의 도움을 받으시는건 어떨까요
2
[글쓴이]
큰돈내고 20회차 넘게 부부상담도 진행했었습니다.
상담사분들이 여러가지 이야기를 해 주셨는데 그중 절반 이상은 아내가 지키지 않거나 '납득이 안된다' 라는 식으로 무시하더라고요..
그래서 '상담사분들이 그래도 말해주신건데 그분들이 시킨거 해보는게 어떻겠느냐' 라고 이야기해도 납득이 안되어서 못하겠다는 반문으로 오더군요..
4
남편과 아내가 모두 신뢰 할 수 있는, 두 분을 잘 아는 멘토나 선배가 있나요?
그런 분들이 있으면 부부사이에 감정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니 도와달라 요청한 뒤 같이 만나 이야기 하는게 도움이 됩니다.

딱히 없다면 상담을 받아보시는건 어떨까 싶네요.
자녀가 생기면 스트레스 요인이 늘기 때문에 그 전에 좀 더 관계 문제의 해결책을 찾아보시는게 좋겠지 싶습니다.
[글쓴이]
전문가 상담을 20회차 넘게 진행했었고..
주변에 멘토가 되실만한 부부 선배님들 (50대부부, 40대부부) 께 요청도 해보고 여러차례 상담도 해보고 했는데
쉽게 나아지질 않네요..
답변 감사합니다..
침묵의공처가수정됨
아내에게 양보하고 아내를 위해 내 생각을 포기하고 아내가 행복하게 느끼도록 애정표현도 많이하고 배려하고 걱정끼칠 일이나 의심을 살 일도 안 하고 그렇게 살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마음을 넓게 쓰려고 노력했습니다. 부처님한테 그렇게 배웠어요. 제 닉넴은 신경쓰지 마세요.
13
CheesyCheese
ㅠㅠ 위로드립니다 ...
스노우
원래 그런 건 아니에요.
그래서 더 나아질 수 있을 거라 생각합니다.
힘내세요..
Darwin4078
아마 대부분의 유부남이 그렇게 살고 있을 겁니다.
1
집에 가는 제로스
그렇게 넓혀가거나 무뎌지거나 하며 사는 것이죠..
어쩔 수 없죠.
내 생각엔 내가 옳고 어떻게 봐도 당연한 일이고, 길가는 사람 누구를 붙잡고 물어봐도 내가 맞을거다. 라고 이야기해도
'너가 지금 그 길가는 사람이랑 살고 있냐? 나랑 살고 있지.' 하면 할말 없..

그렇기 때문에 부부간에는 누가 옳다 그르다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서로의 마지노선이 어디인지 이해하는 그런 이야기가 더 좋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글쓴 분께서 견디기 어려운 부분이 어떤 것인지,
그에 대해 아내분이 어떻게 해주면 좋을지 그런 걸 이야기해보세요.
다만 결국 서로가 서로에게 참을 ... 더 보기
어쩔 수 없죠.
내 생각엔 내가 옳고 어떻게 봐도 당연한 일이고, 길가는 사람 누구를 붙잡고 물어봐도 내가 맞을거다. 라고 이야기해도
'너가 지금 그 길가는 사람이랑 살고 있냐? 나랑 살고 있지.' 하면 할말 없..

그렇기 때문에 부부간에는 누가 옳다 그르다를 가지고 이야기하는 것 보다는
서로의 마지노선이 어디인지 이해하는 그런 이야기가 더 좋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글쓴 분께서 견디기 어려운 부분이 어떤 것인지,
그에 대해 아내분이 어떻게 해주면 좋을지 그런 걸 이야기해보세요.
다만 결국 서로가 서로에게 참을 수 없는 것이 타협이 되지 않는다면
꼭 같이 살 필요는 없는 것 아닐까요.
3
지인들에게 항상 하는 얘기중에 결혼은 취업과 같다. 라고 말해주거든요.
취준생 눈에는 취업만되면 인생 풀릴 것 같지만 취업하는 순간부터 하루종일 집에가고싶다만 생각하고 사직서 품고 사는거처럼 결혼도 비슷한거 같아요.

또한 직장생활이 맞는 사람이 있지만 집단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듯이 결혼생활이라는것에도 잘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데 해보기전까지는 알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죠.

저는 그냥 회사라고 생각하고 살고 있어요
회사라고 다 365일 힘들지는 않듯이 좋을때도 있고,
다만 힘들고 어려운 시간이 대부분... 더 보기
지인들에게 항상 하는 얘기중에 결혼은 취업과 같다. 라고 말해주거든요.
취준생 눈에는 취업만되면 인생 풀릴 것 같지만 취업하는 순간부터 하루종일 집에가고싶다만 생각하고 사직서 품고 사는거처럼 결혼도 비슷한거 같아요.

또한 직장생활이 맞는 사람이 있지만 집단생활에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도 있듯이 결혼생활이라는것에도 잘 적응하지 못하는 사람이 있는데 해보기전까지는 알기가 어려운 부분이 많죠.

저는 그냥 회사라고 생각하고 살고 있어요
회사라고 다 365일 힘들지는 않듯이 좋을때도 있고,
다만 힘들고 어려운 시간이 대부분이어도 참고 버티는 수 밖엔 없다고 생각합니다..

회사 생활 힘들어서 하소연 해봤자.
그럼 그냥 그만두지그러냐는 얘기만 듣게되는데 모두가 그만둘 수 있는게 아니듯이.

그럼 나의 삶은 어디서 찾느냐고 한다면 홍차넷 같은 온라인 세상이나 친구들 한둘에게 하소연하면서 사는거라고 생각합니다.
9
내 얘기인줄 ;;
그렇게 9년차를 살고 있습니다.
윤가람
다른 부분은 모르겠습니다만... 부부관계라는 건 서로 맞춰가면서 함께 이해하고 양보하며 사는 거지, 어느 한 쪽이 일방적으로 이해하고 맞춰서 양보하고 사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하루이틀이면 몰라도 수십년을 어떻게 그러고 살아요.....
[글쓴이]
생각보다 많은 댓글이 달렸네요..
정말 많은 위로가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선배님들..
침묵의공처가
퀘스트를 잘 수행하면 '존경하는 남편' 타이틀을 획득할 수 있습니다.
서로 싸운 것 까지는 아니지만 일단 서로 서운한거 말 꺼내기 시작하면 상호확증파괴가 확실시 될거라는걸 서로 두어번 경험하고나니 진짜 어지간히 큰일 아니면 서로 그러려니 하고 사는 중입니다. 내가 서운하고 잔소리 하고 싶은 만큼 저사람도 하고 싶겠거니.. 하고요. 물론 와이프가 자잘한 잔소리는 합니다만 그건 참참못 내지는 이정도는 상호확증파괴 수준은 아니라서.. 가볍게 하는 정도라서 뭐 기분 상할거 까진 아닙니다.

이게 서로 다 털어놓고 이야기 하는게 득이 될 수도 있지만 진짜 다 패 까놓고 전면전 붙으면 남자가 질 확률이 꽤나 높아요. 특히나 육아까지 걸려있다 보면. 그래서 그냥 입 다물고 삽니다. 그러다 보면 시간 지나서 잊어버리고요. 어쩌겠습니까. 서로 같지 않은 사람이 같게 살려니 이해를 하던 체념을 하던 해야죠.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343 가정/육아일본에 5살 아이랑 가족 여행 난이도 혹은 조언? 10 전국 홍차넷 협회 23/01/07 5155 0
14323 가정/육아중학교 올라가는 여자아이 책가방 뭐가 좋을까요? 1 아재 23/01/03 2668 0
14249 가정/육아튼살크림 추천 5 방사능홍차 22/12/13 2570 0
14241 가정/육아36개월 아이가 친구가 없어 울적해합니다. 12 nothing 22/12/10 4053 0
14220 가정/육아세 돌 남자 아이 선물 추전 부탁드립니다 6 와이 22/12/05 3050 0
14193 가정/육아뭐가 낳겟읍니까? 14 카리나남편 22/11/28 3533 0
14154 가정/육아제습기 빨래 말리기 용도로 어떤가요? 12 copin 22/11/18 3978 0
14145 가정/육아초등아이 카톡에서 욕설을 보았습니다 33 로보카로이 22/11/16 2649 0
14140 가정/육아부모님 사실상 이혼이네요... 25 [익명] 22/11/16 4162 0
14139 가정/육아세탁기 주문 설치시 장애물 치워줄까요? 14 어설프고하찮은 22/11/16 4345 0
14132 가정/육아큰아이가 너무 눈물이 많아서 고민이에요 40 엄마곰도 귀엽다 22/11/13 4489 0
14131 가정/육아파스타를 안 태우는 법? 16 cerulean 22/11/13 3624 0
14127 가정/육아신당역 근처에서 어린이 밥 먹일곳 있을까요. 4 arch 22/11/12 2968 0
14123 가정/육아내일 서울랜드 가는 건 안 좋은 선택일까요? 6 아재 22/11/11 3044 0
14122 가정/육아부부관계에서의 피곤함 18 [익명] 22/11/11 4043 0
14088 가정/육아차량 뒷좌석용 헤드레스트 9 토비 22/11/02 3553 0
14084 가정/육아이런 도어락 편리한가요? 14 OshiN 22/11/01 3668 0
14055 가정/육아좁은방 매트리스 고민.. 3 모루 22/10/26 3087 0
14045 가정/육아밥솥, 정수기, 비데 추천부탁드립니다 17 아비치 22/10/24 3044 0
14022 가정/육아에스프레소 전자동 머신 추천 받습니다. 25 똘빼 22/10/20 3339 0
13993 가정/육아서울 2박3일~3박4일 저렴하게 연박할 숙소? 5 메존일각 22/10/13 1920 0
13924 가정/육아제아이에 대해서 다른학부모님이 말씀하신게 속상한데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21 로보카로이 22/09/28 3888 0
13923 가정/육아아파트에서 이불 터는게 노매너인가요? 19 [익명] 22/09/27 4595 0
13921 가정/육아사회성이 떨어지는 아이 11 [익명] 22/09/27 4105 0
13908 가정/육아혹시 제 계좌에 있는 달러로 아마존 결제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8 22/09/24 408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